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뉴스

급변하는 환경 속의 한국 유통산업의 미래-산업경쟁력포럼 발표 내용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4년06월20일 15시17분
  • 최종수정 2024년06월20일 15시12분

작성자

메타정보

  • 0

본문

국가미래연구원 산업경쟁력 포럼 76차 세미나

6월 20일 아침 7시, 마포 현대빌딩 2층에서

 

국가미래연구원은 지난 6월 20일 아침 마포 현대빌딩 2층 회의실 (서울시 마포구 마포대로15, 현대빌딩 201호)에서 “급변하는 환경 속의 한국 유통산업의 미래”를 주제로 한 산업경쟁력포럼 제76회 세미나를 열었다. 한국경제신문사 후원으로 열리는 이날 세미나는 ▲ 서용구 숙명여자대학교 경영학과 교수의 발제에 이어 ▲ 김형욱 홍익대학교 명예교수의 사회로 ▲ 하명진 한국온라인쇼핑협회 정책실장 ▲ 윤영범 산업통상자원부 온라인유통TF팀장의 지정토론 및 참석자 토론이 이어졌다.

afc1d49fd04f63a123a8c23451284ad2_1718864

<사진은 좌로부터 하명진 실장, 서용구 교수, 김형욱 명예교수(사회), 윤영범 TF팀장>

 

다음은 이날 토론회의 주제 발표와 토론 내용을 간추린 것이다.

 

◈  급변하는 환경 속의 한국 유통산업의 미래

 ▲ 서용구 숙명여자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Ⅰ. 한국의 소비시장

 

1) 한국자본주의 64년 

  –급격한 경제성장 ⇨ 근래의 저성장과 불균형의 심화

 

2) 유통시장 30년의 변화 

  – 수출보다 GDP 비중이 늘어난 소비

  - 업태별 희비교차-국내 이커머스시장 성장 추이

  - GDP구조 선진국닮아가고 있다.

 

3) 한국소매시장 경쟁지도-MZ세대의 부각

    ⇨ 초합리,초개인,초자율의 AI인간들이 세계표준을 만들어 가고 있다.

 

Ⅱ. 한국이 세계 최강의 소비천국이 된 세 가지 이유

  

 1) 세계 최강의 이커머스 시장

 

afc1d49fd04f63a123a8c23451284ad2_1718863
   2) 세계 최강의 편의점

     - K 편의점, 점포수 

     – 매출 상승세…벤치마킹 대상이었던 일본은 주춤  

 

afc1d49fd04f63a123a8c23451284ad2_1718863 

 

   3) 세계 최강 수준 구매력 (가성비 )


afc1d49fd04f63a123a8c23451284ad2_1718863 


 Ⅲ. 시사점

 

1) 산업 정체성 변화

  산업간 경계가 모호해지는 현상인 ‘빅블러(Big Blur)’시대

  IT융합 저성장시대-온라인 이종사업 진출---판매품목 늘리고, PB상품 확대

  플랫폼 비즈니스의 확대 : 유통산업.인터넷산업,물류산업,미디어(광고)산업

 

2) 소비 양극화

 -  리테일 아포칼립스( Retail Apocalypse)

   프라인 소매업을 뜻하는 리테일Retail)(과 몰락 또는 종말을  뜻하는 아포칼립스     (Apocalypse)를 결합해서 만들어진 용어

  - 마트들, 직원 점포 줄이고, 또 지방점포 소멸현상 

 

3) 국경 없는 소비

 - 중국 공세에 해외직구 급증

 - 커지는 C-커머스 매출액

  2023년10월을 기준(=100)으로 2024년 2월 중국C커머스(알리익스프레스 및 테무)는 179.4 기록

 

 Ⅳ. 한국 소비시장의 미래

 

 - 지역별 한류 동호인 수 변화 추이

   2023년 한류팬 2억2,500만명

   2023년 한류동호회 1천748개

 

◈ 지정토론 1

 

▲ 하명진 한국온라인쇼핑협회 정책실장

 

- 빅블러의 시대에서는 산업의 경계구분이 모호해지거나 합쳐지는 현상이 많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됨. 

- 이런 빠른 변화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시장환경에 맞게 사업의 개편과 추진이 필요할 것임. 일부 밑이 빠진 독에 물 붓기의 정책 등으로 시장변화에 맞서거나 왜곡되는 전략은 결국 도태될 수밖에 없을 것이며, 이 변화를 잘 타서 따라가게 된다면 그 사업자는 생존하게 될 것이라고 보임.

- 앞으로 모바일보다 더 새로운 기술이 발전되기 전까지는 모바일 쇼핑시장의 성장세는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이 채널을 활용한 플랫폼들의 성장은 커질 것으로 보임. 

- C커머스 또한 모바일쇼핑을 통한 매출 확장세가 우세적으로 보이는 부분을 보더라도 충분히 공감할 수 있는 것임.

- 미래의 유통시장에서는 그 누구도 영원한 일인자가 될 수 없는 시장이며, 소비자에게 얼마나 편하고 쉽게 그리고 실용적인 소비를 할 수 있게끔 하는가가 이 글로벌 경쟁체제 안에서 생존할 수 있다고 예상함.

 

◈ 지정토론 2

▲ 윤영범 산업통상자원부 온라인유통TF팀장

 

- 온라인 쇼핑의 환경이 최근 중국 업체들의 진출로 급변하고 있다. 과거의 유통기업들의 경쟁은 국내기업들간의 경쟁이었으나 이제는 외국업체들과의 경쟁으로 변했다.

- 외국업체들과의 경쟁환경 하에서 어떻게 해야 우리 유통업체들이 경쟁력을 기르고 발전할 수 있을 지에 대한 전략이 필요하다.

- 정부는 지난 5월 발족한 유통산업포럼에서 각 분야별로 현안점검과 대책 등을 검토해  는 9월 유통산업발전방향을 발표할 예정이다.

<ifsPOST>

 

 

 

0
  • 기사입력 2024년06월20일 15시17분
  • 최종수정 2024년06월20일 15시12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