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에서는 연구진의 논문 및 자료와 함께 연구원 주최 세미나의 주제발표 및 토론내용 등을 PDF 파일로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소비자 주도 디지털헬스케어 플랫폼 기반 의료시스템 혁신-국미연 산업경쟁력포럼 세미나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4년04월20일 17시00분
  • 최종수정 2024년04월20일 17시00분

메타정보

  • 2

첨부파일

본문

제75회 산경포럼, ​ 4월 18일 마포현대빌딩 2층​에서 개최

  

국가미래연구원은 지난 4월 18일 마포현대빌딩 2층에서 제75회 산업경쟁력포럼을 개최하고, “소비자 주도 디지털헬스케어 플랫폼 기반 의료시스템 혁신”을 주제로 발제와 토론을 벌였다.

국경제신문사 후원으로 열린 이날 세미나는 ▲ 강건욱 서울의대 교수(내과 및 핵의학전문의, 서울대학교 생명공학공동연구원 원장)의 발제에 이어  ▲ 조경희 일산병원 가정의학과 교수의 사회로 ▲ 나군호 네이버헬스케어연구소 대표  ▲ 김도연 플라잉닥터 대표 ▲ 이관익 국보건산업진흥원 디지털헬스사업단 단장 등의 지정토론과 참여자 토론 등이 있었다. 

 

c7a1e04ceed0bf09b8ebef4a93b1eeec_1713404
<사진은 좌로부터 김도연 대표, 강건욱 교수, 조경희 교수(사회), 이관익 디지털헬스사업단장, 나군호 소장>

 

다음은 이날 세미나의 주제 발표와 토론 내용을 간추린 것이다.

 

◈ 주제 발표 

▲강건욱 서울의대 교수(내과 및 핵의학전문의), 서울대학교 생명공학공동연구원 원장

 

“소비자 주도 디지털헬스케어 플랫폼 기반 의료시스템 혁신”​

 

<4차산업혁명과 예방·진단 의료>

 

► 미래의학 4P

– Prediction, Prevention, Personalized, Participatory

– 소비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개인맞춤 예방적 치료


► 4차산업혁명과 보건의료

– 유전체, 빅데이터, IoT, 인공지능, 블록체인

– 디지털 보건의료정보(학교, 보건소, 병의원, 검진센터,건강보험공단 등)

 

⇨ 개인 자신의 정보 접근이 매우 제적임

 

► 강건욱 서울의대 핵의학과 교수는 2019년 7월 22일 국회에서 열린 ‘디지털헬스케어 기반 수요자 중심 건강관리체계 구축 방안’ 토론회 토론회에서 ‘소비자 중심 참여형 건강관리를 위 법‧제도개선’이란 주제발표에서 “여러 기관에 흩어져 있는 보건의료정보를 소비자 개인이 검색하고 다운 받을 수 있어야 다.”고 주장

 

<남은 이슈들>

 

1. 마이헬스웨이에는 자기 자신의 생애 전주기 건강정보를 어느 기관까지 검색과 다운로드를 가능하게 할 것인가? 병의원 EMR, PACS(안과영상, 디지털병리영상 포함), 검진센터, 보건소, 학교 예방주사, 발달기록, 공공기관(건보공단, 심평원, 국립암센터), 유전체검사기관 등

 

2. 검색과 보관의 주체는 누가 할 것인가? 보건복지부 등 정부(인증), 공공기관, 개인, 블록체인 등을 운영하는 민간기관, 기존 병의원 및 자회사, 검진예방기관

 

3. 어떤 건강정보와 연결할 것인가? PHR, PACS, 유전체, IoT 생활기록(칼로리 섭취/소모, 혈압, 혈당, 체온, 호흡, 심전도, 수면, 미세먼지, 라돈농도, 주변온습도 등), 카카오톡 등 SNS 분석(우울증, 스트레스지수, 인간관계 등), 24시간 부스형 검사센터(초음파, 혈압, 당뇨검사, 스마트변기 등)

 

4. 빅데이터 AI 를 이용 종합적 건강 분석서비스(정신과적, 사회경제적 분석 포함)는 누가할 것인가? 기존 병의원, 검진예방센터, 유전체분석기업, 플랫폼사업자(카카오, 네이버, 구글 등)

