정책 아름드리

디플레 우려에 대한 주요국 대응 및 외환시장 영향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15년02월21일 19시12분

작성자

메타정보

  • 32

첨부파일

본문

​[요약] 
 

- 저성장ㆍ저금리 기조가 고착화되고 있는 가운데 지난해 유가 하락으로 디플레 우려가 확산되면서 통화정책 완화 조치에 나서는 국가가 빠르게 증가
 · IMF는 선진국의 `15년 소비자물가상승률 전망치를 +1.8% → +0.8%로 하향 조정. 유로존 기대 인플레율(1년, 소비자 기준)은 +0.8%로 집계 래 처음으로 1% 하회
  ※ 당분간 세계경제 전반에 걸쳐 디플레(또는 인플레 둔화) 우려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 되어, 에 대한 각국의 대응 및 외환시장 영향을 점검

- 그동안 디플레 우려가 지속되어온 유로존ㆍ일본뿐만 아니라 비교적 성장률 높은 미국ㆍ중국에 있어서도 통화완화 압력 증가
 · 유로존ㆍ중국 등으로부터 촉발된 디플레 압력에 유가 하락 재료가 가세하면서 인플레율 낮은 국가들을 중심으로 연쇄적으로 통화정책 완화
 · 수직적(유로존→스위스ㆍ덴마크)ㆍ수평적(캐나다→호주, 인도→싱가폴  등), 직접적(실제 완화 조치 압력)ㆍ간접적(유사국 기대감 확대) 등 다양한 경로로 상호 작용

- 단기간 내 다수 국가의 통화완화 조치가 집중된 점 미국에도 일부 영향을 미치면서 저금리 기조가 장기화되고 환율 변동성 확대될 전망
 · 경쟁적 통화완화 : 미 10여개 국 통화완화 조치를 취한 가운데, 동 국가들의 추가 조치, 새로운 국가의 가세 등 글로벌 통화완화 기대 심리가 지속
 · 미국에도 파급 : 미국과 여타 국과의 통화정책 대조가 심화되는 한편, 2015년 1월 FOMC는 대외 변수 등을 고려해 비둘기파적 입장을 보강한 것으로 평가
 · 환율 변동성 확대 : 미국을 포함한 주요국 통화정책의 불확실성 확대된 점 외환시장 및 국제금융시장 전반에 변동성 확대의 형태로 나타날 전망

- 저금리 기조 장기화 및 환율 변동성 확대로 인한 각종 부작용에 유의
 · 캐나다ㆍ노르웨ㆍ호주 등 우량 신용등급 국가를 중심으로 부동산 시장 버블 우려가 심화. 환율 변동성 확대에 따른 외채부담 및 환손실 증가도 경계
  ※ 특히 아시아 신흥국의 총부채 규모는 중국ㆍ홍콩ㆍ싱가폴 소재 비금융 사를 중심으로 타 지역에 비해 빠르게 증가(`07년 144%/GDP→`14년 205%) 

[comment]

- LG경제연구원은 ‘글로벌 디플레션 리스크 커지고 있다’(2015.2.3.)에서 세계적인 디스인플레션 상황 발생한데는 먼저 원자재가격의 약세를 들 수 있으며, 많은 국가들 글로벌 금융위기 후 성장세를 잠재 성장수준으로 회복시키지 못하면서 성장과 디스인플레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고 있음을 강조

 · 76개국의 물가상승률을 가지고 글로벌 물가상승률을 추정해 보면 세계 물가도 2012년 후 상승률 둔화됨을 확인할 수 있음
  ※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후 유가급락으로 기저효과가 컸었던 2009년을 제외하면 2000년대 들어 가장 낮은 수준 
  ※ 2000년대 초반 장기간 물가 상승률 둔화로 세계적 디플레션 우려가 나타났을 때보다는 하락 폭 훨씬 가파른 상황


 

201522119741b4wyj5o125.jpg
201522119745lxgju9z569.jpg
 


 · 원자재가격 변동 세계적 디스인플레션 현상의 표면적인 원인라면, 기저에 있는 동인은 각국의 성장세 저하에 있음 

- 포스코경영연구소는 ‘유가 급락, 그 원인과 파급 영향은?’(2015.1.21.)에서 저유가 장기화는 에너지 수입국에는 기회로, 수출국에는 위기로 작용할 것라는 전망 지배적, 반면 글로벌 금융위기로 번질 가능성도 존재한다는 점을 강조

