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에서는 연구진의 논문 및 자료와 함께 연구원 주최 세미나의 주제발표 및 토론내용 등을 PDF 파일로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자동차산업 탄소중립 추진 동향과 과제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1년11월16일 16시30분

메타정보

  • 0

본문

1. 주요국들은 탄소중립을 위해 비중이 높고 관리가 용이한 수송부문을 중심으로 배출 규제를 강화하고 다양한 선언과 정책을 제시

 ╺ 우리나라도 기존에 비해 강화된 수송부문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통해 자동차부문 탄소배출 제로를 실현하는 방안 제시

 

2. 탄소중립 규제 대응을 위해 자동차산업은 제품에서 생산공정까지 산업생태계 반에 걸쳐 변화가 진행

 ╺ 수요 확대가 예상되는 기동력차 시장 선점과 환경 규제 대응을 위해 완성차업체들은 기차를 비롯한 기동력차 공급 능력 확보에 주력

 ╺ 기동력차 생산이 확대됨에 따라 부품산업은 내연기관차 부품업체를 중심으로 사업환 및 구조조정이 요구되며, 탄소중립 공급망 편입을 위한 생산공정 및 에너지 효율화 등 가치사슬 반의 변화 대응 필요

 

3. 환기 탄소중립 규제는 우리 산업의 경쟁력과 우리 업체들의 글로벌 시장에서의 략 등도 고려하여 추진 필요

 ╺ 우리 자동차산업은 해외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탄소중립 략도 세계적인 추세와 보조를 맞추는 것과 동시에 산업경쟁력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는 적절한 략 마련 중요

 

4. 탄소중립 연착륙을 통한 기동력차 산업생태계 조성 촉진 방안 모색

 

① 자동차 생산구조 변화에 따른 자동차부품산업의 사업환 방안 모색 필요

 

 ╺ 동화가 급격하게 진행될 경우 내연기관 관련 부품업체가 매출 감소에 따른 자금난으로 도산하거나 사업을 포기하여 자동차산업 생태계의 단기간 붕괴 상황 도래 우려

 ╺ 동화로 사업환이 시급한 엔진용부품 업체와 동력달부품 업체들의 경우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이 각각 3.0%와 2.0%로 독자적으로 탄소중립을 위한 동화 부품 개발이나 친 환경 설비투자는 어려운 상황

 ╺ 내연기관부품 수요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경쟁은 더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되며 내연기관부 품 업체들의 인수합병이나 사업환 등 구조조정을 유도하여 축소된 내연기관부품 시장에 서 일정 수준의 이익률을 유지시켜 급격한 산업생태계 붕괴를 방지할 필요

 

② 기존 자동차산업 생태계가 기동력차로 안정적으로 환되기 위해 친환경차 공급망 재구성 및 확장을 위한 자금 조달과 환경친화적 제품 및 생산기술 투자 지원 필요

 

 ╺ 최근 자동차 스마트화 진으로 반도체 수급난에 따른 생산차질 사례와 같이 안정적 공급 망 구축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기차 생산 차질 우려

 ╺ 급격한 환경규제 강화가 부품업체 영업실적 악화로 이어져 친환경차 투자에 위축을 가져와 탄소중립 목표 달성이 불확실해지는 악순환 방지 필요

 ╺ 자동차산업에서 지속적인 일자리를 창출하고 생산기반을 확충하여 궁극적으로 세계 시장에 서 경쟁력을 갖추는 선순환 구조 구축을 위한 대규모 정부 지원 필요

 

③ 이퓨얼(e-fuel) 등 탄소중립 연료와 같은 다양한 기술적 가능성을 통한 대응 모색 필요 

 

╺ 이퓨얼은 메탄, 가솔린, 디젤 등의 형태로 기존 내연기관 차량에 사용 가능하며 독일, 일본

등 내연기관차 경쟁우위를 지닌 국가에서는 이퓨얼을 탄소중립의 수단 중 하나로 제시 

 ╺ 완성차업체들도 이퓨얼의 대체연료로서의 가능성 확인을 위한 R&D와 기존 차량 적용을 위한 R&D 추진

 ╺ 국내에서 신재생에너지 생산비용이 높은 점을 고려할 때 생산비용이 낮은 해외에서 신재생 에너지를 개발하여 이퓨얼을 생산하고 이를 수입하여 활용하면 탄소중립을 달성할 수 있음.

 

 ※ 이 보고서는 산업연구원(KIET)이 발간하는 ‘i-KIET산업경제이슈 제121호[2021-20]’(2021.9.15.)에 실린 것으로 연구원의 동의를 얻어 게재합니다.<편집자>​

 

 

0
  • 기사입력 2021년11월16일 16시30분
  • 검색어 태그 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