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부파일
관련링크
본문
□ 종합 평가
◯ 12월 취업자 수는 전년동월대비 5만 2천명(-0.2%) 감소하였으며, 비경제활동인구 3만명 증가, 일시휴직자 7천명 증가
- 12월 고용률(61.4%)은 전년동월(63.7%)대비 0.3%p 감소
- 30-39세, 50-59세, 60세 연령 구간을 제외한 연령 구간에서 고용 감소
- 60세 이상 취업자 전년동월대비 16.2만명 증가, 전월대비 65만 2천명 감소
- 전년동월대비 건설업(216만 8천명→201만 1천명, -7.2%),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140만 2천명→134만 4천명, -4.2%), 도매 및 소매업(326만 7천명→317만 2천명, -2.9%), 제조업(449만 8천명→440만 1천명, -2.2%),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273만 2천명→272만 9천명, -0.1%) 감소
◯ 1월 수출은 전년동월대비 10.3% 감소
- 전년동월대비 수출은 10.3%, 수입은 6.4% 감소, 무역수지는 전년동월대비 21.4억 달러 감소한 18.9억 달러 적자
- 품목별 수출변화율(%)은 (석유제품) -29.8, (일반기계) -21.7, (자동차) -19.6, (가전) -17.2, (자동차부품) -17.2, (디스플레이) -16.0, (섬유류) -15.5, (석유화학) -12.8, (이차전지) -11.6, (무선 통신기기) -9.4, (철강제품) -4.9, (선박) -2.1, (바이오헬스) -0.4 등 13개 품목의 수출액이 감소하여 전년동월대비 수출액 증가
- 주요 지역별 수출변화율(%)은 (배트남) 4.0, (중동) -19.9, (중국) -14.1, (CIS) -12.5, (EU) -11.7, (미국) -9.4, (일본) -7.8, (중남미) -6.3, (인도) -4.3, (아세안) -2.1
◯ 12월 산업생산은 전년동월대비 1.4% 증가, 전월대비 12.4% 증가
◯ 12월 소매판매액지수는 내구재, 준내구재, 비내구재가 모두 감소하여 전년동월대비 3.3% 감소
- 1월 소비자심리지수는 전월(88.2)보다 3.0p 증가한 91.2를 보이고, 전년동월대비 10.4p 감소
◯ 12월 설비투자지수는 운송장비와 기계류가 모두 증가하여 전년동월대비 13.1% 증가
◯ 12월 건설투자는 전년동월대비 건설수주액(-26.0%), 건설기성액(-8.3%), 건설업 생산지수 (-8.3%) 감소
◯ 12월 OECD 선행지수는 전월(100.7)대비 동일한 100.7로, 경기선행지수는 하락세를 보이다 2023년 2월 이후를 기점으로 상승세, 1월 통계청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2022년 10월부터 하락세
□ 경제 동향
◯ (생산) 12월 전산업생산지수는 건설업, 공공행정이 감소하였으나 광공업, 서비스업이 증가해 전년동월대비 1.4% 증가
- 12월 전년동월대비 건설업(-8.3%), 공공행정(-5.4%) 감소, 광공업(5.3%), 서비스업(1.2%) 증가
- 12월 서비스업생산은 전년동월대비 운수 및 창고업(9.0%), 금융 및 보험업(2.9%),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2.4%),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1.4%),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1.2%), 정보통신업(0.1%) 항목들이 증가하여 1.2% 증가
- 12월 광공업생산은 전년동월대비 광업(-24.1%)이 감소하였으나, 제조업(5.5%), 전기업 및 가스업(0.5%)이 증가하여 5.3% 증가
◯ (소매판매) 12월 소매판매액지수는 내구재, 준내구재, 비내구재가 모두 감소하여 전년동월대비 3.3% 감소
- 12월 소매판매액지수의 준내구재(0.5%→-3.1%) 감소로 전환, 내구재(-5.6%→-6.7%), 비내구재(-1.7%→-1.8%) 감소
◯ 1월 소비자심리지수는 전월(88.2)보다 3.0p 증가한 91.2를 보이고, 전년동월대비 10.4p 감소
◯ (설비투자) 12월 설비투자지수는 운송장비와 기계류가 모두 증가하여 전년동월대비 13.1% 증가
- 운송장비 증가로 전환(-13.9%→27.8%)
- 기계류 증가(9.5%→8.5%)
- 12월 국내기계수주액은 전년동월대비 5.4% 감소
◯ (건설투자) 12월 건설기성액은 건축부문과 토목부문이 모두 감소하여 전년동월대비 8.3% 감소
- 공종별로 건축부문(-16.1%→-8.3%), 토목부문(-0.4%→-11.4%) 감소
