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아름드리

한반도 통일의 경제적 효과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15년01월30일 21시04분

작성자

메타정보

  • 30

첨부파일

본문

​[요약] 
 
- 통일 후 북한 지닌 저임금, 높은 투자효율성 등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경제적 관점에서 통일의 편익과 비용을 분석하고 재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 통일한국 GDP는 2015년 1,318조원에서 2060년 4,320조원으로 증가하여 연평균 2.8% 성장
 ※ 통일한국 GDP = 남한지역 GDP전망 + 통일에 따른 남한지역 파급효과 + 북한지역 GDP전망 


201513020555937126u8lou.jpg

· 2015년부터 2060년까지 45년간 통일비용(경상가격 기준) 부담규모는 1경428조원(실질 4,657조원)으로 연평균 부담액은 232조원(실질 103조원)
 ※ 분야별로 사회보장 관련 비용 전체통일비용의 47.7%를 점유하며 가장 큰 규모를 차지


20151302056403t126t8knu.jpg

- 금융투자협회는 ‘통일과 자본시장: 통일비용과 주가를 중심으로’ (2014.5.29.)에서 독일 통일 당시 동독과 비교하여 북한의 경제상황을 고려하면 통일 비용 더 소요될 것으로 전망되므로, 자본시장에 미치는 파급효과도 더 클 것으로 예상

· 통일 당시 동서독간 경제력 차(1인당 GDP 2.6배)보다 현재 남북한의 경제력 차(1인당 GNI 18.7배)가 훨씬 큼



[comment]


20151302057354933890psz.jpg

· 반면, 통일 되면, 남한의 자본과 기술, 북한의 자원과 노동력 만나 시너지 효과를 내고, 저평가되고 있는 국내 주가 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 따라서, 현재 은행 중심으로 금융권에서 일고 있는 통일관련 논의가 자본시장 차원에서도 필요

 

 ※ 독일과 같 국채 발행을 통해 통일비용 조달할 경우, △금융투자업계는 채권가격하락에 따른 헷지(hedge) 기법 강구 △국채관련 구조화 상품 개발 △장외시장에서 거래되는 채권가격의 형성을 위한 ATS 시장 마련 등 논의

 

 ※ 아울러 국채 발행의 수요 기반 확대 및 주식시장 활성화를 위한 기관투자자 육성도 시급 

 


2015130205814u2qsd2i902.jpg

- 메리츠종금증권은 ‘향후 남북통일에 따른 한국경제 및 금융시장 파급효과’(2014.3.6.)에서 과거 독일보다 심각한 국력격차가 부담나 남/북한 경제 Synergy에 따른 파급효과가 더 크게 기대되는 것으로 예측

· 과거 독일 통일과정에서 동/서독 경제격차에 따른 막대한 통일비용으로 인해 통일독일은 15년 가량 후유증 경험

 ※ 동독지역의 Infra 구축 및 경제활성화에 대한 전체지출 가운데 75% 가량 서독지역에서의 전으로 충당
 ※ 독일경제는 경제통합을 위한 막대한 통일비용 지출로 인해 수년간 경기침체에 따른 후유증을 경험

· 그러나 후 독일은 경제 Synergy로 인해 세계 4위 경제대국으로 성장한 가운데 세계경제 위기에도 독보적 경제위상

 ※ 통일독일은 2000년대 중반 후 통일에 따른 선순환 효과가 발생하며 세계에서 독보적인 경제발전
 ※ 채권시장에 있어서 경제성장 뒷받침을 위한 금융완화 기조가 어지며 채권금리 장기추세 하향 진행



2015130205859grbdo6t347.jpg

· 향후 남북통일은 과거 독일보다 심각한 국력격차가 부담나 남/북한 경제 Synergy에 따른 파급효과가 더 크게 기대


20151302059248h671h3ybh.jpg


- LG경제연구원은 ‘독일 통일로 본 통일 경제의 주요 슈’(2015.1.7.)에서 독일의 경험을 참고하여 통일경제가 안정을 찾아가는 통일 초기, 예컨대 10년 정도의 기간 동안 우리 거시경제의 향방과 관련된 주요 슈들에 대해 논의

