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에서는 연구진의 논문 및 자료와 함께 연구원 주최 세미나의 주제발표 및 토론내용 등을 PDF 파일로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국제통상환경의 변화와 디지털 기술 패권 경쟁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2년06월04일 17시00분

메타정보

  • 0

본문

1. 디지털 기술 패권 경쟁이 본격화 되고 있으며, 이에 더해 미국과 중국 간 통상분쟁이 장기화 되면서 글로벌 공급망 재편 등 각자도생의 자국 우선주의가 더욱 강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디지털 기술 패권을 둘러싼 기술, 기업, 산업, 글로벌 이라는 다층적 맥락을 이해한다는 것은 향후 정책수립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2. 본 연구는 인공지능 기술과 플랫폼을 디지털 생태계의 진화를 추동하는 핵심 기술로 보고 이를 둘러싼 미국과 중국의 경쟁 수준과 디지털세와 플랫폼 규제 등 디지털 관련 글로벌 통상 이슈들을 분석했다.

 

3. 이러한 변화에 맞춰 우리나라의 략으로는 ‘디지털 허브국가’로의 발 가능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데, 특히 데이터의 자유로운 이동을 보장하는 규범과 환경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디지털 환에 필요한 합종연횡의 략을 발휘할 수 있는 협상의 략과 기술 개발의 략, 디지털세와 같은 글로벌 조세의 대응이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4. 한편, 인공지능 기술과 플랫폼 분야에 대해서는 미-중간 디커플링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해 우리나라도 공개 소프트웨어, 표준 등 글로벌 생태계에 기여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창발적 특성을 보이는 이 기술개발을 위해 스타트업 생태계의 추가적 지원에 대한 고려도 필요하다. 

 

5.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한 플랫폼 생태계는 기술경쟁을 넘어 산업과 산업 경계를 넘나드는 생태계 차원의 경쟁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이 때문에 국익 차원에 있어 접근해야 하며, 네이버, 카카오, 쿠팡 등 자국 플랫폼을 보유한 우리나라의 특성을 살려 대응해야 할 필요가 있다. 

 

6. 한국적 플랫폼 략에 대해서는 공정한 거래환경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라는 두 가지 이슈를 동시에 해결해야 하는 문제가 존재한다. 이에 대응하는 기업 역시 진입과 성장, 확대의 선형적 성장략 모델을 다양한 씨앗을 파종하고 사업간 재조합과 재편을 통해 기회를 발굴하는 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끝>

 

▲ 과제책임자: 김준연 SPRi 책임연구원

▲ 참여연구원: 박강민 SPRi 선임연구원

                신원규 연구교수 (숭실대학교)

 

※ 이 보고서는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SPRi)가 발간하는 [연구보고서 RE-119](2022.5)에 실린 것으로 연구소의 동의를 얻어 게재합니다. <편집자>

 

0
  • 기사입력 2022년06월04일 17시00분
  • 검색어 태그 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