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아름드리

정부 연구개발 기획ㆍ예산ㆍ평가 기능 간 연계체계 분석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15년11월17일 19시10분

작성자

메타정보

  • 43

첨부파일

본문



[요약]

- 정부 연구개발사업 기획

 

· 우리나라 연구사업 기획체계의 첫 번째 특징은 정부가 주도적으로 기획 단계의 참여 주체를 구성다는 점

 

  ※ 정부는 사업기획의 기본방향이나 개념 및 기본철학을 수립하고 후보과제 및 최종과제를 선정하는 전체 기획과정이 정부정책과 부합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최종의사결정을 내릴 뿐만 아니라 정부-기획추진위원회-전문관리기관이라는 3자 추진체계를 구성하는 데에 주도적인 역할을 함

 

  ※ 기획추진위원회는 산·학·연을 포괄하는 전문가들의 연결망으로서 사업의 기본 개념 및 철학을 수립하고 과제를 선정하는 기획 실무를 담당하는 참여주체이며, 전문관리기관은 정부와 기획추진위원회의 활동을 지원함으로써 전문성 있는 기획결과물의 생산에 일조

 

· 우리나라 연구사업 기획체계의 두 번째 특징은 기획방법과 절차에 있어서 상향식과 하향식의 절충

 

  ※ 기획추진위원회는 1년 이내에 관련 전문가들의 네트워크의 역량을 집중적으로 발휘함으로써 기획 작업을 수행하고, 그 결과물로서 기술환경기획, 기술개발목표 및 방법의 기획, 연구조직 및 관리의 기획, 사업화 및 실용화 기획, 연구자원소요기획 등 기획목적에 맞는 기획지침들을 상세하게 제시하고 경쟁 공모를 통해서 그러 기획 목적에 부합하는 과제들을 선정

 

 

2015111719056p04n901780.jpg
 

- 정부 연구개발사업 예산


· 정부연구개발예산은 국가재정운용계획에 따라 각 부처에서 중기사업계획서를 미래부와 기재부에 제출함에 따라 시작


  ※ 미래부는 과학기술기본법 제12조의2에 근거하여 각 부처의 중기사업계획서를 검토하고, 국과심의 심의를 거쳐 정부연구개발투자 방향 및 기준을 마련하여 기재부와 각 부처에 통보. 기재부는 중기사업계획서 및 미래부의 연구개발투자방향 및 기준을 검토하여 총 연구개발예산규모 및 부처별 연구개발예산의 지출도를 설정. 이후 지출도에 따라 각 부처는 예산요구서를 기재부에 제출. 미래부는 각 부처의 연구개발예산 요구서에 대해 국과심의 전문위원회를 통해 예산 배분방향을 수립해서 기재부에 통보. 기재부는 국과심의 예산배분조정안을 고려해서 예산심의를 수행하고, 편성


  ※ 정부연구개발예산 편성과정의 경우 미래부와 기재부의 이원화된 구조를 가지고 있음. 비록 미래부와 국과심이 연구개발 예산의 조정배분안을 기재부에 제출하고, 기재부가 예산심의 및 편성과정에서 이를 고려하지만, 결국 연구개발예산에 대 최종안은 기재부의 예산심의 및 편성과정을 통해 산출  


2015111719132z4uwh4m024.jpg

기초과학의 경우 2011년 약 9천억원에서 2015년 1조7천억원으로 연 평균 증가율이 15.7%를 나타내어, 다른 분야와 상대적으로 높은 증가율을 나

타내고 있음


  ※ 우리나라의 경우 기초과학에 대 투자가 미흡하다는 일련의 비판이 존재하는데 통계적 수치만으로는 기초과학 투자가 미흡하다는 비판은 그 증거가 약하다고 판단될 수 있음. 우리나라의 경우 연구개발 투자의 성과가 미흡 문제는 특정 분야 가령 기초과학에 대 투자가 미흡함에 따라 나타난 문제라기보다는 연구개발 체계라는 시스템 안에서의 내부과정의 구조적 문제점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음



2015111719217h7cep7u457.jpg
· 기초과학의 경우 2011년 약 9천억원에서 2015년 1조7천억원으로 연 평균 증가율이 15.7%를 나타내어, 다른 분야와 상대적으로 높은 증가율을 나

