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에서는 연구진의 논문 및 자료와 함께 연구원 주최 세미나의 주제발표 및 토론내용 등을 PDF 파일로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특집>지방소멸 해법으로서의 외국인 정책 현황과 과제 - 국토연구원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5년03월31일 14시04분
  • 최종수정 2025년03월31일 14시04분

작성자

메타정보

  • 0

첨부파일

본문

초저출생·고령화 추세로 인구 감소와 지방 소멸 위기감이 본격화되면서 정부는 기존의 폐쇄적인 이민정책에서 ‘지역 중심형 이민정책’으로의 정책의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지역 내 외국인 증가가 가져올 사회적 비용에 대한 걱정과 우려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지역 내 외국인 수용을 통해 한국 사회의 고질적인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을까? 외국인 이주노동자가 지역발전의 선순환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정책 지원이 필요할지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국토연구원은 이같은 필요성을 반영해 ▲유희연 국토연구원 부연구위원의 기획으로 [월간국토2025년 3월호]에서 ‘지방소멸 해법으로서의 외국인 정책 현황과 과제’를 주제로 한 특집을 마련했다. 특히 국토 시론으로 ▲장태평 대통령소속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 위원장이 제시한 ‘농어촌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외국인 이주노동자 활용방안’ (이 글은 ifsPOST 뉴스인사이트에 별도게재  https://www.ifs.or.kr/bbs/board.php?bo_table=News&wr_id=54892)도 함께 소개하고 있다.

 

특집의 분야별 주제는 다음과 같다.

 

➀ 지역 기반 이민정책 추진 현황과 향후 과제

 ▲ 박민정 이민정책연구원 연구위원

➁ 지역이민정책 쟁점과 과제

 ▲ 이규용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

➂ 인력 부족, 외국인으로 해결할 수 있을까?

 ▲ 김혜진 국립부경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➃ 인구감소지역 외국인 이주노동자 체류실태와 지역활력 촉진방안

 ▲ 유희연 국토연구원 부연구위원

➄ “Visa Incentive” is not Everything:호주의 지역 기반 외국인/이주노동자 정책 경험이 주는 교훈

 ▲ 정동재 한국행정연구원 연구위원

 

<ifsPOST>

 ※ 이 자료는 국토연구원이 발간한 [월간국토] 2025년 3월호(통권521호)에 실린 것으로 연구원의 동의를 얻어 게재합니다. <편집자>​

 

​ 

0
  • 기사입력 2025년03월31일 14시04분
  • 최종수정 2025년03월31일 12시29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