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에서는 연구진의 논문 및 자료와 함께 연구원 주최 세미나의 주제발표 및 토론내용 등을 PDF 파일로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한-이집트 수교 30주년: 경제협력 성과 및 과제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5년03월26일 11시44분
  • 최종수정 2025년03월26일 11시44분

메타정보

  • 1

첨부파일

본문

<요약>

 

▶ [개요] 한-이집트는 1995년 수교 이후 2016년 ‘포괄적 협력 동반자 관계’로 협력 관계를 격상했으나 최근 이집트의 산업 정책 및 경제협력 수요를 반영한 경제협력 다변화 모색 필요

 

  - 수교 30주년을 맞은 한-이집트는 천연가스, 자동차, 석유제품, 전자제품 등을 중심으로 교역 관계를 이어왔으나 최근 방산, 원전, 신재생에너지 등에 대한 이집트 측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 2022년 한-이집트 정상회의를 계기로 양국간 방산, 원전, 철도 등의 협력이 확대된 바 있음.

  - 이집트 엘시시 대통령은 2024년 3선에 성공하면서 7대 국정과제를 발표한 바 있으며 전자산업, 석유화학, 자동차, 신재생에너지, 디지털 등 다양한 분야에 걸친 육성 정책 추진을 통해 산업 다각화를 시도하고 있어 한-이집트 간 산업 협력 확대에 우호적인 환경이 조성되고 있음.

 

▶ [한-이집트 경제협력 성과] 한국과 이집트는 2022년 한-이집트 정상회의에서 FTA 체결을 위한 공동연구 MOU에 합의하였으며 방산, 무역, 담수화, 전기차, 철도 인프라 등의 분야에 걸쳐 협력을 추진함.

 

  - 이집트는 석유제품(나프타), 천연가스 등이, 한국은 자동차, 합성수지, TV 등이 양국간 주요 수출품목이며 최근 이집트의 동지중해 가스전 탐사 참여 등이 이뤄지면서 천연가스 협력 확대 가능성이 높음.

  - 우리나라는 2018년 유상원조 대폭 확대를 통해 카이로 메트로 전동차 구매 사업, 룩소르-하이댐 철도 현대화 사업 전략 패키지, 철도 전자연동시스템 구축사업 전략 패키지 등 철도산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왔으며 이는 현대로템의 현지 공장 건설과 같은 민간 기업 진출로 이어짐.

 

▶ [협력 과제] 한-이집트 수교 30주년을 맞아 중장기적 협력 파트너 관계를 공고히 하기 위해서는 AfCFTA, BRICS+ 등과 같은 이집트의 수출 네트워크 활용, 인프라 협력 확대, 인구 1억 명 이상의 소비시장 겨냥, 그리고 산업 수요에 맞는 협력 다변화 모색이 요구됨.

 

  - 이집트는 아프리카대륙자유무역지대(AfCFTA) 시범운영국가(GTI) 8개국 중 하나이며 아프리카에서도 제조업이 가장 발달한 국가 중 하나이기 때문에 노동집약형 제조업 기업 진출을 통해 유럽, 아프리카, 그리고 중동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기반 마련

  - 이집트 정부는 수에즈 운하 및 수에즈 운하 경제구역(SCZone)을 중심으로 항만 확대 조성, 산업단지 조성 등과 같은 인프라 개발에 나서고 있으며 이를 통해 곡물 및 에너지 물류 허브로의 도약을 꾀하고 있어 한-이집트 협력을 넓힐 여지가 있음.

  - 이집트가 동지중해 천연가스 개발을 위한 탐사 활동을 본격화함에 따라 우리 기업의 안정적인 천연가스 확보를 위해 가스전 개발 참여 혹은 지분 확보 등에 참여할 수 있는 전략 마련이 요구됨.

  - 이집트 내에서 한국산 식품 및 화장품, 의료보건기기 수요가 증가하는 점을 고려하되 할랄 기준에 부합하는 한국기업의 소비재 수출 모색

  - 최근 방산, 원전 등의 분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므로 정부간 협력을 공고히 하는 한편, 이집트 정부가 그린수소 생산 기반 구축 및 천연가스 생산을 통한 수소 공급을 추진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수소 활용 및 운반 등에 관한 연구 협력 강화 필요

  - 우리 정부가 이집트 철도 기반 구축을 위한 유상 원조 공여를 지속해온 점을 고려하여 이집트 내 철도 및 전기차 도입 등에 관한 유무상 연계형 패키지 사업 발굴을 통한 협력 효과성 제고가 요구됨.

 

* 저자

 ▲ 강문수 KIEP 세계지역연구2센터 아프리카중동·중남미팀 부연구위원

 ▲ 이다운 KIEP 세계지역연구2센터 아프리카중동·중남미팀 연구원 

 

<ifsPOST>

 ※ 이 자료는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이 발간한 [KIRP 세계경제 포커스 Vol. 8 No. 11] (2025년 3월 24일)에 실린 것으로 연구원의 동의를 얻어 게재합니다. <편집자>​

 

 

1
  • 기사입력 2025년03월26일 11시44분
  • 최종수정 2025년03월26일 10시44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