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뉴스

집단사직 나선 전공의 1만3천명…"응급·당직 등 필수의료 핵심"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4년02월19일 11시26분

작성자

메타정보

  • 1

본문

빅5 병원, 인턴·레지던트 등 전공의 2천745명…전체 의사인력 40% 안팎 차지

현장서 한꺼번에 근무 중단하면 '의료대란' 불가피

"'저임금' 전공의에 과도한 업무 맡기는 현실 개선해야" 목소리도

 

정부의 의과대학 정원 확대에 반발해 집단사직에 돌입한 전공의들은 대형병원 업무의 '핵심 인력'으로 꼽힌다.

개원의 중심의 대한의사협회(의협)와 달리 전공의들의 집단행동 파급력이 큰 이유도 여기에 있다.

19일 보건복지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현재 국내 수련병원 221곳에 근무하는 인턴과 레지던트 등 전공의는 1만3천여명으로 집계된다.

전공의는 의대를 졸업하고 의사 면허를 취득한 뒤 전문의 자격을 취득하고자 종합병원 등에서 수련하는 의사들이다. 여러 진료과목을 순환하는 인턴 1년, 각자 진료과목을 정해 수련하는 레지던트 3∼4년 과정을 거친다.

이른바 '빅5'로 불리는 서울시내 주요 상급종합병원 5곳(서울대·세브란스·삼성서울·서울아산·서울성모병원)의 전공의 수는 2천745명으로, 5곳 병원 전체 의사인력 7천42명의 39%를 차지한다.

의사인력 중 전공의 비율은 서울대병원 46.2%, 세브란스병원 40.2%, 삼성서울병원 38.0%, 서울아산병원 34.5%, 서울성모병원 33.8%다.

의사 인력의 34∼46%가 전공의로 채워진 탓에 이들이 한꺼번에 근무를 중단하면 여파가 클 수밖에 없다.

이들은 병원에서 교수의 진료와 수술을 돕고, 회진에 함께 참여해 환자의 상태를 관리할 뿐만 아니라, 병동 내 응급상황에 대응하거나 야간 당직 등 다양한 업무를 담당한다.

엄밀히 말해 주치의는 전문의인 교수가 맡지만, 실질적으로 환자를 가까이서 아침저녁으로 지켜보고 돌보는 건 전공의다.

수술과 진료 자체는 교수가 하지만, 이를 지원하는 전공의들이 빠지면 효율적인 업무 분담이 불가능해지고, 교수들이 당직을 대체하는 상황에 부닥치면서 전반적인 '과부하'가 불가피하다.

정부도 전공의 공백에 따른 문제를 심각하게 인식해 대응책을 준비하고 있다. 전체 수련병원 221곳 전공의를 대상으로 '진료유지명령'을 발령해 이탈을 막고,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에 대비한 인력 운용 방안도 검토 중이다.

박민수 복지부 2차관은 이날 라디오 인터뷰에서 "빅5 병원은 전공의 비율이 30∼40% 정도여서 일시에 빠져나가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 응급과 중증진료 위주로 전환하도록 했다"며 "인력 운영을 탄력적으로 하고, 장기화 시 외부에서 필요한 인력도 투입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전공의들이 빠진다고 의료대란이 오는 현실을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실제로 의료계는 전공의들이 과도하게 업무를 맡고 있는 병원의 구조 자체가 문제라며, 근무환경을 개선해야 한다고 누차 요구해왔다. 교수 대비 '저임금'인 전공의들만 대거 채용해 병원을 운영하는 게 문제라는 지적이다.

대한전공의협의회가 지난해 1월 공개한 '2022 전공의 실태조사' 결과에서 전공의 주당 평균 근로시간은 77.7시간이었고, 4주 평균 주 80시간을 초과해 근무 중이라는 응답이 전체의 52.0%에 달했다.

사실 정부가 의대 증원을 추진하는 이유도 의료계의 지적과 궤를 같이한다.

정부는 의대 증원 등을 알리는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에서 의료기관을 전공의 중심에서 '전문의 중심'으로 개편하는 방안을 공개했다.

전공의 의존도가 지나치게 큰 상황이 장시간 근로와 '번아웃'으로 이어진다는 판단에서다.

정부는 의료기관 신설 시 의사인력 확보 기준 준수 여부를 판단할 때 전공의 1명을 0.5명으로 산정하는 등의 방법으로 전문의 고용을 유도하기로 했다.

전문의 고용을 확대하고 전공의에게 위임하는 업무를 축소하는 병원에는 '가산 수가'로 보상하고, 전문의 장기계약과 육아휴직·연구년 보장을 유도하는 방안도 포함됐다.

<연합뉴스>​ 

1
  • 기사입력 2024년02월19일 11시26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