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뉴스

中 지도부, 경제 정책 둘러싸고 불협화음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16년05월23일 14시36분

작성자

메타정보

  • 52

본문

최근 중국 최고 지도부 내의 시진핑 주석과 리커창 총리를 두 축으로 하는 양 진영 간의 정치적 대립 양상 고조되고 있다는 보도가 갈수록 많아지고 있다. 시진핑 주석 강력한 권력 집중을 배경으로 반부패 • 구조개혁 드라브를 걸고 있는 가운데, 리 총리는 낙관적 경제 전망을 바탕으로 금융 • 재정 정책에서 경기 “안정”을 중시할 것을 강조하는 양상다. 내년 공산당 대회에서 최고지도부 인사를 둘러싼 양 진영 간의 일대 회전을 앞두고 벌는 전초전 아닌가 싶다. 최근 일본경제신문 보도한 내용을 요약 소개한단.(S.K)

 

  중국의 지도부 내에서 거시 경제 정책을 둘러싸고 온도차가 커지고 있다. 리커창(李克强)총리 등 정부 고위 관료들 중국 경제의 현상을 전향적으로 평가하고 있음에 반해서, 시진핑 국가 주석에 가까운 인사들 반론을 펴고 있다. 경기 및 고용의 안정을 중시할 것인가, 구조개혁을 우선할 것인가를 두고 의견 엇갈려 있는 양상다. 러한 례적인 불협화음은, 시진핑 주석으로의 권력 집중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내년 가을에 열리는 중국공산당대회에서의 최고지도부 인사를 둘러싼 마찰 배경을 루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발단은 중국공산당 기관지인 인민일보가 9일에 게재한 익명의 인터뷰 기사다. 중국 경제를 “권위있는 인사”가 말한 내용 정부의 입장과 서로 다르게 나타난 것다. 중국에서는 “권위 인사” 라면 시진핑의 경제 브레인인 당(黨) 중앙재경지도 소조 변공실의 류허(劉鶴) 주임 및 그 주변 인사들로 보여지고 있다.  

■ 서로 다른 현상 인식
우선, 양 진영 서로 다른 것인 경제의 현상에 대한 인식다. 1~월 1 사분기의 성장률은 3 사분기 연속 감속했으나, 3월 한 달만 보면 경제 지표들 개선된 것으로 나타난다.
정부 내부에서는 『2016년은 징조가 좋은 스타트를 끊었다』 (국가발전개혁위원회 趙辰昕 보도관)는 견해가 연어 나오고 있고, 향후 전망에 대해서도 『단기적으로는  (성장률 상향하는) U자형 혹은 W자형도 있을 수 있다』 (국가통계국의 盛來運 보도관)는 등, 낙관적인 전망 나오고 있다.
그러나, “권위있는 인사”는 『고유의 문제점들은 해소되지 않고 있고 “징조가 좋은 스타트』라고는 설명할 수 없다며 정부의 견해를 부정하고, 향후 전망도 『U자나 V자가 아니고 (성장률 오르지 않는) L자형다』 고 강조하고 있다.
실제로, 공업 생산 등 4월의 경제 지표들은 악화했으나, 정부는 16일에 공식 사트에서 『4월은 작견보다 영업일 수가 적다. 1 사분기와 마찬가지;로 안정되고 있다』 고 반론하는 등 견의 골 깊어지고 있다.
개별 경제 정책에 있어서도 서로 어긋난다. 중국은 작년부터 올 봄까지 걸쳐서    금리 및 예금 준비율을 연어 인하했다. “권위 인사”는 『(부채를 증가시키는)높은 레버리지로 외환, 주식, 채권, 부동산 및 은행 융자의 리스크가 높아지고 있다』 고 지적하고 있다. 『통제할 수 없게 된다면 금융 위기를 일으켜서 마너스 성장 된다』 고 경종을 울리고 있다. 리 총리는 16일에 『부채는 컨트롤할 수 있는 수준』 라고 반론하고 있다.
재정 출동에서도 “권위 인사”는 『무턱대고 경제에 캄플 주사를 놓는 일은 피해야 할 것』 라고 지적한 것에 대해, 리 총리는 9일에, 『최근 수 년 간 경제의 하향 압력에 직면해서도 강력한 경제 자극 정책은 취하지 않았다』 고 강조했다.

