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뉴스

"탈원전·석탄으로 2030년 전력비용 3조6천억~7조원 증가"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17년09월28일 12시00분

작성자

메타정보

  • 21

본문

허돈 광운대 교수 "신재생 발전단가 하락이 가장 큰 변수"


  탈원전·석탄과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중심으로 한 새 정부 에너지 정책으로 2030년 우리나라가 부담해야 할 전력비용이 수조원 증가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허돈 광운대학교 전기공학과 교수는 28일 전력산업연구회와 대한전기학회가 주최한 '에너지전환 정책에 따른 전력분야 대응방안 대토론회'에서 에너지 정책 전환에 따라 2030년 전체 전력구입단가가 약 3조6천억원에서 최대 7조원까지 증가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교수는 신고리 원전 5·6호기 건설 중단 여부와 공정률이 낮은 석탄화력발전소 9기의 액화천연가스(LNG)발전소 전환 여부를 변수로 4개 시나리오를 설정했다.

4개 시나리오 모두 2030년까지 신재생 비중 20%로 증가, 노후석탄 10기 조기 폐지, 수명종료 원전 폐지, 계획 중인 원전 6기 취소를 가정했다.

원전과 석탄발전소의 연료비는 최근 3년 평균 정산단가를 적용하고 신재생에너지는 기술 발전으로 향후 단가가 40% 하락한다고 가정했다.

 허 교수는 신고리 5·6호기와 석탄발전소 9기를 건설할 경우 2030년 전력구입단가가 6.9% 상승하면서 총 전력구입비가 3조6천억원 증가할 것으로 분석했다.

신고리 5·6호기를 중단하고 석탄발전소 9기를 모두 LNG발전소로 전환할 경우 2030년 전력구입단가가 13.4% 상승하면서 총 전력구입비가 약 7조원 증가할 것으로 추산했다.

교수는 "신재생 발전단가 하락 전제에 따른 차이가 더 크게 발생한다"며 "신재생 단가하락을 견인하는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또 "분석방법에 따른 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전력비용 영향을 단정적인 숫자로 평가하기보다는 불확실성을 고려한 범위로 평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미래 전력비용은 전원 구성(발전소 종류 및 비중), 건설비, 연료 가격, 연료 세제, 물가상승, 환율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바뀔 수 있지만, 허 교수는 전원구성 변화에 따른 영향만 분석했다고 밝혔다.

사고 위험이나 환경 오염 등 사회적 비용과 송배전 설치 비용 등은 분석에 반영하지 않았다.
<연합뉴스>

 


 

21
  • 기사입력 2017년09월28일 12시00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