 · 저유가 지속과 동시에 미국 금리 인상 진행될 경우, 러시아 등 신흥 자원부국의 급속한 자금 탈 등으로 또 다른 글로벌 위기 도래 예상 

  ※ 수입국의 혜택은 전반적인 경제침체로 인해 미미할 것라는 전망도 병존 

 · 유가 하락의 여파는 에너지 관련 건설, 조선 경기에 직격탄으로 작용하고, 어서 강관(열연), 후판 등 철강 시장까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 

  ※ 저유가에 따른 글로벌 오일 메저의 설비투자 축소와 재정 취약한 산유국의 프로젝트 지연 및 취소 등으로 관련 수주 축소 전망 
  ※ 에너지 관련 투자가 축소되면서, 유정용 및 라인파프용 강관 수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 고조 
  ※ 심해유전 및 해양플랜트 신규 수주 저하에 따라 조선경기 위축 예상되고, 와 관련된 후판 수요 위축도 우려 



201522119852y47w244014.jpg
2015221198568hq7dhj903.jpg

- 국제금융센터는 ‘유가 하락의 세계경제 영향에 관한 오해와 진실’ (2015.2.6.)에서 유가 하락의 성장 견인 효과에도 불구 세계경제 성장 전망치가 낮아지는 유는 원유 수입국의 구조적 문제 등 유가 하락의 경기회복 효과를 상쇄하기 때문으로 분석

 · 최근 유가 하락에 따른 경제성장 기대에도 불구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치가 낮아지는 등 유가 하락의 성장 견인 효과에 대한 의구심 대두

  ※ 국제기구들 금년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잇따라 하향 조정(IMF 3.8%→3.5%, WB 3.4%→3.0%)함에 따라 유가 하락 성장을 견인하지 못한다는 해석을 낳을 소지
   ⇒ 유가 하락과 성장 간의 관계를 재조명해 보고, 주요 기관들 유가 하락에도 불구 세계 성장 전망을 하향 조정한 유도 함께 고찰

 · 최근 유가 하락은 공급 요인에 주로 기인. 유가 하락 수요보다 공급 측면에 의해 주도될 경우 세계경제 성장에 긍정적 영향

  ※ IMF는 최근 유가 하락의 65~80%가 OPEC의 원유 감산 거부, 리비아의 생산 회복 등 공급 요인에서 발생한 것으로 평가. 공급 요인 유가 하락의 60% 정도라고 가정하여 분석하면 유가 하락의 금년 세계경제 성장 견인 효과는 0.7%로 추정

 · 유가 하락의 성장 견인 효과에도 불구 세계경제 성장 전망치가 낮아지는 유는 원유 수입국의 구조적 문제 등 유가 하락의 경기회복 효과를 상쇄하기 때문

  ※ 선진 및 신흥 원유수입국은 투자 부진 등 구조적 문제로 인해 유가 하락의 효과가 제한적. 특히 중국은 투자 위축 외에도 유동성 공급과 같은 양적 성장 지양라는 정책기조도 경기 둔화의 배경
  ※ 공급측 요인에 의한 유가 하락 영향 IMF나 IIF 등의 평가보다 제한적라는 의견도 제기. Bianco는 신흥국 성장 둔화 등 수요 요인 유가 하락에 상당히 기여 했을 것으로 평가

 · 유가 하락 세계 및 우리 경제성장을 견인하는 긍정적 효과가 있는 만큼 유가 하락 효과를 극대화할 필요 

  ※ 성장 견인 효과는 유가 약세 지속 여부에도 영향을 받으므로 향후 유가 향방을 결정하는 핵심 요인인 미국의 생산량 변화와 6월 OPEC 회의에서의 감산 여부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

- 한국은행은 ‘인플레션보고서’(2015.1)의 주요국 디플레션 사례 분석 및 시사점에서 주요국 사례분석 결과 물가수준 장기간 하락하는 디플레션 현상은 대규모의 부정적 수요충격 발생으로 총수요가 급격히 위축되는 상황에서 촉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강조

 · 주요국 디플레션 사례를 통해 볼 때 예측 가능한 시계에 우리나라에서 디플레 발생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되는데, 는 주요국 디플레션 사례에서 나타난 극심한 총수요부진 예견되지 않는 상황인 데다 부동산가격의 불안정 가능성 낮고 제조업 공동화 문제도 심각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기 때문임

  ※ 다만 중장기적으로는 빠른 속도의 고령화 추세, 가계부채 누증 등 우리 경제에 내재된 구조적 취약요인에 대해 적절히 대응하지 못할 경우‘저성장-저물가’상황 고착화되면서 디플레션을 겪게 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는 점에 유념할 필요 존재

