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뉴스

“사전적·상시적 기업구조조정에 사모펀드 활용 절실하다”-KDI, ‘상시적 구조조정 과제’ 연구보고서 발표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16년07월10일 13시07분

작성자

메타정보

  • 46

본문

​‘사모펀드 운용규제’ 완전히 풀어 역동성 창의성 도모해야
규모 대형화와 전문경영인 확보 등도 해결해야 할 과제


기업부실이 현재화되기 이전에 기업구조조정을 실행할 수 있는 사전적⋅상시적인 기업구조조정 수단으로 자본시장, 특히 사모투자펀드 활성화가  절실 것으로 나타났다.


 국개발연구원(KDI)은 10일 ‘상시적 구조조정을 위 과제 : 사모펀드 활성화를 중심으로’라는 연구보고서(구자현 금융경제연구부 부연구위원)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저성장으로 기업의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는 가운데 계기업이 증가하고 있어 기업구조조정의 필요성이 확대되고 있다.”고 밝히고 “그러나 현행 채권금융기관의 자율적인 협약에 의 기업개선작업과 법원에 의 기업회생절차 등을 통 기업구조조정은 사후적구조조정으로 대량의 인력조정과 이해관계자간 갈등 등 상당 비용을 치러야 하기 때문에 계가 있어 보완대책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이 보고서는 “향후 국내 기업구조조정 시장에서 사모투자펀드가 기업구조조정기구로서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모투자펀드에 대 규제완화를 통해 사모투자펀드의 역동성과 혁신성을 도모해야 다”고 강조하고, “사모투자펀드도 전문경영인 확보 등 투자 기업의 가치 제고를 위 역량 배양에 노력하여야 다.”고 지적했다. 또 경제에 파급 영향이 큰 대기업 구조조정 수요가 증가할 경우를 대비해 사모투자펀드 규모도 종전보다는 대형화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편 이 보고서는 국내에 사모투자펀드 제도가 도입된 2004년 이후를 대상으로 사모투자펀드가 투자 기업의 가치가 제고되었는지를 실증분석하고,정책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금융투자 경험이 있는 일반 국민과 금융투자 경험이 없는 일반 국민 각각 500명, 경제전문가 217명 등 총1,2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결과 “국내 사모투자펀드는 제도가 도입된 이후 상당 기간 동안 투자, 재무구조, 고용조정 측면에서 투자 기업에 대해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진 않았으나 수익성 및 성장성 측면에서는 기업가치를 제고시키지 못 것”으로 추정됐다.

 

국내 사모투자펀드가 투자 기업의 가치를 높이지 못했던 데는 우리나라 사모투자펀드가 경영권 인수(buy-out)를 통해 기업구조조정을 수행하도록 도입된 당초 취지와는 달리 국내 사모투자펀드는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에 자금을 제공하는 성장지원(growth capital) 펀드로 운영되어 왔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짧은 역사로 기업가치 제고를 위 경험과 노하우가 부족 데다 특히 정부의 규제로 사모투자펀드의 역동성과 혁신성이 제약되었던 것도 사모투자펀드의 역할 부진의 주요 요인으로 지적됐다. 사모투자펀드에 대 국민인식 조사 결과, 사모투자펀드 자체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인식이 완화되었으나 현행 사모투자펀드에 대 인식은 다소 부정적인 것으로 조사됐다. <ifs POST> 

46
  • 기사입력 2016년07월10일 13시07분
  • 검색어 태그 #사전적 구조조정#상시적 구조조정#사모펀드 활용#운용규제 대폭 완화#경영권 인수#부정적인식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