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뉴스

日 가계(家計) 금융자산, 7년 만에 2분기 연속 감소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16년09월26일 18시10분
  • 최종수정 2016년09월26일 22시05분

작성자

메타정보

  • 42

본문

버냉키 전 FRB 의장 『BoJ 새 정책은 “헬리콥터 머니”와 유사』 평가
 
                                                        Ifs POST 대기자 박 상 기

 

가계 금융자산 2 분기 연속 감소
일본은행(BoJ)이 26일 발표 2016년 2/4분기 자금순환통계(속보치)에 따르면, 일본 가계(家計)가 보유하는 금융자산은 6월 말 현재 전년대비 1.7% 감소 1,746조엔으로 나타났다. 3월 말 시점의 1/4분기에 이어 2분기 연속해서 전년동기를 하회하는 것이다. 가계 보유 금융자산이 2분기 연속해서 전년동기 대비 마이너스가 된 것은 2009년 9월 말 이래 거의 7년 만에 처음이다. 영국의 EU 이탈 결정을 배경으로 주식 시장의 하락 및 엔고(高) 진행에 따른 영향을 받은 것으로 관측된다. 가계가 보유 금융 자산 중 현금 • 예금은 1.2 % 증가 920조엔이 되었으나, 주식 시장 저조로 주식 및 투자 신탁의 평가액이 감소했다. 주식 등의 잔액은 16.6 % 감소 144조 엔, 투자 신탁의 잔액은 11.7 % 감소 87조엔이었다.

 

※ 자금순환통계(資金循環統計)는 국내 자금 흐름을 포괄적으로 기록 통계로, 일본은행(BoJ)이 매 분기별로 작성하여 발표다. 금융기관, 민간 사업회사, 가계 등 각 부문의 금융자산 및 부채의 움직임을 예금 및 대출이라는 항목별로 기록다. 예를 들어, 가계 부문에서는 예금 • 채권 • 투자신탁 등 항목별 구성비를 알아볼 수 있다. 가계의 잔액은 2011년 3월 말 현재, 1,476조엔이다. 일본은 미국에 비해 예금 비율이 높고, 주식 및 투신 등 비율이 낮은 경향이 있다.

 

민간 기업 보유 현금 • 예금 자산도 증가
민간 기업들이 보유하는 금융 자산 가운데, 현금 • 예금 잔액은 전년동기 대비 7.8 % 증가 242조엔으로 비교 가능 2005년 3월 이래 최고 수준이 되었다. 편, 대외 직접투자는 8.1 % 감소 101조엔이었다. 엔고 진행을 배경으로 2010년 12월 이래 처음으로 마이너스가 되었다.
금융기관들의 대출은 전년대비 2.4% 증가 770조엔이었다. 엔고(高)를 배경으로 해외로 나가는 대출이 75조엔으로 4.4 % 감소했으나, 국내에서의 가계 앞 대출이 272조엔으로 3.0% 증가했다. 저금리에 따라 주택 론(Loan)이 증가 때문이다.

 

BoJ 보유 국채 잔액이 급증, 은행들 보유는 감소
국채 보유자의 내역은 6월 말 시점에서 BoJ가 보유하는 국채 잔액은 전년대비 34.6 % 증가 398조엔이었다. 보유자 전체에서 점하는 비율은 36.0 %로, 3월 말 시점을 상회하여 잔액과 보유 비율 모두 사상 최고를 경신했다. 해외 투자자들의 국채 보유 잔액도 전년 대비 16.4% 증가 111조엔으로 증가하여 사상 최고로 되었다. 보유 비율은 10.0 %로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편, 국내은행들이 보유하는 국채 잔액은 14.7 % 감소 233조엔으로 전년 대비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버냉키, 『BoJ의 새 정책은 ‘헬리콥터 머니’와 유사』
편, 버냉키 전 美 FRB 의장은 최근 자신의 블로그에서, 일본은행(BoJ)이 최근 도입 장기금리를 0% 정도로 유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새로운 정책에 대해서, 정부 차입금을 중앙은행이 직접 인수하는 “헬리콥터 머니정책”과 비슷 것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버냉키 전 의장은 BoJ의 새로운 금융정책의 틀에 대해서 “시장 반응은 구구각색이었다” 라면서도 ”디플레이션을 종식시키고자 하는 목표를 향 새로운 결의가 포함되어 있어 대체로 신선 뉴스” 라고 평가했다.
장기금리를 목표로 하는 것에 대해서는 “대단히 놀라운 일이고 흥미가 깊다” 고 언급했다. 이는 『(중앙은행이 정부의 채무를 대위 변제다는 점에서) 명백 재정 조달 방법, 소위 ‘헬리콥터 머니’ 이며, BoJ 구로다 총재는 이의 도입에 계속 반대를 표명해 온 것이다』 고 하면서도, “정부의 차입 금리를 무기으로 제로로 유지하는 정책은, 재정 파이낸스의 요소가 있다” 고 설명했다.
더욱이, “BoJ가 보다 장기인 국채 금리를 목표로 하는 경우에는 그 유사성이 보다 현저해 진다” 고 지적했다. 버냉키 씨는 FRB도 2 차 세계 대전 중 및 직후에 전비(戰費)를 억제하기 위해 장기금리 목표를 도입 적이 있다고 언급했다. <ifs POST>
 

42
  • 기사입력 2016년09월26일 18시10분
  • 최종수정 2016년09월26일 22시05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