타내고 있음


  ※ 우리나라의 경우 기초과학에 대 투자가 미흡하다는 일련의 비판이 존재하는데 통계적 수치만으로는 기초과학 투자가 미흡하다는 비판은 그 증거가 약하다고 판단될 수 있음. 우리나라의 경우 연구개발 투자의 성과가 미흡 문제는 특정 분야 가령 기초과학에 대 투자가 미흡함에 따라 나타난 문제라기보다는 연구개발 체계라는 시스템 안에서의 내부과정의 구조적 문제점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음



201511171931715904562i5.jpg

- 정부 연구개발 성과평가


· 우리나라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체계는 연구수행기관(부처) 중심으로 성과평가가 이뤄지는 독일, 미국 등과는 다소 차이점을 보이며, 문부과학성, 경제산업성 등 부처별 연구개발사업 및 연구기관(문부성 산하)단위 평가를 수행하는 일본과 보다 유사 형태를 갖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음


  ※ 연구개발의 성과와 관련하여 논문수의 경우 양적 증가에도 불가하고 피인용과 관련된 통계를 살펴보면, 질적 증가는 정체. 이에 논문당 평균 피인용건수는 ’04-’08년 기간 대비 ’07-’11년 기간 3.3회에서 3.77회로 늘어났으나 OECD 평균에는 여전히 미달


  ※ 정부 연구개발 특허성과를 특허 품질지표를 통해 분석 결과, 우수 특허 비율은 외국인의 약 1/7 수준에 불과. 국내 대학 공공연구소의 특허성과 활용 실적을 나타내는 연구생산성이 미국의 약 1/2 수준에 불과


  ⇒ 세계지적재산권기구 (WIPO)에 의해 발표되는 글로벌 혁신지수의 경우 2013년 기준 양적인 지표를 의미하는 지식창출에서는 우수 순위를 나타내고, 있으나, 창출된 지식을 사업화하는 지식효과 및 지식확산 등 질적인 수준에서는 양적 성과 대비 미흡 성과를 나타내고 있음



20151117193460n893n5ehn.jpg

- 기획-예산-평가 기능 연계체계 거버넌스 문제점 진단


· 미래부의 사업조정 및 예산배분의 경우 기재부가 최종적인 예산편성 및 부처별 지출도 설정권을 지님에 따라 제적으로 운용될 수밖에 없는 계가 존재


  ※ 미래부의 연구개발 조정권의 경우 제적으로 운용될 수 밖에 없는 구조적 계를 지님을 확인할 수 있음


· 과학기술정책 및 연구개발사업에 대 조정기제인 국과심의 경우, 종합적인 연구개발 조정 및 컨트롤타워 역할과 권이 미약하다고 평가될 수 있음


  ※ 국과심이 운영하는 전문위원회의 실질적인 역할은 관련 사업에 대 전문가 의견을 제시하는 것으로 전문위원회에서 사업이 조정되거나, 예산이 결정되는 것은 아님. 단순히 전문가 의견으로 활용될 뿐이며, 실질적인 의사결정은 기재부의 예산심의 및 편성과정에서 이루어지게 됨


2015111719413ozjlw0b670.jpg

- 기획-예산 기능의 연계체계 문제


· 과학기술기본계획 2015년 시행계획과 2015년 연구개발 투자방향의 경우 포괄적인 측면에서 상호 연계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는 있지만, 구체적으로 기본계획의 19개 분야와 연구개발 투자방향의 중점투자분야가 어떻게 연계되어 있으며, 어떤 전략적 틀 내에서 연관성 있게 수립되어 있는지 불분명


· 국가중점과학기술 전략로드맵의 경우 개발목표만 제시되었을 뿐, 투자계획이 제시되어 있지 않아, 로드맵에 따라 예산이 연계되어 추진되는지 그 연계성을 파악할 수가 없음


· 연구개발 예산이 부처수준에서 먼저 예산이 배분되고, 이후에 분야-프로그램-사업-과제 등 프로그램 예산이 편성되는 예산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정책전략과 목적에 따라 세부사업이 결정되지 못하고, 예산규모에 의해 사업 내용과 범위가 결정되는 문제점 존재


  ※ 중장기적인 연구개발사업 기획이 불가능하며, 국가 전체 차원의 전략기획에 따른 연구개발 추진이 불가능 구조적 계가 존재


· 우리나라의 경우 연구개발 성과평가를 예산반영에만 초점을 둠으로써 성과관리를 위 성과평가가 아닌 기관을 통제하기 위 수단으로 활용하는 데 초점을 두는 경향


