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뉴스

동해안까지 간 '의성산불' 전망은…비온 뒤 '바람 방향'에 달렸다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5년03월27일 18시02분

작성자

메타정보

  • 0

본문

영덕까지 확산 후 불머리 소강상태, 남쪽 또는 북쪽 향할 가능성

 

경북 의성에서 발생한 산불이 6일째 이어지면서 27일 모처럼 맞은 비 소식에도 수그러들지 않아 장기화할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번 산불은 서쪽에서 부는 강한 바람을 타고 계속 동진해 영덕까지 확산한 뒤 현재 화세가 다소 누그러진 가운데 향후 바람의 방향이 진화냐 확산이냐를 좌우할 전망이다.

그러나 바람 방향이 서풍에서 남풍이나 남서풍으로 바뀔 경우 울진 등 동해안지역을 따라 북상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27일 산림 당국에 따르면 지난 22일 경북 의성군 안평면 괴산리에서 성묘객의 실화로 발생한 이번 산불은 봄철에 주로 부는 서풍을 타고 동쪽으로 번졌다.

그러다 지난 25일 최대 순간풍속이 초속 27m에 이르는 강한 바람 때문에 안동, 청송, 영양, 영덕까지 급속히 확산하면서 진화 중 추락한 헬기 조종사를 포함해 23명이 숨지고 산불영향구역 규모가 3만3천여㏊에 이르는 역대급 재앙이 됐다.

산불 전문가들은 이번 산불이 확산한 원인을 놓고 지형과 기후 조건, 대응 체계, 진화 방식 등에 관한 다양한 의견을 내놓고 있지만 공통적으로 바람을 핵심 요인으로 꼽는다.

원명수 국립산림과학원 국가산림위성정보 활용센터장도 이날 브리핑을 통해 "지난 24일까지 산불이 의성에 머물러 있다가 25일 오전 3시부터 영덕까지 12시간 이내에 51km를 이동해 매우 빠른 풍속에 의해 확산됐다"면서 "초속 27m 강풍으로 인해 매우 빠른 확산 속도를 가지고 있었고, 이는 시간당 8.2km에 달한다"며 바람의 위력을 강조했다.

현재 이렇다 할 불머리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바람의 방향이 남쪽 계열이나 북쪽 계열로 바뀌게 되면 길게 늘어선 긴 화선이 불머리가 돼 북쪽 또는 남쪽으로 강하고 빠르게 확산할 위험이 있다.

바람의 방향이 바뀌어 불머리 소강상태가 다시 활성화 상태로 갈 수 있다는 것이다.

남풍이 불게 되면 안동, 영양으로 산불 확산 가능성이 크고 북풍이 불면 청송, 의성 등에 불이 더 번질 수 있다. 봄철 기상 특성상 동풍이 불 가능성은 낮다.

지난 26일부터 산불 확산 위험이 높아진 하회마을과 병산서원은 남풍 또는 남서풍의 위협을 받는 중으로, 이같은 방향의 바람 세기가 강해질 경우 불이 번질 위험이 한층 커진다.

국립산림과학원 이병두 산림재난·환경연구부장은 "오늘 내리는 비의 양과 비가 내린 후 바람이 불어오는 상황에 따라 모든 게 유동적이다"며 "의성 산불이 남쪽이나 북쪽으로 충분히 확산할 가능성이 있어 조심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연합뉴스>

 

0
  • 기사입력 2025년03월27일 18시02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