· 중장기적으로는 성장효과가 기대된다고 해도 불확실성 높아지는 만큼 초기 금융시장 불안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임. 때 국가신용등급 크게 훼손되지 않을 정도로 재정건전성을 유지할 수 있느냐가 조기 진정의 관건 될 전망

· 매우 큰 남북한 경제력 격차를 줄여나가는 과정에서 일정 정도 재정구조가 악화될 가능성 높음. 북한에 대한 소비성 전지출을 억제한다든지 민간자본 및 외국자본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등 재정악화 정도를 줄려는 노력 요구됨

· 대북투자는 매우 활기를 띨 가능성 높으며, 북한의 지리적 점과 임금경쟁력, 그리고 동독의 경우와 달리 체제행 경쟁국 없다는 점 등을 고려하면 대북투자 붐 일면서 한반도의 분업적 산업구조가 형성돼 갈 수 있을 것으로 예측 

· 대북투자 증가로 경상수지 악화압력은 가중되겠지만 북한의 생산 정상화에 따라 독일의 경우에 비해 경상수지 악화압력 빠르게 완화될 수도 있음

· 커다란 불안까지는 아니겠지만 물자부족과 화폐과잉 등으로 북한지역의 물가는 일정 정도 오를 가능성 높음

· 따라서 무엇보다 서독처럼 남북한 경제통합의 충격에 크게 휘둘리지 않을 정도의 강건한 경제력을 확보하는 일 필요하며, 재정 및 경상수지의 건전성 확보도 통일을 대비해 갖추어야 할 중요한 덕목

 ※ 독일의 교훈을 바탕으로 우리 실정 에 맞는 정책을 채택해 나간다면 완전한 통합으로 행하는 과정의 부작용을 줄여 나갈 수 있음



201513021012qa1nrs346.jp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소셜 빅데터를 활용한 국민 통일 인식 동향 분석‘ (2015.1.5)에서 통일의 필요성에 대한 찬성은 2011년 55.0%, 2012년 62.2%, 2013년 57.8%, 2014년 77.1%로 2014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분석함 

· 핵무기와 천안함은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순으로 밀접하게 연결된 것으로 나타남

· 통일대박, 남북공동선언, 정상회담, 휴전선의 버즈가 많을 때 통일인식의 찬성 확률 높은 반면 간첩, 핵무기, 천안함의 버즈가 많을 때 통일인식의 반대 확률 높은 것으로 나타남

· ‘통일대박’ 높고‘휴전선’ 낮고‘핵무기’가 낮은 경우 통일의 찬성 확률 가장 높은 반면,‘통일대박’ 낮고‘핵무기’가 높고‘정상회담’ 낮은 경우 통일의 반대 확률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중국’ 낮고‘미국’ 낮고‘일본’ 낮은 경우 통일의 찬성 확률 가장 높은 반면,‘중국’ 낮고 ‘미국’ 높고‘일본’ 높은 경우 통일의 반대 확률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 통일 토픽(topic)은 모든 문서를 수집하기 위해‘통일’을 사용하였으며, 토픽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토픽 유사어로는‘남북통일’,‘한반도통일’용어를 사용함
 ※ 소셜 빅데터의 수집은 2011년부터 2014년까지 1/4분기(각 3개월 간)의 웹문서(총 12개월)를 해당 채널에서 요일, 주말, 휴일을 고려하지 않고 매 시간단위로 수집하였으며, 총 314,318건(2011년: 10,211건, 2012년: 53,884건, 2013년: 83,268건, 2014년: 166,955건)의 텍스트(Text) 문서를 본 연구의 분석에 포함함



2015130210332s01ptuk5t.jpg
201513021142701577jms.jpg

- 중소기업중앙회는 ‘중소기업 본 통일경제 인식조사 결과’ (2014.8.6)에서 향후 한반도 통일 환경 변화에 대한 전망에 대하여 현재 수준을 유지할 것라는 응답 44.5%, 호전(매우 호전 5.0% + 다소 호전 29.5%)될 것라는 응답 전체응답자의 34.5%인 것으로 조사

· 통일 예상 시기에 대하여 20년 내라는 응답 전체 응답자의 59.7%(5년 내 2.3% + 6~10년 내 19.8% + 11~15년 내 18.3% + 16~20년 내 19.3%), 20년 후라는 응답 40.3%인 것으로 나타남