  ※ 미국이나 독일의 경우 성과평가의 결과를 예산배분이나 보상 등 통제 관리를 위 수단보다는 전략계획의 수정이나 프로그램 운영 개선 등에 주로 활용


2015111719451a48x345124.jpg

- 예산-평가 기능의 연계체계 문제


·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 연구개발예산에 대 심의는 프로그램예산제도의 세부사업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성과평가는 세부과제를 대상으로 하고 있어, 세부과제 중심의 성과정보가 세부사업 중심의 예산심의 과정에 정합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음


· 부처 간 사업예산 확보를 위 경쟁뿐만 아니라 부처 내에서도 세부과제를 확보하기 위 과다 경쟁이 발생할 수 있는 구조에서는 부처내의 유사사업 및 부처 간의 유사·중복사업이 발생


· 세부과제의 성과에 매몰되어 연구개발주체 간 과도 경쟁으로 실질적인 연구개발보다는 프로젝트가 채택되는 데 더 초점을 두는 문제 발생


- 행정체제-수행주체 간 균형 문제


· 다양 과학기술 행정체제는 다양 행정수요를 낳고, 관리와 최적화라는 미명으로 연구현장에 깊숙이 관여하고 있으며, 연구현장에 대 관리적 개입으로 연구수행주체(츨연연)에게 정량적 성과 중심의 성과 목표를 요구


· 연구개발 정부투자에 대 연구성과 창출이 현상 대응적으로 나타남에 따라 정부 및 연구관리전문기관은 연구현장을 불신하여 더더욱 가혹 잣대로 연구현장을 관리



201511171953838126v8mpw.jpg

-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수행 단계에 ‘계산과학’을 제도적으로 도입, 적용하여 국가 차원의 연구개발예산 효율화 및 연구사업 생산성 제고 도모 필요


· 1차적으로 출연연 연구사업을 대상으로 시범사업 적용을 통해 우수사례를 발굴하고, 이를 기반으로 초고성능컴퓨터, 데이터 및 네트워크 인프라 등 환경을 구축할 필요


  ※ 이후 계산과학 적용이 가능 국가 연구개발사업의 경우 초고성능컴퓨팅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지원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



2015111719689js8fjl013.jpg


[comment]

- 국산업기술진흥원은 ‘미국 정부기관 R&D 과제 지원 및 관리 프로세스 분석’ (2015.7.8.)에서 미국 정부기관의 연구개발과제관리는 단순 과제의 진도 및 성과관리의 차원을 넘어서 사업 및 기술의 불확실성과 기술혁신의 이해를 바탕으로 개발된 기술혁신체계가 연구개발과제관리 등 다양 기술혁신기능을 유기적으로 통합하여 운용되고 있는 내용을 소개

 

  ※ 기술로드맵관리 - 연구개발과제 테마 발견 및 개발

  ※ 연구개발과제 포트폴리오관리 - 연구개발과제관리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며 연구개발 투자의 효용가치를 최대화함

  ※ 연구개발과제관리 - 표준화된 일반 과제관리 프로세스를 응용하여 연구개발과제 특성에 맞추어 운영되고 있으며 적절 시점에서의 커뮤니케이션 증대, 진행상황 감독 및 체계적 평가체계를 적극 활용하고 있음

  ※ 기술이전 및 성과 활용관리 - 연구개발과제의 성과를 사업에 활용하기 위해 연구개발과제의 선정단계에서부터 개발종료 후 평균 5년 후까지의 추적관리까지 포함 폭넓은 프로세스를 개발 및 활용하고 있음

  ※ 이득관리 (Benefit Management) - 연구개발과제의 성과를 실제 실현하기 위 관리 프로세스로서 연구개발과제의 구체적으로 정의된 이득  (benefit) 이라는 틀 안에서 다른 기술혁신관리프로세스를 유기적으로 통합하는 역할을 함

 

·  다양 연구개발과제의 평가와 유연성 있는 포트폴리오 운용을 통해 기술혁신의 기회 실현을 극대화

 

  ※ 과제선정평가, 과제 주기상의 각 단계별 단계평가 (stage gate evaluation), 연간 포트폴리오 갱신을 위 기존과제의 go/stop 평가 (Technology Innovation R&D Summit Evaluation, Pruning Evaluation), 과제 종료시점에서의 성과평가를 시행하고 있음

