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에서는 연구진의 논문 및 자료와 함께 연구원 주최 세미나의 주제발표 및 토론내용 등을 PDF 파일로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미국 무역 분쟁 등으로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 최근 국제금융동향 <2025.3.29. 분석>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5년03월30일 10시01분
  • 최종수정 2025년03월30일 10시01분

메타정보

  • 1

첨부파일

본문

1. 주요국 금융시장의 주가는 유럽 위주로 상승

  - 주요국 주가는 변동성 확대 

  

  - 미국 주가는 경기둔화, 인플레이션 우려, 무역 분쟁 등으로 하락

  - 유럽은 미국 관세 부과 우려 속에서도 상승

  - 달러지수는 미국과의 무역 분쟁 등으로 하락

    원/달러 환율은 최근 재상승 

  - 채권금리는 미국 경기둔화 우려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로 하락

  - 유가는 배럴당 70달러대 초반 유지

dea10888c6352ed0765ce734085f9b06_1743238 2. 12월 FOMC 회의 결과


<경제전망>

◆ 회의 참석자들(총 19명)은 2025년도에 대해 종전(2024.12월) 전망보다 경제성장률은 상향, 실업률과 물가상승률은 소폭 상향 조정

    - 경제성장률 : 2.1%(2024.6월)→2.0%(9월)→2.1%(2024.12월)→1.7%  

    - 실  업  률 : 4.0%(2024.6월)→4.4%(9월)→4.3%(2024.12월)→4.4%   

    - 물가상승률 : 2.6%(2024.6월)→2.3%(9월)→2.5%(2024.12월)→2.7%

 

 ▷ 실질GDP 성장률(4/4분기 전년동기대비 기준) : 2025년 1.7%를 기록한 후 2026년 이후 1.8%를 유지할 전망

 ​▷ ​실업률(4/4분기 기준) : 2025년 4.4%를 기록하고 2026~27년 중 4.3%를 유지할 전망

 ​▷ ​PCE 상승률(4/4분기 전년동기대비 기준) : 2025년 2.7%를 기록한 후, 2026년 2.2%, 2027년 2.0%로 하락할 전망

     * 근원 PCE는 2025년에 2.8%를 기록한 후 2026년 2.2%, 2027년 2.0%로 하락할 전망

dea10888c6352ed0765ce734085f9b06_1743238 

 ​▷ ​ 정책금리(dot plot)의 경우 2025년말 3.9%로 하락한 후 2026년말 3.4%, 2027년말에는 3.1%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

 ​▷ ​ 2025년말 적정 정책금리(중간값 범위)가 3.9∼4.4%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

dea10888c6352ed0765ce734085f9b06_1743239 

 <ifsPOST>​ 

1
  • 기사입력 2025년03월30일 10시01분
  • 최종수정 2025년03월29일 18시20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