· 통일 중요한 유로는 대한민국의 경제적 대도약 기회(47.1%) > 민족의 동질성 회복(17.7%) > 안보리스크 해소(16.5%) > 동북아 주도권 확보(10.3%) > 국가 위상 제고(7.8%)의 순으로 조사됨

· 통일 중소기업의 경영활동에 미치는 영향 긍정적(매우 긍정적 23.5% + 다소 긍정적 58.8%)라는 응답 전체 응답자의 82.3%로 나타난 반면, 부정적(다소 부정적 15.0% + 매우 부정적 2.7%)라는 응답자는 17.7%로 조사됨

 ※ 통일 중소기업에 미치는 긍정적 요인으로 내수시장 확대(51.8%)라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북한인력 활용(47.2%)으로 조사됨 
 ※ 통일 중소기업에 미치는 부정적 요인으로 통일비용 부담(45.3%)라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사회․경제적 혼란(37.5%)으로 조사됨

· 남북통일 한반도 경제 재도약을 견인하기 때문에 통일비용 분단비용보다 더 적게 든다는 일부 연구기관의 통일의 경제적 효과 분석에 대하여 응답자의 41.1%가 전문가의 분석과는 달리 통일비용 분단비용보다 크다고 응답하였으며, 33.2%가 분단비용 통일비용보다 더 크다고 응답한 것으로 조사됨

· 통일경제시대 준비차원에서 요구되는 중소기업 정책으로 남북한 산업구조의 상호보완적 관계로 발전할 새로운 산업생태계 조성(43.5%)라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개성공단 국제화 등 발전적 정상화 및 수요자중심 맞춤형 제2 산업단지 추진(42.5%)으로 조사됨



201513021144n93k890679.jpg

- 한국개발연구원은 ‘과연 무엇 통일비용고 통일편익인가?’ (KDI북한경제리뷰, 2012년 11월)에서 통일비용과 통일편익라고 하는 것은 아무것도 확실한 것 없기 때문에 간단히 정의내릴 수 있는 성질의 개념들 아니라는 점을 강조 

· 비용과 편익을 계산하거나 확정하는 것 매우 어렵다는 것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는 것은, 비용 편익보다 적으니 통일 우리에게 해롭다, 또는 비용 편익보다 더 크기 때문에 통일 우리에게 롭다는 식의 결론을 내린다는 것은 지극히 어렵거나 불가능한 일기 때문임

· 비용을 줄는 방법으로 통일을 설계해 보자는 방향에서 비용만을 논의하는 방법은 통일 언제나 한국경제에 부정적인 요소로 작용하게 될 것라는 인식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통일을 주저하게 만든다는 논리적 귀결에 다다르게 되는 문제점 내포

 ※ 는 검증 불가능한 미래의 결과를 추정하는 작업기 때문에 쉽사리 데올로기적 논쟁으로 발전할 위험성도 존재

 ※ 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통일비용과 통일편익을 함께 추정하는 방법나 통일비용 최소화에 초점을 맞춘 연구 모두 각각의 한계가 있다고 볼 수 있음

· 보통 통일비용을 계산할 때 북한 지역 주민들에게 남한 수준의 복지나 교육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용 가장 많 들 것라고 예상하는데, 러한 가상적인 추정 실질적인 통일비용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데에 문제 발생

 ※ 실제로 통일 후 북한 지역 주민들에게 들어갈 복지나 교육 비용은 우리가 알 수 없는 여러 요소들에 의해 결정될 것기 때문에, 만약 지금 당장 통일 루어진다면 와 같은 규모의 통일비용 소요되겠지만, 상당한 시간을 두고 북한경제가 충분히 발전하여 남북한의 격차가 줄어든 상황에서 통일 루어진다면 러한 비용은 상당히 적거나 들지 않을 수도 있음
 ※ 또한 만약 우리가 통일 전에 북한 지역 주민들에게 제공할 복지나 교육 수준에 대해서 합의를 하고, 나아가 북한과도 합의를 한다면 러한 비용은 달라질 수 있음



201513021224g7be577347.jpg

 

30
  • 기사입력 2015년01월30일 21시04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