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에서는 연구진의 논문 및 자료와 함께 연구원 주최 세미나의 주제발표 및 토론내용 등을 PDF 파일로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혁신산업 일자리의 지리적 편중과 지방형 혁신거점 구축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5년04월02일 13시19분
  • 최종수정 2025년04월02일 13시19분

메타정보

  • 0

첨부파일

본문

<주요내용>

 

➊ 국가 성장동력인 혁신산업 일자리의 극단적 편중이 지역 간 경제 불균형을 심화시키는 구조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대응 필요

➋ 우리나라 혁신산업 일자리의 63.4%, 최근 10년간 증가량 중 68.0%가 수도권에 집중

- 전국 138개 지역노동시장권 중 서울권과 경기남부권 두 곳에서 전체 증가량의 57.5%를 차지

- 혁신산업 일자리가 가장 많이 늘어난 상위 10개 지역 중 8곳은 수도권에서 천안과 청주를 거쳐 세종과 대전을 잇는 포도송이형 거대 군집을 형성하며, 전체 증가량의 75.3%를 차지

➌ 반면, 주요 대도시가 아닌 비수도권 5개 지역(강원원주횡성권, 전주동부권, 제주권, 춘천권,

나주권)에서도 상대적으로 높은 혁신산업 일자리 성장세가 발견

- 이들 중 대기업 투자나 공기업 이전과 같은 외부요인 없이도, 혁신기관과 중간지원조직 중심으로 창업 후 성장기업을 육성함으로써 혁신산업 일자리를 창출한 지역도 발견됨(원주, 전주 등)

➍ 이는 수도권이나 대도시가 아닌 지역에서도 혁신산업 일자리 기반 구축이 가능하며, 중간지원조직 중심 육성모델이 유효할 수 있음을 시사

➎ 이러한 가능성을 검증·구체화하기 위해 사례지역에 대한 현장연구, 입주기업 설문조사, 인터뷰,관련 논의 검토를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지방형 혁신거점 구축을 위한 정책방안 제시

 

<정책방안>

 

➊여건이 미흡한 지방에서의 혁신거점 구축을 위해서는 기존의 접근방식 전환 필요

  - 역외기업 유치(hunting)에서 지역혁신기업 육성(gardening) 모델로 전환

  - 대규모 부지조성보다는 기업지원·중개 기능이 집약된 ‘미니 클러스터’로 시작해 점진적 확대

  - 지역 주도의 자구적 노력과 더불어 중앙정부의 맞춤형·단계적 지원 필요

➋세부 정책방안으로 ‘지방형 혁신거점 점프스타트’ 프로그램(가칭) 제안

  - 지방혁신산업 생태계의 조기 형성과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시범사업으로 소수 지역(2~3개 내외)을 선정, 관계부처 합동으로 해당 지역에서 필요로 하는 사항을 맞춤형으로 단계적 지원

 

* 저자

 ▲ 이윤석 국토연구원 국토계획·지역연구본부 부연구위원

 ▲ 조성철 국토연구원 국토계획·지역연구본부 산업입지연구센터장

 ▲ 서민호 국토연구원 도시연구본부 연구위원

 ▲ 김찬용 국토연구원 국토계획·지역연구본부 부연구위원

 ▲ 전봉경 국토연구원 국토계획·지역연구본부 부연구위원

 ▲ 김명한 국토연구원 국토계획·지역연구본부 전문연구원

 

<ifsPOST>

 ※ 이 자료는 국토연구원(KRIHS)이 발간한 [국토정책 브리프 No. 1006]에 실린 것으로 연구원의 동의를 얻어 게재합니다. <편집자>

 

 

0
  • 기사입력 2025년04월02일 13시19분
  • 최종수정 2025년04월02일 11시23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