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아름드리

세계 친환경 자동차 산업 동향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15년04월15일 10시44분

작성자

메타정보

  • 27

첨부파일

본문

​[요약] 
 
- 미래 자동차산업 변화의 키워드는 연비와 친환경 

· 2015년 세계 자동차 생산 대수는 9,690만대로 예상되며, 이 중 친환경 자동차 생산대수는 389만대에 달할 전망
  ※ 2020년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약 1,255만대가 판매될 것으로 예상되며,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 시장은 226만대 시장 형성을 예상
  ※ 2020년 세계 전기차 시장 규모는 116만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

· 화석연료 차량에는 약 3만개 이상의 부품이 필요하나 전기차는 필요 부품의 수가 18,900개에 불과해 시장 진출이 용이

· 국내 전지 제조기술은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나, 소재기술은 선진국 대비 30~40% 수준이며, 전기동력 시스템, 모터는 선진국 대비 80% 수준의 기술력 보유

· 2020년 배터리 가격이 $200~300/kWh 도달할 것으로 예상돼, 2020년 이후 내연기관 자동차와의 본격적인 경쟁이 가능할 전망



             < 친환경 자동차 분류 > 

20154151033540589355125.jpg
※ 자료 : 한국자동차산업연구소​

 

· 전기차 밸류체인은 배터리, 파워트레인(모터, 전력관리/제어 시스템), 전기차 생산, 충전 인프라로 구성

  ※ 전기차 사업은 초기 시장단계로 높은 투자비 대비 매출액이 작아 영업이익률이 낮으나 규모의 경제 달성시 이익률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

 

2015415103454u2prc2h802.jpg
 ※ 자료 : New Energy Finance 

 

​· 2015년을 기점으로 친환경 자동차 생산량 증가와 더불어 배터리 가격도 하락할 전망 

  ※ 중대형 배터리 기업들의 대량생산 체제가 구축됨에 따라 가격하락 속도도 빨라질 것으로 예상되며, 2020년 $200~300/kWh 달성시 내연기관 자동차와의 본격적인 가격 경쟁이 시작될 전망 

 


    <내연기관차 VS 전기차 경제성 분석>

2015415103710489345ehn.jpg

· 환경 자동차의 기술경쟁력은 배터리, 모터 등 핵심부품에 집약되어 있으며, 산업경쟁력 확보를 위해선 국내 부품·소재 기업 육성이 필요  


[comment]

-현대경제연구원은 ‘자동차산업 핵심경쟁력의 중심이동’ (2014.6.23)에서 최근 자동차산업의 핵심경쟁력(core competency)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어 기민하게 대처하지 못하는 기업들은 도태 위기에 직면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음을 경고

· 최근 자동차의 진화 트렌드
 ① IT 융합 기술이 발전하고 안전성, 편의성에 대한 소비자의 기대가 높아지면서 스마트카, 자율주행 자동차 등 차량 시스템의 지능화가 빠르게 진행중
 ② 휘발유, 경유를 연료로 사용하는 내연기관 엔진차에서 전기 배터리와 모터로 구동되는 동력원의 전기화 추세가 지속 
 ③ 주요 선진국 정부들이 차량 연비규제를 강화함에 따라 차체의 경량화    가 선택이 아닌 필수적 과제로 대두

· 자동차산업 가치사슬의 변화
 ① (소재) 철강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감소하고 비철금속 및 합성수지 관련 산업의 비중이 증가
 ② (부품) 자동차 부품의 전장화(電裝化), 동력원의 전기화가 진행됨에 따라 기계장비 및 엔진 부품의 비중이 감소하고 전자장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
 ③ (완성차) 기존 완성차 제조업체의 그린카, 스마트카 생산 비중이 증가    하는 한편, 신규 진입자의 등장 및 주도권 역전 가능성도 증가
 ④ (인프라) 전기차의 보급 확대는 정유업체의 사업모델 변화를 촉진시킬    것으로 보이며, 스마트카의 확산은 지능형 교통 시스템 구축을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

· 산업구조 재편 전망
 ① 자동차산업의 핵심 부문은 기계부품 제작 및 조립 중심에서 IT제조, 소프트웨어, 첨단소재 중심으로 변화할 것으로 전망
 ② 자동차산업내 기업 간 관계는 완성차 업체를 중심으로 한 수직적 구조에서 거래 관계의 개방도가 높아지는 수평적 구조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
 ③ 스마트카 및 전기차 관련 인프라 확충, 기술표준 정비, 안전 및 환경     기준 마련 등과 관련하여 정부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전망