- 건설기성액 중 건축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 68.5%, 토목부문은 31.5%
- 건축부문 수주액은 11월 77.0%, 12월 -1.6% 감소로 전환
- 토목부문 수주액은 11월 45.8%, 12월 –49.3% 감소로 전환
◯ 11월 아파트 매매거래량이 감소하면서 12월 미분양 주택 수는 70,173호로 전월(65,146호)대비 증가
- 12월 미분양주택 수(70,173호)는 전월(65,836호)대비 7.7% 증가
- 11월 전국 아파트매매거래량(36,399호)은 전월(42,914호)대비 15.2% 감소
- 11월 서울 아파트매매거래량(3,773호)은 전월(4,000호)대비 5.7% 감소
- 2025년 1월 아파트매매가격지수(93.1)는 전월(93.2) 대비 0.1p 감소
◯ (순수출) 1월 무역수지는 18.9억 달러 적자로 전월대비 83.8억 달러, 전년동월(2.5억 달러)대비 21.4억 달러 감소
◯ (수출) 1월 수출액(491.2억 달러)은 전년동월(547.3억 달러)대비 10.3% 감소
- 15대 주력품목1 중 13개 품목 수출액 감소
• 석유제품, 일반기계, 자동차, 가전,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섬유류, 석유화학, 이차전지, 무선 통신기기, 철강제품, 선박, 바이오헬스 13개 품목의 수출액 감소하여 전년동월대비 수출액 감소
- 전년동월대비 품목별 수출 변화율(%) : (컴퓨터) 14.8, (반도체) 8.1, (석유제품) -29.8, (일반기계) -21.7, (자동차) -19.6, (가전) -17.2, (자동차부품) -17.2, (디스플레이) -16.0, (섬유류) -15.5, (석유화학) -12.8, (이차전지) -11.6, (무선 통신기기) -9.4, (철강제품) -4.9, (선박) -2.1, (바이오헬스) -0.4
- 전년동월대비 대륙별 수출 변화율(%) : (배트남) 4.0, (중동) -19.9, (중국) -14.1, (CIS) -12.5, (EU) -11.7, (미국) -9.4, (일본) -7.8, (중남미) -6.3, (인도) -4.3, (아세안) -2.1
◯ 1월 수입액(510.0억 달러)은 전년동월(544.7억 달러)대비 6.4% 감소
- 1월 수입물량은 4,805만 톤으로 전년동월대비 6.5% 감소
- 전년동월대비 지역별 수입 변화율(%) : (중남미) 10.3, (CIS) -35.8, (중국) -9.7, (아세안) -9.0, (EU) -5.9, (미국) -5.0, (일본) -4.5, (베트남) -3.5, (중동) -1.7, (인도) -1.5
◯ 12월 OECD 선행지수는 전월(100.7)대비 동일한 100.7
- 경기선행지수는 하락세를 보이다 2023년 2월 이후를 기점으로 상승세
- OECD 경기선행지수는 제조업 재고순환지표, 장단기금리차, 순교역조건, 제조업 경기전망지수, 자본재 재고지수, 코스피지수로 구성
- 2019년 9월 이후, 국내 선행종합지수는 재고순환지표, 기계류내수출하지수(선박제외), 건설수주액, 경제심리지수(이전 소비자기대지수), 수출입물가비율, 구인구직비율(삭제), 코스피, 장단기금리차 7개로 구성
◯ 12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97.6)대비 동일한 97.6
-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광공업생산지수, 서비스업생산지수(도소매업 제외), 건설기성액, 소매판매액지수, 내수출하지수, 수입액, 비농림어업 취업자 수로 구성
- 12월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대비 수입액(0.7%) 증가, 광공업생산지수(1.4%), 서비스업생산지수(0.7%) 증가로 전환, 비농림어업취업자수(-0.2%) 감소로 전환, 내수출하지수(-0.2%), 소매판매액지수(-0.4%), 건설기성액(-0.9%) 감소
◯ (고용률) 12월 고용률(61.4%)은 전년동월(61.7%)대비 0.3%p 감소, 전월(63.2%)대비 1.8%p 감소
- 12월 취업자 수는 전년동월대비 5만 2천명(-0.2%) 감소, 전월대비 78만명(-0.1%) 감소
- 산업별 취업자 수는 전년동월대비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137만명→147만 7천명, 7.8%), 정보통신업(106만 9천명→112만 1천명, 4.9%), 금융 및 보험업(78만 6천명→82만 1천명, 4.4%), 교육 서비스업(188만 2천명→194만 8천명, 3.5%), 숙박 및 음식점업(232만 6천명→233만 8천명, 0.5%) 증가
