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 국가 정책에 대한 의견 / 정부의 국정과제, /사회에 대한 시각 등을 매해 조사하여, 국가 정책에 대한 국민의 현재 인식과 변화를 파악하여 정책 연구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첨부파일
관련링크
본문
조사 결과 요약 1. 주요 정책의 우선순위에 대한 의견 1) 주요 정책 중 우선순위(8대 과제 중심) 본 연구에서 설정한 8개의 국가 정책과제 중 가장 우선해야할 과제를 2040세대에게 물어본 결과, ‘일자리 창출’ 정책을 최우선해야 한다는 의견이 26.1%로 가장 높게 나타으며, 그 다음으로는 ‘공정사회 확립’(17.1%), ‘저출산·고령화 완화 및 대응(16.1%)’, ‘일과 삶의 양립기반 구축(11.8%)’ 등의 순으로 나타남. 동일한 형식으로 진행한 2012년 결과3)와 비교하여 보면 전반적으로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나, ‘일자리 창출’ 다음인 ‘저출산/고령화 완화및 대응’과 ‘공정사회 확립’의 순위가 바뀌어 나타남. 2) 주요 정책별 세부과제의 우선순위를 알아본 결과, 일자리 창출 정책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로는 ‘비정규직처우 개선 등 일자리간 차별 시정’이 31.7%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다양한 고용 형태 등 노동 시장의 유연성 제고(20.8%)’, ‘공교육 및 직업교육내실화(10.2%)’, ‘고용지원 서비스 강화(10.2%)’ 등의 순으로 나타남. 공정 사회 확립을 위한 정책에서는 ‘공교육 혁신과 사교육비 완화(20.4%)’,‘정부, 기업, 사회의 투명성 제고(20.3%)’, ‘비정규직 문제의 해결(18.7%)’, ‘재벌기업에 대한 규제(16.1%)’ 순으로, 저출산·고령화 완화 및 대응 정책에서는 ‘보육부담 완화 등을 통한 출산율 제고(47.4%)’, ‘여성/고령 인력 경제활동 참여제고(20.2%)’, ‘연금 등 노후소득 보장체계 구축(16.6%)’ 순, 일과삶의 양립기반 구축을 위한 정책에서는 ‘보육지원 제도를 고용 친화적으로 개편(26.2%)’, ‘장시간 근로관행 개선(24.3%)’, ‘유연 근로제도의 확산(23.3%)’ 순, 국가 성장 잠재력 확충 정책에서는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26.3%)’, ‘산업경쟁력 강화 등 지속 성장 기반 구축’(23.4%)’, ‘대/중소 기업관계 구조개선(14.1%)’, ‘기초 원천연구 역량 강화(14.0%)’ 순, 기업 경쟁력강화 정책에서는 ‘대·중소기업간 공정거래 질서 확립(31.7%)’이 절대적으로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중소기업 지원의 효율화(16.4%)’, ‘규제 완화 등기업 친화적 환경 조성(13.0%)’, ‘다양한 고용형태 등 노동시장의 유연성 제고(12.9%)’ 순, 사회적 통합 강화를 위한 정책에서는 ‘누진세제 강화 등 소득격차 완화(26.4%)’, ‘공정경쟁을 통한 계층간 이동성 제고(24.2%)’, ‘여성·노인·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 보호(15.9%)’, ‘세대 간 갈등 해소(14.1%)’ 순, 인재 양성을 위한 정책에서는 ‘다양하고 창의적인 교육 시스템 구축’이 41.2%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기초과학 기술 분야 등 연구개발투자 확대(23.2%)’, ‘창의적 인재 활용을 위한 고용 구조 개선(18.0%)’ 순으로 나타남. 2. 박근혜정부의 국정목표에 대한 의견 1) 국정목표의 우선순위(5대 목표 중심) 박근혜정부에서 발표한 5대 국정목표 중 가장 우선해야할 과제를 2040에게 질문한 결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창조경제’가 34.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맞춤형 고용/복지(28.9%)’, ‘안전과 통합의 사회(19.3%)’, ‘창의교육과 문화가 있는 삶(13.8%)’, ‘행복한 통일 시대의 기반 구축(4.2%)’ 등의 순으로 나타남. 2) 국정목표별 세부전략의 우선순위를 알아본 결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창조경제 목표를 최우선 국정목표(1순위 또는 2순위) 로 선택한 응답자들에게 다시 이 국정목표의 세부적인 전략의 우선 순위를 알아본 결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성장동력 강화(45.9%)’, ‘원칙이 바로선 시장경제 질서 확립(20.5%)’, ‘중소기업의 창조경제 주역화(17.2%)’, ‘창조경제 생태계 조성(8.2%)’ 등의 순으로 나타남. 맞춤형 고용/복지 목표에서는 ‘서민생활 및 고용안정 지원(49.5%)’, ‘자립을 지원하는 복지체계 구축(22.9%)’, ‘생애 주기별 맞춤형 복지 제공(14.8%)’, ‘저출산 극복과 여성 경제활동 확대(12.9%)’ 순, 창의교육과 문화가 있는 삶 목표에서는 ‘꿈과 끼를 키우는 교육(43.1%)’, ‘전문 인재 양성(23.5%)’, ‘나를 찾는 문화, 모두가 누리는 문화 구현(21.0%)’, ‘평생학습 체제 구축(12.4%)’ 순, 안전과 통합의 사회 목표에서는 ‘범죄로부터 안전한 사회 구현(41.3%)’, ‘통합과 화합의 공동체 구현(24.0%)’, ‘쾌적하고 지속가능한 환경조성(13.6%)’ 순, 행복한 통일시대의 기반 구축 목표에서는 ‘튼튼한 안보와 지속가능한 평화실현(52.1%)’, ‘행복한 통일로 가는 새로운 한반도 구현(31.0%)’, ‘국민과 함께하는 신뢰외교 전개(16.9%)’의 순으로 나타남.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