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에서는 연구진의 논문 및 자료와 함께 연구원 주최 세미나의 주제발표 및 토론내용 등을 PDF 파일로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주요국 금리인하 지연-최근 국제금융동향 <2024.5.27 분석>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4년05월27일 18시55분
  • 최종수정 2024년05월27일 18시55분

메타정보

  • 1

첨부파일

본문

1. 미국의 금리인하 지연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기술주 강세

   - 미국은 금리인하 지연에도 기술주 강세와 위험자산 반발매수가 증가하고 있다.

   - 유로 Stoxx50도 지속적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2. 달러지수는 상승하며 킹달러 시대를 유지하고 있다.

   - 원화는 1달러 1,370원 전후

 

3. 채권금리는 금리인하 지연 전망에 따라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4. 유가는 배럴당 이란 및 이스라엘 전쟁 등으로 최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d7648bbad93f8e5ff5ec2ffc58202009_1716803
5. 5월 FOMC 회의 의사록 주요 내용

 

▲ 경제 동향 및 전망에 대한 논의

- 미국경제는 소비와 산업생산이 증가하고 일부 경기심리지표도 개선되는 등 성세가 나타나고 있음

- ’24.3월중 고용사정은 취업자수 증가폭이 확대되고 실업률이 하락하는 등 견조한 모습을 보였으나, 노동공급 확대에 힘입어 임금 상승률이 둔화

- ‘24.2월중 주택판매(전년동월대비)는 모기지 금리 하락에 힘입어 기존주택판매의 감소폭이 금리 상승기에 비해 크게 축소된 모습을 지속하였으며, 신규주택 판매의 증가세가 전월보다 확대

- (인플레이션) 참석자들은 지난 1년간 인플레이션이 완화되었지만, 최근 몇 개월간 FOMC의 2% 목표를 향한 추가 진전이 부족했다고 지적

- (노동시) 참석자들은 노동시 수급이 비록 둔화된 속도이지만 계속해서보다 나은 균형을 이루어가고 있다고 평가


▲ 통화정책에 대한 논의

- (정책 판단) 모든 참석자들은 현 경제 여건, 동 여건이 고용 및 인플레이션 전망에 미치는 영향과 리스크 간 균형에 비추어 볼 때 연방기금금리의 목표 범위를 5.25~5.50%로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

- (정책 전망) 참석자들은 향후 정책금리 경로는 입수 데이터, 변화하는 전망과 리스크 간 균형에 달려있다고 언급

 

<ifsPOST>​ 

1
  • 기사입력 2024년05월27일 18시55분
  • 최종수정 2024년05월27일 18시55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