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에서는 연구진의 논문 및 자료와 함께 연구원 주최 세미나의 주제발표 및 토론내용 등을 PDF 파일로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인도 항만 인프라 개발전략 ‘사가르말라(Sagarmala)’의 성과 및 시사점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5년02월13일 14시00분

작성자

  • 남유진
  •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인도남아시아팀 연구원

메타정보

  • 0

본문

<주요 내용>

 

▶ 인도정부는 2015년부터 물류 최적화, 항만 효율성 개선 및 해안 경제 벨트 개발을 위한 항만 인프라 개발전략인 사가르말라(Sagarmala) 전략을 추진하고 있음.

 

  - 7,517km 길이의 해안선을 접한 인도는 무역량의 95%가 바다를 통해 운송되며, 주요 항구의 화물 운송량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 인도의 항만 인프라는 낙후한 인프라, 부족한 화물 처리능력(port capacity), 낮은 내륙 연결성 문제가 존재함.

 

▶ 사가르말라와 관련하여 ‘항만 현대화’, ‘항만 연결성 향상’을 중심으로 262개의 프로젝트가 완료되었으며, 주로 인도의 제조업이 특화된 도시 위주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음.

 

  - 인도정부는 10년간 사가르말라 전략하에 항구 현대화 및 신항구 건설, 항만 인프라 개선, 내륙 교통과의 효율적 연결 관련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음.

  - 사가르말라의 5대 개발 분야는 △항만 현대화, △항만 연결성 향상, △항만 주도 산업화, △해안 지역사회 개발, △연안 운송 및 내륙 수로 활성화임.

  - 사가르말라는 2035년까지 총 5.8조 루피 규모의 839개 프로젝트 완료를 목표로 하며, 2023/24년 기준 262개의 프로젝트가 완료되었음.

  -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주요 지역은 제조업이 특화되고 역내 주요 시장과 지리적 연결성이 높은 타밀나두주, 웨스트벵갈 주, 마하라슈트라 주임.

 

▶ 우리 정부는 인도 항만 개발과 관련하여 협력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

 

  - 사가르말라 시행 이후 인도의 항만 인프라 효율성이 높아지고 물류 환경도 개선되고 있음.

  - 향후 인도정부는 대규모 항만 개발부문에서 법안 개정 및 정책 지원을 통해 민간 투자를 활성화하는 환경을 구축할 것으로 보임.

  - 우리 정부는 △기술협력, △녹색해운(Green Shipping), △산업단지 개발, △개발협력을 포함하여 인도항만 인프라와 관련해 다양한 개발협력 방안을 모색해야 함.

 

<ifsPOST>

 ※ 이 자료는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이 발간한 [KIEP 세계경제 포커스 Vol. 8 No. 4] (2025. 2. 12)에 실린 것으로 연구원의 동의를 얻어 게재합니다. <편집자>​

 

​ 

0
  • 기사입력 2025년02월13일 14시00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