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뉴스

일본 경제, 마이너스 금리 효과 아직 나타나지 않아-경제주체들의 신뢰회복이 관건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16년05월08일 11시35분

작성자

메타정보

  • 45

본문

 일본의 마너스금리 도입에 따른 실물경제 파급 및 물가 면에서의 긍정적 영향은 아직도 나타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니케(일본경제신문)는 최근 일본은행의 마너스금리 관련 분석기사에서 지적했다. 비유하자면  “말을 몰고 강 가에까지 갈 수는 있으나, 그 말 실제로 물을 먹을 것인지 여부는 또 다른 문제”인 셈다. BoJ가 담대한 시도로 전격 도입한 마너스 금리 정책의 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위해서는 역시, 개인 및 기업라는 경제 주체들의 장래에 대한 신뢰를 줄 수 있는 과감한 제도 개혁 정책 병행되지 않으면 백약 무효가 될 수도 있을 것임을 암시하고 있다. 우리 나라 정책 입안자들에게 타산지석 될만한 상황을 웃 나라 일본 겪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다음은 니케(日經)의 보도내용을 간추린 것다.  (S.K.)

 

일본은행(BoJ) 지난 2월부터 『마너스 금리 정책』 라는 새로운 금융정책을 시작했다. 금리는 플러스인 것 보통으로, 우리들 은행에 돈을 맡기면 자가 붙는다. 그럼에도, 왜 금리를 마너스로 하는 것일까? BoJ는 세상에 돈 흐르기가 쉽게 되어서 경제에 플러스가 될 것라고 말한다. 그러나, 경기가 상향하는 효과는 아직도 보지 않고 있다.

■ 도입 목적은 소비 자극 및 엔화 약세 유도
『마너스 금리 정책』. BoJ가 1월에 도입을 결정하고 2월부터 시행한 전혀 새로운 금융 정책다. 동 정책의 도입 목적은 경제 내의 모든 금리를 하락시킴으로써 돈을 쓰기 쉽게 하고, 경제를 좋게 한다는 것다.
금리가 크게 하락하면 집나 자동차를 구입할 때 주택 론을 빌리기 쉽게 된다. 사업을 시작할 때에도 은행으로부터 자금을 빌릴 때 문턱 낮아지게 된다. 한마디로 돈을 쓸 기회가 늘어나면 물가도 올라가기 쉽게 되고, 따라서, BoJ가 목표로 하고 있는 디플레션 탈각에도 도움 될 것라고 생각한 때문다.
너스 금리 정책란 도대체 어떤 구조로 작동하는 것일까? 구체적으로는 BoJ가 은행들로부터 맡게 되는 자금의 일부에 마너스 금리를 부과한다. 우리들 은행에 예금을 하게 되면 금리를 받게 되나, 마너스 금리가 되면 거꾸로 금리를 지불해야 하는 것다. 은행들은 여유 자금을 BoJ에 예치해 둔 채로 있으면 금리가 나가게 된다. 그러므로, 금리를 인하해서라도 자금을 대출하거나 국채를 매입하게 된다. 결국 경제 내의 금리 전체가 내려간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자.
은행은 예금 및 대출의 증감에 따라 매일 같 과부족 생기게 마련인 자금의 양(量)을 조정하기 위해서 은행들 상호 간에 하루 또는 몇 일 동안라는 단기간으로 자금을 빌리고 빌려주고 거래를 한다. 그 때 부과되는 금리가 개인 및 기업에 자금을 빌려주거나 국채 등으로 운용하는 경우의 금리의 기준 된다. 마너스 금리 정책의 영향으로 단기간으로 거래하는 자금의 금리가 하락하면, 그에 따라 수 개월 혹은 수 년 간으로 하는 자금 거래의 금리도 하락하게 된다.
너스 금리 정책의 영향은 단기에서 장기에 걸쳐서 각 기간의 금리를 연결한 곡선, 소위 『수익률 곡선(Yield-Curve)』을 작성하면 알기 쉽다. 도입 전과 도입 후를 대비해 보면 수익률 곡선 전체가 크게 하락해 있는 것을 확실히 알 수 있다. 금리는 단기로 거래할수록 낮은 것어서, 수익률 곡선도 우상향(右上向)하는 곡선을 루게 된다.
BoJ는 명확하게 말하고 있지는 않으나, 마너스 금리 정책의 도입에는 또 하나의 다른 목적 있는 것으로 보인다. 외환시장에서 엔화 약세를 촉진하는 효과다. 엔화 약세가 진행되면, 일본 수입하는 제품 및 소재의 엔화 환산 가격 올라서 물가의 상승으로 연결된다. 자동차 및 전기기계 등을 수출하는 기업도 엔화 약세가 되면 업적 개선된다. 엔 약세로 인해 경기 및 물가를 끌어 올리는 효과가 기대될 수 있기 때문다.
좋은 것만 있는 것처럼 보는 마너스 금리 정책지만, 악영향도 있다. 은행 등의 경영에 주는 타격다. 은행은 예금을 받아서 대출을 해 주는 것을 본업으로 하므로, 예금과 대출 금리차(‘차(利差)’)를 수익의 기본 지주로 삼고 있다. 금리 전체가 크게 내려가면 차가 축소되어서 안정된 수익을 얻을 수 없다.
은행은 예금 등을 모아 그 자금을 기업의 생산 및 가계 소비 등 경제 활동으로 흘려 보내는 중개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가령, 마너스 금리 정책을 도입하여 은행 경영 흔들리는 사태가 되면, 실물 경제가 원만하게 돌아갈 수 없게 된다. 그러면, 경기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하는 얄궂은 결과를 불러오지 않을 수 없게 된다. 개인 소비에도 심리적으로 마너스의 영향 미칠 우려도 있다.
세계적으로 보면, 마너스 금리 정책은 덴마크 등 유럽 국가들 앞서서 채용했다. 유로권 중앙은행인 ECB도 도입을 했고, 들은 물가를 끌어 올린다거나 자국 통화 가치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한다는 목적 있다. 단, 은행 경영 악화에 대한 우려도 있어서, 정책 효과에 대해서는 전문가들 사에서도 의견 엇갈린다.