  ※ 모든 평가단계에서 과제의 조정 및 중지를 시행 함

  ※ 연간 시행되는 기존 과제의 go/stop 평가는 기존 포트폴리오에서 비교적 열등 10-15% 정도의 과제를 중지시킴으로서 경쟁적이고 엄격 과제관리를 유도하고 기존 포트폴리오를 갱신함으로써 연구개발 투자의 효과를 극대화함

  ※ 기술혁신과 연구개발과제관리의 특이성을 반영 연구개발과제관리 및 포트폴리오의 원칙을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실천함으로써 체계적이고 일관적인 과제관리를 실현함

 

2015111719714c59z456235.jpg
 

- 정부는 ‘정부 R&D혁신방안’ (2015.5.13.)에서 정부 R&D지원체계를 중소 및 중견기업 중심으로 개편, 교수 및 대학지원사업 평가시 산학협력실적 반영을 강화, R&D혁신을 강력히 추진하기 위해 정부 R&D 컨트롤타워기능 강화 방안을 추진하는 내용을 발표


① (기업주도 R&D) 기업․출연연 등 공동신청 방식 ⇒ 「先기업선정 - 後공공연 매칭」도입


· 좀비기업 방지를 위해 기업부담ㆍ현금부담* 비율 상향


  ※ 예) 중소기업 부담율 25 → 35%, 현금부담율 10 → 30%


② (대학의 기업지원 강화) 교수․재정사업 평가지표 개선


· (공대교수 평가지표) 현재 교육, 연구실적, 학생지도 3개에 산학협력 실적 추가


· (대학 R&D 사업 평가지표) 기업부설연구소 유치, 중소기업 기술애로센터 설치 및 지원 실적 등 산학협력 실적 반영


③ (연구단계별 특화된 지원) 연구 단계별 특화 및 연결


· (기초연구) 소액기초연구자지원(‘15년1.1조원)은 연구자 맞춤형으로 개선, BK-21+ 등 대학지원사업은 대학특성화 및 구조조정과 연계 추진


  ※ 現) 3년/연 5천만원으로 획일적 ⇒ 수학·이론물리 분야 등 연구기간↑·연구비↓


· (원천연구) 기업 수요를 전제로 과제 기획 및 국내외 시장 분석 의무화, 대형 사업단과제(64개 사업단)는 중간점검 강화


· (상용화연구) 기업 스스로 과제를 제시하는 자유 공모형으로 전환, 일정규모 이상 과제는 비즈니스 모델(BM) 제시 의무화


  ※ (중기청) ‘13년 75% → ’17년 90% / (산업부) ‘13년 33% → ’17년 50%


· (성과 연계) 기초 → 원천 → 상용화 성과 이어달리기 활성화


  ※ (예) 미래부 지원으로 개발된 항암신약 → 복지부 사업으로 단절없이연계되어 대형 해외 기술이전 성사


④ (전문관리기관 효율화) 부처별로 분산된 R&D전문관리기관 (18개)도 효율적으로 재편


· 산업계․시장 중심으로 기획전문가(PM, Project Manager) 확대 등 기획평가에 대 지원 강화



⑤ (과기정책 Think Tank) 기획․평가(KISTEP), 과학기술 관련 정책 연구(STEPI) 및 정보수집·분석(KISTI 기능 일부) 기능을 통합 (가칭)“과학기술정책원” 설립


· 컨트롤 타워 강화를 위해, 국과심 사무국을 미래부 內 별도 조직으로 분리․설치(가칭 과학기술전략본부)


- 유주 숭실대 교수 등은 ‘국내 R&D 전문관리기관의 R&D 기획ㆍ평가ㆍ관리비의 효율성 분석에 관 연구’ (2015.3.)에서 연구 관리기관의 기획·평가·관리비의 지원규모 결정에 있어 부트스트랩에 의해 제시된 신뢰구간 범위에서 물가상승률을 반영하는 것이 기관의 운영독립성과 연구 관리업무의 질적 고도화의 선결조건이라는 의견 제시


· 효율성 분석에서 제시된 유형별로 기획·평가·관리비의 규모 차이가 나타나고 있어 획일화된 지원보다는 차별적 지원방안을 위 법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발전을 위 대안임


