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에서는 연구진의 논문 및 자료와 함께 연구원 주최 세미나의 주제발표 및 토론내용 등을 PDF 파일로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국제사회의 ESG 대응과 한국의 과제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3년06월17일 17시00분
  • 최종수정 2023년06월17일 17시00분

메타정보

  • 2

첨부파일

본문

<주요 내용>

 

[국제사회의 ESG 논의와 쟁점] 주요국은 ESG 정보 공시 제도, 스튜어드십 코드, 분류체계 등을 통해 ESG 확산을 도모하고 있으며, ESG 논의의 주요 쟁점으로는 △ 공시기준 통합 및 표준화 △ 중소기업의 대응 역량 강화 △ ESG 정보 품질 개선 △ 특정 영역에 대한 편중 개선 등이 있음.

 

[ESG 공급망 실사] EU 공급망 실사는 기존 제도와 달리 ESG 반에 대한 실사의무를 규정하고 있다는 데 의의가 있으나, 기후변화 및 지배구조의 실사 대상 포함 여부, 중소기업의 실사의무 부담 등에 대하여 여히 다양한 의견이 존재하는 상황임.

 

[주요국 기업 ESG 점수 비교] 무디스(Moody’s)와 레피니티브(Refinitiv)의 18개국 기업 ESG 총점 및 영역별 점수를 비교한 결과, 우리나라 기업의 ESG 대응성과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업의 규모나 산업 등의 특성을 고려할 때 다른 국가와의 차이가 더욱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남.

 

[ESG 평가와 고용 및 생산성] ESG 평가 점수와 기업의 고용 및 생산성의 관계에 대한 패널 회귀분석에 따르면 (1) 지배구조 점수가 비제조업 부문의 고용을 감소시키고 (2) 환경 점수가 산업의 노동생산성에, 지배구조 점수가 총요소생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3) 환경 점수와 사회 점수가 비제조업의 총요소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확인

 

▶ 본 연구는 분석 결과를 토대로 △ 민간 ESG 확산을 위한 제도적 인프라 정비 △ 공급망 실사 관련 기업지원 확대 및 통상협상 대응 △ ESG 제고를 위한 대내외적인 소통 및 지원 활동 강화 △ 중소기업 대상의 ESG 지원 활동 강화 등을 정책 과제로 제안함. 

<끝>

 

* 저자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문진영 경제안보략실 글로벌략팀 연구위원

▲윤상하 국제거시금융실 국제거시팀 부연구위원

▲박지원 경제안보략실 글로벌략팀 부연구위원

▲나승권 경제안보략실 글로벌략팀 선임연구원

▲이성희 경제안보략실 글로벌략팀 문연구원

<ifsPOST>  

※ 이 자료는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이 발간한 [정책연구 브리핑] (2023.06.12.)에 실린 것으로 연구원의 동의를 얻어 게재합니다.<편집자>

​ 

2
  • 기사입력 2023년06월17일 17시00분
  • 최종수정 2023년06월14일 11시33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