2015415103863td2quvl5u.jpg
-피델리티자산운용은 ‘미래자동차 – 배터리분야에서 투자기회 발굴’ (2014.12)에서 실행이 용이하고 비용효율적인 탄소배출 저감방법들 중에서는 48볼트 마이크로 하이브리드 배터리가 가장 유망하며, 이 배터리 기술이 널리 채택될 경우 테슬라를 비롯한 전기자동차 업계 전반에 파괴적 영향력을 발휘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Johnson Controls 등 유수 제조업체에는 매우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


· 각국 정부는 그동안 탄소배출을 대폭 저감했음에도 불구하고 2025년까지 20~40%를 추가로 줄이겠다는 공격적인 목표를 세운 상태

  ※ 이 목표를 달성하는 두 가지 주요 경로는 1) 향후 10년간 전체 자동차의 탄소배출량을 20~30% 줄이거나 2) 아예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전기자동차의 비중을 높이는 것임



20154151038396d459d1uxd.jpg

· 배터리 비용이 전반적으로 하향세를 나타냈고 앞으로도 3~4년 동안 30% 추가 하락이 전망되는데, 배터리 셀이 전기자동차 파워트레인 원가 중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볼 때, 배터리 비용 하락은 전기자동차 산업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여 저비용 생산 및 가격 인하를 가능하게 할 것으로 예상

· 48볼트(마이크로 하이브리드) 배터리는 저비용 탄소배출 기술 범주에 딱 들어 맞는데, 48볼트 배터리의 작동원리는 기존 내연기관의 파워트레인에 약한 전기를 전달하는 것임 
  ※ 이러한 ‘저전압 교배(low voltage hybridization)’는 토요타의 프리우스 자동차에 적용되는 기존 하이브리드 기술을 극도로 단순화한 것인데, 엔진크기를 줄일 수 있고 연비를 15~20% 높이는 효과가 존재
  ※ 가장 중요한 점은 이 기술은 기존 생산라인, 공급업체, 인프라를 사용하기 때문에 대당 비용이 1,000달러를 하회하며 새 자동차에 추가 부품으로 장착하면 된다는 사실 
  ※ 하이브리드 자동차 혹은 전기자동차보다 비용이 적게 들고 자동차업체들이 향후 5~10년간 환경규제 요건을 충족하도록 도와줄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는 48볼트 기술이 현재로서는 탄소배출 관련 혁신 중에서는 가장 유망한 것으로 판단됨

-메리츠종금증권은 ‘전기차 배터리, 가격하락과 중국에서 기회를 찾자’  (2014.11.11)에서 중국 전기차 배터리 시장규모는 2014년 3,564억원에서 2016년 1.7조원 2020년 5.9조원으로 급성장할 전망. 국내 배터리 업체의 중국내 시장 점유율을 30%로 가정할 경우 매출액은 16년 5,237억원, 20년 1.8조원으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

· 전기차 가격은 향후 배터리 가격 하락에 따라 빠른 속도로 낮아질 전망
  ※ BMWi3 전기차 가격은 2014년 $41,350에서 2015년 $36,564, 2016년 $32,198 로 급격히 하락할 것으로 예상
  ※ 전기차용 배터리 공급능력 확대 추세에 따라 관련 소재 시장에서도 Dupont, BASF, Dow, Mitsubishi 등 글로벌 대형 업체의 신규 진입이 가시화  

· 중국 정부의 전기차 보급 정책 강화로 최근 전기차 판매 대수가 급증
  ※ ‘14년 상반기 중국 전기차 판매량은 20,447대로 13년 연간 판매량 17,642대를 16% 초과하였으며, 2020년 중국의 전기차 시장이 65만대 수준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
  ※ 중국정부의 강력한 보급 정책 추진의지에 기반하여 중국 완성차 업체 대부분이 전기차 생산에 적극적이며, 또한 완성차 업체뿐만 아니라 자동차 부품업체도 참여가 확대되는 추세

· BYD를 포함한 중국의 로컬 전기차용 배터리는 대부분 LFP(Lithium Iron Phosphate, 철인산염) 양극소재 기반
  ※ LFP 소재는 가격과 안전성에서 장점이 있으나, 낮은 전압으로 에너지밀도가 낮아 중량과 부피 측면에서 약점이 있어 결국 LFP 기반의 배터리는 전기차에 적용시 연비 개선에 치명적 문제가 발생
  ※ 삼성SDI와 LG화학은 LFP는 배제하고 NCM, LMO 등 삼원계 양극소재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 배터리 경량화 측면에서 향후 중국업체 대비 경쟁 우위를확보할 전망