- 전년동월대비 건설업(216만 8천명→201만 1천명, -7.2%),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140만 2천명→134만 4천명, -4.2%), 도매 및 소매업(326만 7천명→317만 2천명, -2.9%), 제조업(449만 8천명→440만 1천명, -2.2%),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273만 2천명→272만 9천명, -0.1%) 감소
- 연령별 취업자 수는 전년동월대비 30-39세(539만 9천명→549만 5천명, 1.6%), 50-59세(667만 4천명→667만 8천명, 0.1%), 60세 이상(596만 4천명→612만 6천명, 2.7%) 구간 증가, 15-19세(14만 1천명→11만 8천명, -16.0%), 20-29세(367만 8천명→348만 4천명, -5.3%), 40-49세(623만 7천명→614만명, -1.6%) 구간 감소
- 종사상 지위별2 취업자 수는 전년동월대비 임금근로자(2,174만명→2,169만 2천명, -0.2%), 비임금근로자(635만 3천명→635만명, -0.1%) 감소
• 전년동월대비 상용근로자(1,625만 8천명→1,644만 5천명, 1.2%),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414만 6천명→415만 7천명, 0.3%) 증가
• 전년동월대비 일용근로자(94만 4천명→87만 1천명, -14.7%), 임시근로자(446만 2천명→437만 6천명, -1.9%), 무급가족종사자(78만 6천명→77만 5천명, -1.3%),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142만 2천명→141만 7천명, -0.3%), 감소
- 취업시간별 취업자 수는 전년동월대비 18-35시간(407만명→423만 5천명, 4.0%), 일시휴직자(36만 3천명→37만명, 1.8%), 36-52시간(1,840만 6천명→1,845만 3천명, 0.3%) 구간은 증가, 1-17시간(225만 4천명→221만 9천명, -1.6%), 53시간이상(299만 9천명→276만 6천명, -7.8%) 구간은 감소
◯ 12월 비경제활동인구(1,649만 8천명)는 전년동월(1,646만 8천명)대비 3만 명(0.2%) 증가, 전월(1,615만 1천명)대비 34만 7천명(2.2%) 증가
◯ 12월 실업률(3.8%)은 전년동월(3.3%)대비 0.5%p, 전월(2.2%)대비 1.6%p 증가
- 12월 연령별 실업자 수는 전년동월대비 15-19세, 30-39세 구간 연령층을 제외한 20-29세, 40-49세, 50-59세, 60세 이상 구간 연령층에서 증가
◯ 12월 확장실업률(9.7%)은 전월(7.9%)대비 1.8%p, 전년동월(9.3%)대비 0.4%p 증가
• 전년동월대비 잠재구직자(102만 4천명→92만 7천명, -9.4%), 잠재취업가능자(11만 9천명→11만 8천명, -0.8%) 감소, 시간관련 추가취업가능자(72만 7천명→75만 9천명, 4.3%) 증가
◯ (금융시장) 1월 국내 금융시장은 전월대비 원화가치 하락, 금리 하락
- 1월 원/달러 환율은 전월(1,434.4원)대비 21.4원(1.5%) 증가한 1,455.8원
- 1월 국고채(3년) 금리는 전월(2.59%)대비 0.02%p 감소한 2.57%
- 11월 예금취급기관 가계대출은 전년동월대비 38.6조원 증가하였으며, 예금은행 대출 및 비은행예금취급기간 대출 전월대비 증가
◯ (국세수입) 11월 국세수입은 22.2조원(소득세 15.1조원, 법인세 2.0조원 등)으로 전년 동월 대비 3.1조원 증가
◯ 11월 누계 국세수입은 315.7조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8.5조원 감소
- (일반회계) 전년동월대비 8.6조원 감소
- (특별회계) 전년동월대비 0.1조원 증가
◯ (산업) 주요 핵심 산업(선박류, 무선 통신기기, 일반기계 등)의 수출액이 감소하여 전년동월대비 수출액 10.3% 감소
- 1월 수출액은 전월(613.7억 달러)대비 122.5억 달러 감소한 491.2억 달러, 전년동월(547.3억 달러)대비 56.1억 달러 감소
(주석사항)
1. 선박류, 무선통신기기, 일반기계, 석유화학, 철강제품, 반도체, 자동차, 석유제품, 디스플레이, 섬유류, 가전, 자동차 부품, 컴퓨터, 바이오헬스, 이차전지
2. 한시적 근로자는 근로계약기간을 정한 근로자(기간제근로자) 또는 정하지는 않았으나 계약을 반복 갱신해서 계속 일할 수 있는 근로자와 비자발적 사유로 계속 근무를 기대할 수 없는 근로자(비기간제근로자)를 포함
<ifsPOST>
- 기사입력 2025년02월13일 11시42분
- 최종수정 2025년02월13일 11시42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