■ 일상 생활에 플러스? 혹은 마너스? 예금 • 론 금리 모두 하락
BoJ가 1월에 마너스 금리 정책 도입을 결정하고 나서, 세상에는 무슨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가? 주변의 일상 생활에도 플러스, 마너스 양 방향의 영향 모두 나타나고 있다.
우선, 마너스 금리 혜택 나타난 곳나 자동차 등을 구입할 경우에 용하는 론 (할부 상환 대출) 금리의 저하다. 미츠비시도쿄UFJ은행 주택 론은 기간 10년 고정금리(최우대 금리)가 마너스 금리 정책 결정 전의 연 1.1%에서 0.90%까지 내려갔다.
기업 자금을 조달할 경우에 적용되는 금리도 하락하고 있다. 토요다 파낸스가 4월에 발행한 3년 물 사채 율은 연 0.02%로, 일본 기업 사채로서는 사상 최저가 되었다. CP(Commercial Paper)라고 불리는 단기 증권 발행에서는 마너스 금리 조달도 발생했다. 자금을 빌리는 데 더해 자도 받는 례적 상황다.
한편, 자금 운용 면에서는 마너스(악)의 영향도 나타나고 있다. 미츠비시도쿄UFJ은행은 마너스 금리 정책을 감안하여 정기예금(기간 1년)의 금리를 전의 연 0.025%로부터 0.01%로 인하했다. 100만엔을 1년 간 맡겨 두어도 자(세금 부과 전)는 단 돈 100엔 동전 한 닢라고 하는 계산다. 다른 은행들도 보조를 맞추어서 금리를 인하하고 있다.
너스 금리가 적용되는 것은 금융기관들 BoJ에 맡기는 자금의 일부고 『개인의 예금은 별개』(BoJ)라고 했지만, 예금 금리는 한없 제로 %에 근접하고 있다. 지금까지 예금 자를 생활비의 일부에 충당해 온 연금 생활자 등으로부터 불만의 목소리도 흘러 나오고 있다.
국채 수익률도 하락했다. 은행은 BoJ에 자금을 맡겨두면 마너스 금리므로 원금 줄어들기 때문에 국채를 매입, 더욱 낮은 수익률로 파는 거래를 반복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10년 물 국채 수익률은 마너스가 됐다. 단, 개인 앞 국채는 연 0.05%(세금 부과 전)라는 최저 금리가 있어서, 거꾸로 인기를 모으고 있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재무성의 통계에 따르면 3월의 해외 중장기 채권의 순 매입액은 5.2조엔으로 1월의 약 15배로 급증하고 있다.
국내의 예금 및 국채로는 만족할만한 익을 얻을 수 없어서, 해외의 채권에 투자하는 사람들도 늘고 있다.