201541510392661459117x1.jpg

-KDB산업은행은 ‘스마트카 시장 확대와 국내 ICT 업계의 대응과제’  (2014.4.29)에서 스마트카는 산업융합의 견인차로서 국가차원 경쟁으로 확대 예상이 되므로 시장선점 위해 업계, 대・중소기업간 상호성장 모델 개발 필요

· 소비자의 자동차 구매결정요소에서 ICT 관련항목 비중 큰 폭 증가
  ※ 구매결정요소 비중(’12-’14, %) : 안전 64 → 79, 통신망 연결기능 49 → 65   
  ※ 스마트카는 전기・전자・통신 기술을 융합해 고도의 안전・편의를 제공하는 자동차로, 협의로는 통신망에 상시 연결된 커넥티드카를 의미

· 스마트카 확산으로 교통사고의 사회적비용 연간 6.8조원 감소 기대
  ※ ESC(Electronic Stability Control, 전자식 차량자세 제어장치)는 북미(’11), EU(’11), 일본(’12), 한국(’12) 등 주요국의 의무장착대상. 일부 국가는 후방카메라・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타이어 공기압 경보장치) 등도 추가 의무화 추진



201541510407ugpsd2i902.jpg

· 한국이 주도하는 반도체・디스플레이 시장 내에서 자동차 분야는 존재감 미미
  ※ 그러나, 세계 최고수준 ICT 및 5위 자동차업체 보유로 시장선도 잠재력 충분하므로, 핵심기술의 내재화, 업계 및 대・중소기업간 상호성장 기반 마련 필요



20154151040471q904q7hkq.jpg

-MDS테크놀로지는 ‘스마트자동차’ (2014.3.13., 한국정보산업연합회, ‘2014년 IT산업 7대 Mega Trend’)에서 무인자동차 개발에 앞장서고 있는 구들과 애플의 플랫폼 경쟁에 대해 소개

· 애플은 iOS를 기반으로 ‘iOS in the car’ 전략을 발표하고 BMW, 벤츠, GM, 혼다 등과 협업을 통해 계기판과 센터콘솔 등을 통합하는 계획을 발표하였으며, 스마트폰에서의 성공을 바탕으로 차량의 UI/UX를 혁신하는 플랫폼 비즈니스를 진행 중
  ※ 애플의 접근전략은 자동차 고유의 영역에 네비게이션과 미디어센터 같은 기기를 iOS 기반으로 사용자 경험을 추가하는 움직임을 보임

· 현대차 및 Audi와 GM, 혼다 등 글로벌 자동차 4개사 외에 IT 전문 업체인 nVIDIA와 손잡고 ‘열린 자동차 연합’(Open Automotive Alliance)을 창설키로 합의
  ※ ECU를 비롯한 자동차의 전자기기의 신호와 시그널을 직접 받아 다양한 피드백을 하는 자동차 서비스 OS로의 발전이 가능

· 일반적으로 자동차 관련 업체들이 기술을 플랫폼에 종속시키려는 움직임을 보이나 구글은 자동차 전체의 플랫폼을 구글의 것으로 장악하려 움직이고 있고, 현재 여러 분야로 파편화되어 진행되고 있는 다양한 표준이나 협력관계와 차별성을 지니고 있음


20154151041390m893m5dgm.jpg

· 유럽의 경우 eSafety 등 정부주도의 60여개 사업을 수행하고 있고 미국 역시 정부 주도하에 IntelliDrive, VSC, CICAS 등 14개의 사업이 수행중이며 현재 시제품의 개발을 완료 및 상용화 단계에 이르고 있어 국내와 비교할 때 약 3~5년 정도 앞서 있음 
  ※ 아직 우리 정부는 부처/업체간의 협력 부족, 시스템적인 문제로 인해 발전 속도가 더딘 실정인데, 국제표준이 제정된 후 대응하는 안이한 태도가 아니라 정부 주도로 스마트 자동차 관련 기술과 표준화 지원을 강화 하고, 기술개발 시 표준화를 염두에 두고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 내연기관의 성능, 디자인, 연비가 지금까지 자동차 산업의 주요 이슈였다면 지금 자동차 업계 최대의 화두는 어떤 스마트한 기능들을 탑재하고 그 기능의 표준을 제시하는 것임




27
  • 기사입력 2015년04월15일 10시44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