 · 최근의 디플레션 논쟁과 관련해서는 유가 급락으로 물가상승률 생산비용 절감의 영향으로 낮아질 수 있지만 교역조건 개선, 실질소득 증가 등의 성장제고 효과도 기대할 수 있는 만큼 단기적 물가 움직임에 과민반응하기보다 일본식 장기불황에 빠지지 않도록 우리 경제의 구조적 취약성을 개선하는 노력 무엇보다 중요



2015221199475z348z0qta.jpg

- 토러스투자증권은 ‘유로 디플레션과 통화정책 전망’(리서치-토러스리포트,2015.1)에서 유로지역의 경우 유가 하락, 구조개혁 등 공급충격과 저성장 등으로 디플레션 우려가 확산되고 있으나, 1990년대 후반의 일본식 디플레션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 

 · 유로는 부채 디플레션에 빠진 일본과는 달리, 신속·과감한 통화정책, 구조조정·구조개혁 등으로 고용 회복, 임금 상승, 자산시장 회복 등의 경기 선순환 흐름과 재정위기국가의 펀더멘털 개선(재정적자 축소 및 경상수지 흑자 전환 등) 등 나타나고 있기 때문
  ※ 유로 경제는 통상 완만하고 점진적으로 회복되는 특성 있는 만큼 최근 경제지표 부진에도 선순환 흐름은 유효하다는 판단

 · 향후 유로 경제는 첫째, 금융시장 여건 개선, 둘째, 고용 개선과 소득 증가에 따른 민간소비 증가, 셋째, 주택시장 회복, 넷째, 투자와 수출 개선 등으로 성장 지속 예상 2013년 -0.5% → 2014년 GDP +0.8% → 2015년 GDP +1.1%
  ※ 유로 경제의 성장 지속은 수요측면 뿐만 아니라 유가 하락, 구조개혁 등에 의한 공급충격으로 인한 디플레션 리스크를 점차 완화시킬 전망

 · 디플레션 발생 가능성 낮지만, 美연준처럼 경기 부양 위한 양적완화(QE) 규모가 확대될 전망나, QE 규모는 시장 기대를 넘어서지 않을 것고, 유로자금 일부는 해외로도 유출되어 유로화 약세 심화시킬 전망
  ※ 중장기적인 자산배분관점에서 채권 보다는 주식, 부동산 등 위험자산으로의 선택 적절
  ※ 일본과는 달리 독일 사례를 보면 고령화가 저성장기조의 결정적 요인 아니다 → 고령화에도 불구하고 독일처럼 선순환 흐름 지속된다면 자산가격은 인플레 지속될 수 있음 



20152211910201o904o6fip.jpg

- 신한금융투자는 ‘2015년 경제 전망 재조명과 시사점’(2015.1.21)에서 세계경제의 성장세 둔화는 투자자산의 기대수익률을 낮춰야 한다는 의미며, 다만 저금리가 가속화되며 주식과 채권 간 기대수익률 차가 확대돼 자산 배분 더욱 중요하다고 강조  

 · 당사의 글로벌 경제전망에 기초한 국가별(혹은 지역별) 증시 매력도는 선진증시는 일본 > 미국 > 유로존, 신흥증시는 동아시아 > 대양주 > 중남미, 중동, 러시아 순으로 예상

 · 미국은 소비경제 부활에 따라 3%대 성장률을 회복할 전망며, 대신 통화정책 정상화 필요성 높아 졌으며, 정책금리 인상 전후로 자산가격의 변곡점 형성될 수 있음 

 · 유로존의 디플레션 위험 계속 되나, 방화벽 확충에 따라 시스템 위기로 확산될 가능성은 낮음 

 · 조기 총선을 통해 아베노믹스가 강화 된 일본은 실물 및 증시 환경 우호적며, 중국은 투자 증가세 둔화로 성장률 7% 초반까지 떨어질 수 있으나 호구제 개혁과 금융굴기, 유연한 통화정책 등에 힘입어 증시 환경은 긍정적
 
 · 유가는 2015년 상반기에는 배럴당 40~50달러대에서 혼조세다가 하반기에는 공급과잉 완화 및 강달러 약화로 60달러선 회복을 기대 

 · 유로화 약세로 2015년 상반기 중 강달러가 어지나, 하반기에는 각국 펀더멘탈 개선에 맞춰 강달러 압력 완화될 전망 

 · 경기 및 정책 모멘텀 서로 상충되며 2015년 상반기 중 한국 증시는 박스권, 하반기에는 경기 개선과 정책 불확실성 완화로 오름세를 예상 
  ※ 기준금리 추가 인하 기대로 2015년 상반기에는 금리가 하향 안정화되겠으나, 하반기에는 완만한 금리 반등을 전망 


201522119105793782340d3.jpg

32
  • 기사입력 2015년02월21일 19시12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