 

5. 마이헬스웨이에 모아진 생애종합 건강정보에 대 연구/상업적 활용을 위 동의, 기부, 거래, 인센티브 지급 등의 절차는 어떻게 할 것인가? 카톡 등을 이용 동의절차 구축, 블록체인을 이용 정보 접근 제 및 모니터링, 페이 백을 위 헬스코인 등 가상화폐 발행

 

6. 어떤 예방 서비스와 연결되고 누가 할 것인가? 개인맞춤 영양, 운동, 금연, 절주 등 생활습관 개선 (배민,쿠팡, 아마존, 마켓컬리 등 맞춤음식, 개인 맞춤 건강기능식품 배달, 스마트 스포츠센터, 스마트 자전거 등 개인맞춤 운동), 백신, 메트포르민, 스타틴, 비타민D 등 예방적 약물투여 (보건소 등 공공기관, 민간 검진예방센터, 기존 병의원, 헬스 플랫폼사업자, 아마존 파마시 등)

 

7. 서비스 질관리 및 인증은 누가 할 것인가? 국보건의료정보원, 대의사협회, 건강관리협회, 국소비자원, 소비자단체협의회, AI 빅데이터를 이용 플랫폼사업자가 분석발표 등

 

<결론> 소비자 주도 건강데이터 기반 디지털헬스케어 플랫폼


► 의료마이데이터 운영 주체 변경

  – 보건복지부 -> 민간기관(의료기관+플랫폼사업자)

  – 보건복지부는 인증 등 관리만

 

► 의료서비스 공급자 -> 소비자로 갑을이 바뀜

  – 의료정보의 관리 주체: 병의원 -> 개인

  – 온오프라인 연결하여 공급자 무 경쟁

 

► 만성질환 예방치료 중심 지역의료 강화

  – 건강데이터 기반 AI 진단과 처방

  – 지역검사센터, 약 배달, 가정간호 서비스 연계

 

◈ 토론Ⅰ

▲ 나군호 네이버헬스케어연구소 대표 

 

“생성형 인공지능시대의 국형  디지털 헬스케어 모델의 구현”

 

► 디지털 의료는 생성형 (Generative) 인공지능 및 대형언어모델 (Large Language Model; LLM)과 같은 혁신적인 기술이 도입되는 시대에는 다음과 같은 4가지 잠재적인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① 의료 서비스 제공의 효율성 향상: 인공지능 기반의 의료기술은 단순 반복 설문 및 환자 교육과 같은 의료 프로세스를 의료인의 개입을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효율화할 수 있다. 

② 의료 의사결정 지원 강화: 인공지능 기술은 의료인에게 의사결정 지원 도구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를 제공하여 증거 기반의 진료, 치료 옵션의 선택 등을 보다 효율화할 수 있다. 

③ 의료 서비스에 대 접근성 향상: 디지털 의료기술은 실시간으로 제공되던 의료서비스를 시공간적 특히 시간적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④ 인간 중심의 서비스 제공 : 인공지능 기반의 솔루션이 미래에는 인간 중심 설계 및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데 쓰일 것이다. 

 

► 생성형 인공지능을 보유하고 있는 나라는 현재 미국, 영국, 중국, 이스라엘과 대민국 등 5개 국가에 불과하다.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은 핵무기에 버금가는 파괴력을 지닌다고 다. 우리나라 의료계가 자체 국어 인공지능 등 국내기술과 훌륭 진료서비스가 결합되는 선도적인 모델을 구현다면, 국형 헬스케어 모델이 다양 분야에서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다.

 

◈ 토론Ⅱ

▲ 김도연 플라잉닥터 대표 

 

“단편적인 비대면 진료 시장의 확장이 아닌 병원의 디지털 전환부터”

 

► 최근 글로벌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은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는데 반해 국내 비대면 진료 시장은 고사 상태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시장 규모가 축소되고 사업 모델 확립이 어려운 상태이다.

