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에서는 연구진의 논문 및 자료와 함께 연구원 주최 세미나의 주제발표 및 토론내용 등을 PDF 파일로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EU 청정산업계획 및 기업지원 패키지의 주요 내용과 평가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5년04월02일 11시00분
  • 최종수정 2025년04월02일 11시00분

메타정보

  • 0

첨부파일

본문

<주요 내용>

 

▶ 2025년 2월 26일 EU 집행위원회의 플래그십 정책인 청정산업계획(Clean Industrial Deal)과 기업 지원 패키지(일명 ‘Omnibus Package’) 발표

  

- 청정산업계획 및 옴니버스 패키지는 지정학적 갈등 고조, 경제성장 동력 약화, 기술경쟁 심화 등에 대해 EU 차원에서 효과적으로 대응해야 할 필요성이 나타난 것에 그 기반을 두고 있음.

 

▶ 청정산업계획의 6대 주요 부문별 정책

  

  - [합리적 에너지 실행계획] 「합리적 에너지 실행계획(Affordable Energy Action Plan)」은 단기적으로 산업, 기업, 가계의 에너지 요금 부담을 낮추는 동시에 필요한 구조적 개혁을 위한 실행 계획

  - [청정제품에 대한 공급/수요 선도시장] △ 지속가능성, △ 회복성, △ EU산 기준 등 비가격 요건을 반영한 공공조달 기준과 ‘산업 탈탄소화 가속법’을 도입하여 청정산업의 수요 부문 확대 촉진

  - [금융] EU 경제의 청정 전환을 위해 에너지, 산업 혁신 및 운송 부문에 대한 투자 확대가 요구됨에 따라 EU 차원의 자금 지원을 위한 기금, 민간자본 유치, 정부보조금 효율성 증대 제시

  - [순환경제] 핵심원자재에 대한 접근성을 강화하고, 동시에 순환성을 탈탄소화의 핵심으로 제시함.

  - [국제협력] 공급망 다각화, 원자재 접근의 안정성 확보와 글로벌 공급망에서 EU의 입지를 다지기 위해 △ 청정 무역 투자 파트너십 협상 개시, △ CBAM 간소화 및 적용 범위 확대, △ EU 산업 경쟁력 강화 및 보호를 위한 조치 강화를 제시

  - [기술 및 양질의 일자리] EU 집행위는 청정산업 전환 과정에서 지역간 사회적 통합, 형평성 증진, 양질의 일자리 제공, 역량 강화를 도모하기 위해 기술교육 지원 및 기술전환기 일자리 지원 프로그램 운영 예정

 

▶ 지속가능성보고지침(CSRD) 및 공급망실사지침(CSDDD) 개정안을 담고 있는 기업 지원 패키지는 규제 적용대상 기업 범위 축소, 기업의 의무사항 경감 등을 통해 기업의 지속가능성 부담 완화 및 경쟁력 강화를 지원함.


▶ 폰 데어 라이엔 2기 집행위원회 출범과 함께 청정산업 및 탈탄소화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을 일관적으로 추진하겠다는 평가에도 불구하고 EU의 기후목표 달성에 미흡하다는 평가 상존

 

* 저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세계지역연구1센터 북미유럽팀

▲ 오태현 선임연구원 

▲ 임유진 전문연구원 

▲ 김초롱 전문연구원 

 

<ifsPOST> 

 ※ 이 자료는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이 발간한 [세계경제 포커스 Vol. 8 No. 12] (2025.3.31.)에 실린 것으로 연구원의 동의를 얻어 게재합니다. <편집자>​

 

0
  • 기사입력 2025년04월02일 11시00분
  • 최종수정 2025년04월02일 10시47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