■ 시장도 의심의 눈초리 
양 측의 엇갈리는 견해는 과잉 생산 능력을 삭감하거나 하는 『공급 측 구조개혁』 에 대한 자세로부터 나온다. “권위 인사”는 『질 수 없는 전쟁』 라고 까지 표현하면서 개혁을 가장 우선시한다는 자세임에 반해서, 정부 측은 경기에 대한 타격 및 고용의 악화에도 신경을 써야 할 것라는 입장다.
시장도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고 있다. 중국인민은행(중국의 중앙은행) 13일 발표한 4월의 기업 및 가계의 자금 조달 규모는 3월에 비해 대폭 감소하여 『“권위 인사”의 영향으로 금융정책 바뀌었다』 는 등의 억측을 불렀다. 인민은행은 다음 날 14일에 『지방 정부의 융자가 채권으로 전환되는 등의 특수 요인에 따른 것』 라고 석명하는 발표를 내놓고 있다.


◆중국 지도부 내의 경제정책을 둘러싼 온도차 요약


▲ 논점 부문  시진핑 주석 주변 인물 “권위 인사”의 지적  중국 정부(리커창 총리)의 공식 견해
- 경제인식 ‘징조가 좋은 스타트’ 라고 설명할 수 없다 ‘징조가 좋은 스타트를 끊었다’ (4월 13일 국가발전개혁위원회 보도관)
 - 중국 경제는 U자 혹은 V자형 아니라 L자 형다 ‘단기적으로는 U자형 및 W자형도 있을 수 있다’ (국가통계국 보도관)


▲ 금융정책 높은 레버리지는 통제할 수 없게 되면 금융위기를 일으켜서, 마너스 성장 된다.  금리 및 예금지급준비율을 연어 인하했다 (3월 5일 리커창 총리)
 ▲ 외환, 주식, 채권, 부동산 및 은행 융자의 리스크가 상승하고 있다 부채는 컨트롤할 수 있는 수준다 (5월 16일, 리커창 총리)
▲재정정책 선심성으로 경제에 캄플 주사를 놓는 것은 피해야 할 것다 최근 몇 년 간 강력한 경기 자극 정책은 취하지 않았다
(5월 9일 리커창 총리)
▲구조개혁 (구조개혁은) 국 중소득국의 덫을 넘어서기 위한 생명선고, 질 수 없는 전쟁다.  구조개혁을 강력하게 추진하여 시장 참가자들의 적극성을 충분히 끌어 냈다 (5월 9일 리커창 총리)

 

 (日本經濟新聞, 2016년 5월 23일)


* 해설; 최근 중국 최고 지도부 내의 시진핑 주석 vs. 리커창 총리를 두 축으로 하는 양 진영 간의 정치적 대립 양상 고조되고 있다는 보도가 심심찮게 흘러나오고 있다. 한편, 글로벌 경제의 주요 견인 역할을 해 온 중국 경제 성장 급격히 쇠잔해 가고 있는 양상을 보고 있다. 70년대 말부터 수 십 년 간을 지속해 온 고속성장 과정에서 생겨난 비효율 및 구조적 모순 적체된 결과기도 하고, 다른 한편 사회주의 중국라는 거대 조직 특유의 후진성을 나타내는 것으로도 보인다. 시진핑 주석 강력한 드라브를 걸고 있는 소위 반부패 및 구조개혁 정책에 대해 리커창 총리를 위시한 지식층 그룹의 강력한 도전 혹은 항거의 조짐으로 볼 수도 있다. 경제가 부진을 어가는 가운데 정치적 대립 양상 시장에 불리한 시그널을 주기 시작한 것라는 우려도 낳고 있다. 국민 일상 생활에 직접 연관되는 경제 정책도 정치적 념 및 인식 차로 대립하는 전형적인 국면을 보고 있는 것다. 내년 가을 당 대회를 앞두고 러한 대립 양상은 점차 격화되어 가는 것은 아닌지, 웃 나라의 관측자들에게도 우려를 갖게 하는 것다. (S.K.)


 

52
  • 기사입력 2016년05월23일 14시36분
  • 검색어 태그 # 중국 경제 정책# 중국 지도부# 시진핑 및 리커창, 류허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