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뉴스

금리 더 내릴 가능성은?…채권시장 전망 엇갈려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16년06월10일 09시40분

작성자

메타정보

  • 48

본문

한국은행 9일 기준금리를 사상 최저인 연 1.25%로 전격 내린 뒤 채권시장에선 연내 추가 인하 가능성에 대한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일각에선 한은 올 하반기에 한 차례 더 인하에 나설 가능성 있다며 채권값 상승 추세(채권금리 하락)를 예상하고 있다.

그러나 번 깜짝 인하가 경기 하강 위험 등에 대응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임을 들어 연내 추가 인하 여지가 별로 없다는 관측도 제시됐다. 시장에서 추가 기준금리 인하 확률 낮다는 인식 확산되면 채권시장은 약세(채권금리 상승)로 돌아설 가능성 커진다.

일단 채권시장은 날 한은의 금리 인하 결정에 긍정적으로 반응해 국채 금리가 일제히 사상 최저 기록을 갈아치웠다.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전날보다 3.3bp(1bp=0.01%포인트) 낮아진 연 1.345%로 최저치를 기록했고, 5년 만기 국채 금리도 4.4bp 내린 연 1.425%로 역시 사상 최저치를 다시 썼다.

주열 한은 총재가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글로벌 교역 부진 정도가 생각보다 크고 기업 구조조정 본격화되면 올 하반기에 경기하방 위험 클 것으로 판단된다"고 금리 인하 배경을 밝힌 것 추가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부채질했다.

미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 총재가 올해 하반기 경기 하방 위험 크다고 언급한 데다 자본확충펀드를 통한 통화량 증가가 금리 상승나 인플레션과 연결될 가능성도 작다"며 4분기 추가 인하를 예상했다. 그는 하반기의 3년 만기, 10년 만기 국채금리 하단 전망치를 각각 연 1.25%와 1.55%로 하향조정했다.

권영선 노무라 수석 코노미스트는 "한은 기업 구조조정의 성장에 미치는 하방 리크스(위험)를 인정했다"고 해석하고서 "경기부진 하반기에 더 심화할 것"라며 올해 10월 한은 기준금리가 연 1.00%로 0.25%포인트 추가 인하될 것으로 전망했다.

박종연 NH투자증권 연구원도 "국내 경기회복 느리다는 데 대해 한은과 정부 당국의 시각 일치했다는 점과 하반기 경기하방 위험까지 고려할 때 연내 추가 인하가 가능할 것"라고 말했다.

고민 속의 결정 (서울=연합뉴스) 홍해인 기자 = 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9일 오전 서울 남대문로 한국은행 브리핑실에서 날 금융통화위원회의 6월 기준금리 0.25%포인트 인하와 관련해 통화정책 방향을 설명한 뒤 떠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날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는 작년 6월 1.75%에서 1.50%로 0.25%포인트 내린 후 12개월 만에 따라 한은의 기준금리는 또다시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반면 동부증권은 한은 번에 금리를 내린 만큼 연내에 추가 인하 가능성은 없다고 예상했다.

총재도 날 "금리를 어디까지 내릴 수 있는지 판단하기 어려우나 번 인하로 금리가 실효 하한선에 가까워진 것은 맞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5월 고용지표 부진을 일시적라고 언급했고 미국 경제 전망도 긍정 요소가 더 많다고 했다"며 "미국의 금리 인상 시기가 그렇게 멀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박혁수 대신증권 연구원은 "채권시장 당분간 작년처럼 답보상태일 가능성 크다"며 "한은 추가 금리 인하에 신중한 모습을 보일 수 있어 시장 금리도 한·미 통화정책 등을 고려할 때 작년 6월 금리 인하 후의 흐름과 비슷한 모습을 보일 가능성 크다"고 말했다.

당시 한은 6월에 기준금리를 내리고서 연 1.70∼1.83%에서 등락하던 3년 만기 국채 금리는 추가 금리 인하 기대에 9월 말 연 1.57%까지 하락했다. 그러나 금리 인하 기대감고 미국 금리 인상 가능성 부각되자 3년물 금리가 연 1.80%까지 반등했었다.
<연합뉴스>

48
  • 기사입력 2016년06월10일 09시40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