■ 시나리오대로 진행되고 있나? 주택 매입 • 중소기업 융자는 답보
BoJ 구로다 총재는 3월 기자회견에서 마너스 금리 정책에 대해 『주택 론 금리 및 대출 기준금리가 하락하고 있어서 금리 면에서의 정책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금후에는, 실물경제 및 물가 면으로도 파급될 것』 라고 강조했다. 순조롭게 금리가 하락하여 자금을 빌리기 쉽게 되고 있다는 인식을 보였으나, 상상 밖의 현상도 일어나고 있다. 
그 중 하나는 주택 론다. 금리는 확실히 하락했으나, 메가 뱅크 등 대형 5대 은행들의 3월 신규 신청 건 수를 보면 4만 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2할 증가에 그치고 있다. 한편, 보다 낮은 금리의 론으로 대환(貸換)한 것 수는 2만 건에 르러, 동 3.7배로 급증했다. 『경기의 움직임 무거워서 마너스 금리 정책의 도입을 계기로 새로 주택을 구입하려고 하는 사람은 아직 많지 않다』 (한 대형은행의 주택 론 담당자) 라고 말한다.
또 다른 하나는 중소기업들 앞으로 하는 융자다. 은행은 기업에 자금을 대출할 때에 단기 프라임 금리(‘단(短) 프라’) 라고 하는 금리를 기준으로 한다. 은행 재무 내용 및 업적 좋은 기업에 자금을 빌려줄 경우의 금리나, 실제로는 마너스 금리 정책 도입 후에도 기간 1년 미만의 단 프라는 연 1.475%인 채로 그대로여서, 전과 전혀 바뀌지 않고 있다. 은행 수익의 원천인 차(利差)의 축소를 꺼려서 금리를 내리지 않고 있기 때문다. 런 상황으로는, 의욕 있는 중소기업 자금을 빌려서 새로운 투자에 쓴다고 하는 효과는 기대하기가 어렵다.
게다가, 메가 뱅크의 최고 경영자들은 『자금을 빌릴 수 없는 것 문제라기보다도 일 늘지 않고 있는 걱정 더 크다. 대출 금리가 내려가도 새로운 투자는 어지간해서 기대할 수가 없다』 고 말을 흘리고 있다. 많은 사람들 경기가 상향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투자 및 소비가 활발하게 되어서, 물가도 완만하게 오르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일본 경제는 작년 10~12월 기(4 사분기)에 마너스 성장에 빠졌고, 그 후로도 소비, 투자 모두 거의 살아나지 않는 상황다.
너스 금리 정책에만 의존하지 말고, 정부 • BoJ 가 일체가 되어 규제 완화 및 구조개혁을 포함한 종합적인 경제 정책 운영을 추진하지 않으면, 구로다 총재가 주장하는 『실물 경제 및 물가 면으로도 파급된다』 고 하는 시나리오는 좀처럼 나타나지 않을 것다.

(日本經濟新聞, May 4. 2016)
 

45
  • 기사입력 2016년05월08일 11시35분
  • 검색어 태그 #일본경제#마이너스금리#경기회복#신뢰#BOJ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