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뉴스

시진핑 "우크라전 '정치적 해결' 동의" 푸틴 "亞太 새 안보구조"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4년05월16일 18시05분

작성자

메타정보

  • 0

본문

정상회담 공동회견서 강조…시진핑, 우크라전에 "균형있는 새로운 안보 프레임 구축해야"

시진핑 "러와 다극화 촉진" 푸틴 "다자기구 개혁하고 아태서 폐쇄적 군사·정치동맹 탈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16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함께 우크라이나 전쟁의 '정치적 해결' 필요성에 동의했다고 밝혔다.

중국중앙TV(CCTV)에 따르면 시 주석은 이날 중국을 국빈 방문한 푸틴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마친 뒤 연 공동 기자회견에서 "양국은 우크라이나 위기를 정치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올바른 방향이라고 일치되게 인식한다"고 말했다.

시 주석은 "이 문제에서 중국의 입장은 일관되고 명확하다"며 "유엔 헌장 취지와 원칙 준수, 각국의 주권과 영토 완전성 존중, 각 당사자의 합리적 안보 우려 존중, 균형 있고 효과적이며 지속가능한 새로운 안보 프레임 구축"이라고 했다.

그는 "중국은 유럽 대륙이 조기에 평화·안정을 회복하기를 기대하고, 이를 위해 건설적 역할을 계속 발휘할 용의가 있다"고 덧붙였다.

AFP·타스통 등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시 주석에게 우크라이나 상황을 상세히 알려줄 것이라면서 "우리는 상황을 조정(regulate)하기 위한 우리 중국 동료와 친구들의 이니셔티브에 감사한다"고 했다.

그는 "우리는 지속해서 연락하고 있다. 정기적인 양자 정상회담에 더해 우리는 다자 행사와 별도로 만나고, 전화로 소통하는데, 이 덕분에 우리는 가장 어려운 문제들까지도 논의할 수 있다"며 "러시아-중국과 국제 의제에 관한 모든 시급한 문제에 관해 개인적인 통제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라고 설명했다.

중국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초기인 2022년 3월 시 주석이 독일·프랑스 정상과 회담 중에 언급한 '네 가지 원칙'을 우크라이나 전쟁의 '정치적 해결'을 위한 기본 지침으로 삼고 있다.

네 가지 원칙은 ▲ 각국의 주권·영토 완전성 존중 ▲ 유엔 헌장 취지와 원칙 준수 ▲ 각국의 합리적 안보 우려 존중 ▲ 위기의 평화적 해결에 도움이 되는 노력 지지다.

이날 시 주석의 언급 가운데 '균형 있고 효과적이며 지속가능한 새로운 안보 프레임 구축'은 새로 등장한 것이다.

이와 관련, 푸틴 대통령도 "우리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폐쇄적 군사·정치 동맹에 속하지 않는 뢰할 수 있고 적절한 안보 구조를 건설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우리는 그런 동맹을 만드는 것이 매우 해롭고 비생산적이라고 본다"고 강조했다.

중국은 우크라전에서 공식적으로는 '중립' 입장을 취하고 있으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의 영향력 확대 등을 우려해온 최대 우방 러시아 편에 사실상 선 것으로 해석돼왔다.

최근 들어선 작년 11월 시 주석이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와 화상 회담 중 우크라이나 전쟁과 중동 전쟁 격화의 원인이 '단편적으로 한쪽을 비호하면서 다른 한쪽의 정당한 요구를 무시한 것'에 있다고 밝히는 등 더 명확히 러시아의 편을 들어 왔다.

미국은 이런 중국이 러시아를 군사적으로 지원하고 있다는 의혹을 제기하며 중국 기업과 은행 등에 대한 제재에 나섰고, 중국은 자국과 러시아의 경제 활동은 '정상적인 경제·무역 왕래'이며 미국이 허위 의혹을 제기한다고 맞서는 중이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두 정상은 미국 중심의 세계 일극 체제에서 탈피해 정치·경제적 '다극화'를 함께 이끌겠다는 뜻도 밝혔다.

푸틴 대통령은 "양국은 세계 경제 관리의 재활(rehabilitation)과 세계무역기구(WTO), 주요 20개국(G20),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같은 다자 기구의 개혁·탈정치화를 선호한다"고 말했다.

시 주석은 "중국과 러시아는 진정한 다자주의를 통해 다극화한 세계의 구축과 경제 세계화 과정을 촉진한다"며 "중국과 러시아는 유엔을 중심으로 한 국제 시스템과 국제법에 기반한 세계 질서를 굳게 견지하고, 유엔과 APEC, G20 같은 다자 플랫폼에서 긴밀히 협조한다"고 했다.

그는 가자 지구 전쟁에 관해선 "나와 푸틴 대통령은 팔레스타인-이스라엘 충돌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데 동의했다"며 "유엔 결의가 실질적으로 집행돼야 하고, '두 국가 방안'을 기초로 팔레스타인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0
  • 기사입력 2024년05월16일 18시05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