· 정책적 대안개발 시 단기적인 임시방편보다 장기적인 측면에서 계획을 수립하여 국가 연구사업체계를 정비할 필요가 있으며, 정부의 지원과 더불어 전문기관별 기획·평가 업무에 대 체계적인 성과평가모델을 구축하여 우수 성과를 달성 기관에 대하여 지원을 강화하는 positive 방법으로 전환해야 할 것임


· 각 기관별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정보화 예산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연구 관리기관의 통합 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정보관리와 향후 이용측면에서도 효율적이 방법이라 할 수 있음


· 이러 정부의 지원정책과 더불어 연구기획평가비의 편성과 집행현황에 대하여 전문기관별로 모니터링 제도를 강화하여 기관의 운영특성을 지표화하기 위 엄격 평가제도 도입이 시급 


20151117198127dn6aef891.jpg
20151117198181oy0loq235.jpg

- 정보통신기술지원센터는 ‘정보통신 연구개발 전주기 지원 효율화 방안 연구’ (2015.3.)에서 ICT R&D의 생산성 제고를 위해서 탈추격형 R&D 지원 체계로의 전환이 요구된다는 점과 5가지 정책방향을 도출


· 인센티브 중심의 R&D 체계 개편으로의 전환.


  ※ 실패에 대 패널티 제제 방식에서 창의적 R&D에 대 인센티브 지원방식을 확대하여 도전형 ICT R&D 추진기반을 마련해야 함. 기획에서는 Fast Track도입과 재도전 지원사업 확대를 추진하고, 평가에 있어서는 성공에 대 보상 강화를 위 차등적 인센티브의 확대와 성실 수행정도에 따른 평가 단계를 간소화 할 필요가 있으며, 성과관리에서는 우수 R&D과제에 대 후속 R&D지원과 컨설팅을 강화하고, 연구개발성과의 옴니버스식 성과대전 개최가 필요


· 산학연 주체별 특성이 반영된 전주기 개편이 필요


  ※ 기획 부문에서는 중소벤처기업은 상용화 R&D에 집중하고, 대학은 우수인재 양성과 창업전진기지로서의 역할을 강화시키며, 출연연은 기초원천과 상용화 R&D를 점진적으로 분리하여 각 영역에 집중 할 필요가 있음. 평가에 있어서는 연구의 효율성‧전문성 제고를 위 산학연 주체별 맞춤형 평가‧관리 체계를 도입할 필요가 있음. 기업평가는 외부환경 변화를 즉각적으로 단계평가에 반영하고, 대학은 연구 인력의 취업‧ 창업 활동결과를 평가지표에 반영 할 필요가 있으며, 출연연은 기술성 뿐만 아니라 창의성과 혁신성에 중점을 둔 평가지표를 개발할 필요가 있음. 성과확산 역시 평가지표와 같이 주체별 특성 맞춘 성과지표 개발이 필요하며, 기업의 후속 사업화 지원, 대학의 과제 종료 후 인센 티브 지원, 출연연의 연구비 추가지원‧기간연장 등이 필요


· 개방‧협력 R&D 확대가 필요


  ※ 시장‧기술 트렌드 변화에 유연 하게 대응 가능 ICT R&D 지원체계 강화가 필요함. 개방형 혁신클러 스터를 조성하고 글로벌 과제기획 프로세스를 구축 할 필요가 있으며, 전 주기에 걸친 글로벌 평가관리 프로세스 체계와 성과확산을 위 관련 규정 제도, 제도개선, 컨설팅 지원 등의 기반구축이 필요


· ICT R&D 프로세스 다변화 노력이 필요


  ※ 현재 목적별 R&D 트랙의 특성을 반영하여 목적에 맞게 전주기 프로세스를 다변화 할 필요가 있음. 기술수요조사를 통 Top-down방식을 벗어나 목적별 (기초‧원천, 공공융합, 기업지원) 특화된 기획방식의 도입이 필요하고, 각각에 특성화된 평가지표 개발과 평가관리 프로세스 다각화가 필요하며, 성과확산은 시장성 있는 기술발굴을 위 기술사업화 환류체계 도입이 필요


· 연구개발 친화형 환경조성이 필요


  ※ 연구자의 행정업무부담 경감을 위해 과제제출부터 협약까지의 소요기간을 단축하고, 진도점검, 현장방문점검들을 최소화 하여야 하며, 연구개발 성과의 성공적 확산을 위 성과관리·홍보 관련 행정 지원시스템의 마련이 필요



 

43
  • 기사입력 2015년11월17일 19시10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