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에서는 연구진의 논문 및 자료와 함께 연구원 주최 세미나의 주제발표 및 토론내용 등을 PDF 파일로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기업 ESG 경영 확대에 대한 산업 정책적 접근과 시사점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1년11월21일 16시50분

메타정보

  • 0

본문

▲ 김 용  KIET산업혁신정책실|부연구위원

▲ 조재한 KIET산업혁신정책실|연구위원

▲ 송단비 KIET산업혁신정책실|부연구위원

 

1. 최근 기업 경영환경 속 사회적 가치를 반영한 ESG 경영에 관한 관심이 증대함에도 불구하고, 국내 ESG 경영과 관련한 정책 논의는 ESG 정보공시 표준화에 치중된 한계

 

2. 국내 상장기업의 ESG 역량과 재무성과 간의 유의미한 관계가 관찰되며 이는 ESG 가치 확대에 따른 국내 산업환경의 변화가 이미 진행되었음을 의미

 

╺ 국내 868개 기업을 대상으로 ESG 등급과 자산수익률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산업 내 높은

ESG 역량을 가진 기업의 자산수익률이 높은 것으로 관찰됨.

╺ ESG 등급과 자산수익률의 관계는 산업별로 차이를 보이며, 이는 ESG가 추구하는 가치 확대에 따른 산업변화의 기회와 도전이 산업별로 상이함을 시사

 

3.ESG 경영과 실적 간의 실증적 증거는 ESG 가치 추구가 기업 경영 과정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산업 환경 변화 요소임을 의미

 

4. 산업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기업의 ESG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과 기초자료로 K-ESG 지표의 활용, 정책 대상 및 수단의 구체화, 핵심 분야 선정에 집중 필요

 

① 정책 역할: K-ESG는 산업별 ESG의 현황 진단에 초점을 두고 시장 투자자를 위한 민간ESG 평가와 차별화, 산업 특성을 고려하여 보완적 역할 추구

② 정책 대상: ESG 가치 중심의 산업환경 변화에 대한 정보 및 대응 여력이 부족한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ESG 역량 진단 및 역량 강화 솔루션 제공

③ 정책 수단: ESG를 위한 투자세액공제, 금융 지원, 경영·법률 컨설팅 등 기업의 실질적 ESG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수단 고려

④ 핵심 분야: 중요 도전과제로서 개선 필요성이 높은 환경(E) 부문 역량 강화를 위한 연관 기술 R&D 등 맞춤식 정책 마련이 필요

 

 ※ 이 보고서는 산업연구원이 발간하는 i-KIET산업정책이슈 제122호(2021.11.2.)에 실린 것으로 연구원의 동의를 얻어 게재합니다. <편집자>​

 

0
  • 기사입력 2021년11월21일 16시50분
  • 검색어 태그 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