► IT 강국으로 평가받는 국에서 글로벌 시장과의 괴리가 발생 이유는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의료 시장은 다른 상업적 시장과는 다르게 서비스 공급자인 의사가 주도하는 시장이다. 그런데 의사 입장에서 국은 진료비 수가가 전 세계에서 가장 낮아 검사나 치료 등의 다른 개별 의료 행위를 통해 병원 경영이 유지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진료비 수익밖에 기대할 수 없는 비대면 진료에 대해 경제적 동기 부여가 되기 어렵고, 또 의학적 리스크에 대 책임 소재도 명확하지 않으므로 비대면 진료에 대 선호도가 매우 낮을 수밖에 없다.

 

 또 환자의 입장에서도 국은 세계 최고의 의료 접근성을 지닌 국가로 평가받고 있기 때문에 특별 상황이 아닌 굳이 비대면 진료를 이용할 동기가 부족하므로 국 의료 시장의 특징을 분석해 보면 의사와 환자 모두 비대면 진료에 대 니즈가 크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결국 국의 비대면 진료 시장은 비대면 진료를 구성하는 두 주체의 니즈에 의해 성장해 왔다기보다는 Covid-19라는 외부 환경 요인에 의해 인위적이고 일시적으로 형성된 시장이다 보니 외부 환경 요인이 사라진 지금 시장 자체가 흔들릴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 비대면 진료 시장과 의료 IT시장의 안착을 위 플랫폼 업체들의 앞으로의 발전 방향은 무엇일까? 국은 IT기술의 눈부신 발전에도 불구하고 의료 이용 행태는 여전히 아날로그적인 방식에 머무르고 있다. 의료 정보 및 개인 정보 등의 수없이 많은 데이터가 오가는 공간임에도 불구하고 데이터의 이용과 관리에 있어서 디지털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 플랫폼 업체들은 단편적인 비대면 진료 시장의 확장이 아닌 병원의 디지털 전환을 통 의료 이용 행태의 스마트 변화를 통해 병원 경영 및 환자 관리의 효율화를 제공함으로서 서비스 공급자인 의사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고, 이에 따라 비대면 진료를 포함 관련 시장 역시 안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비대면 진료 시장을 포함 의료 플랫폼 시장의 비즈니스 모델은 △구독료 모델 △광고 플랫폼 △데이터 비즈니스 △해외 진출 등을 생각해볼 수 있다.

 

◈ 토론Ⅲ

▲ 이관익 국보건산업진흥원 디지털헬스사업단 단장 

 

“비대면진료 플랫폼 서비스 모델이 의료혁신의 제약조건 충족시켜야”

 

► 현 비대면진료는 혁신의 방향으로 재설계가 필요하다.

 의료혁신은 목적함수 ‘프로세스의 혁신’을 두고 ‘의료의 본질 유지’, ‘의료서비스 질 향상’, ‘비용 효율성 향상’, ‘파괴적인 의료 기술 사용’ 등의 제약조건을 만족하는 최적해를 구하는 것이다. 

 우선 현 비대면진료 플랫폼의 서비스 모델이 제약조건을 만족하고 있는 모델인지에 대해 면밀 평가 후 시행하는 것이 타당하다. 또 Telehealth를 시행하려면 행정 가이드라인, 기술 가이드라인, Clinical 가이드라인 등 세 가지의 가이드라인이 제시되어야 다. 현 비대면진료 시범사업에서는 행정 가이드라인만 제시되어 있는 상황이어서 시범사업에서 나온 결과를 바탕으로 두 가지 가이드라인을 추가 개발 이후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의약품 배송문제 또 비대면진료를 떠나서 의약품 전달 프로세스의 혁신 관점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의약품의 ‘배송’은 현 약사법 개정 이전의 과거 법률에서 약화사고의 방지, 의약품 오남용 방지 등을 이유로 ‘제약사나 도매상 등의 의약품 공급자가 의료기관 및 약국에 의약품을 운송하는 행위’로 제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전환 시대에서 의약품 전달 프로세스도 reengineering 대상인 것은 매우 타당하므로 어떠 제약조건 하에서 최적의 프로세스를 찾아낼 것인지에 대해 선행 연구가 필요하다.

 

<ifsPOST>​ 

2
  • 기사입력 2024년04월20일 17시00분
  • 최종수정 2024년04월18일 10시55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