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뉴스

건보재정 투입해 의료공백 메운다…'응급실 전문의' 보상 확대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4년03월07일 13시07분

작성자

메타정보

  • 1

본문

매달 1천882억원 투입…1천285억원 예비비 편성 이어 재정지원 확대

'중증환자 입원'에 사후보상 강화…"의료현장 큰 혼란 없이 비상진료체계 유지돼"

100개 수련병원 계약 포기 및 이탈자 1만1천219명


정부가 전공의 집단 이탈에 따른 '의료공백'을 메우기 위해 1천억원이 넘는 예비비를 편성 데 이어, 매달 2천억원에 육박하는 건강보험 재정을 투입다.

보건복지부는 7일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 결과 월 1천882억원 규모의 건강보험 재정을 지원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전공의 집단사직에 따른 비상진료체계 운영 장기화에 대비해 기존에 시행 중인 과제들은 지원 기간을 연장하는 편, 건강보험 재정 투입을 통해 이달 11일부터 새 지원방안을 추진다.

우선 비상진료 기간에 '중증환자 진료체계'를 유지하고 적극적으로 진료 기관에는 사후 보상을 추진하고, 경증환자를 하급병원으로 돌려보내는 회송에 대 보상도 추가로 인상다.

응급 상황에 대응하고자 교수 등 전문의가 중환자를 진료할 때 줄 정책 지원금도 신설다.

심정지 등 응급상황에 대응하는 일반 병동 신속대응팀에 대 보상도 강화다.

이와 함께 응급환자의 신속 전원과 24시간 응급의료체계 유지를 위 보상도 강화다.

이에 앞서 정부는 전날 국무회의에서 1천285억원의 예비비 지출을 심의·의결했다.

예비비는 전공의가 이탈 병원에 대체인력을 배치하고,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 간 의료 이용·공급체계를 개선하는 데 쓰인다.

복지부가 서면 점검을 통해 100개 수련병원 전공의(1만2천225명) 근무 현황을 점검 결과, 6일 오전 11시 현재 계약 포기 및 근무지 이탈자는 총 1만1천219명(91.8%)으로 확인됐다.

정부는 현장점검 결과 업무개시명령을 위반해 미복귀 것으로 확인된 근무 이탈자에게 이달 5일부터 행정처분 사전통지서를 등기우편으로 발송하고 있다.

정부는 현재까지 의료 현장에서 큰 혼란 없이 비상진료체계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달 6일 12시 현재 응급실 일반 병상 가동률은 29%, 중환자실 병상 가동률은 71% 수준으로, 집단행동 이전과 유사 수준이라는 게 복지부의 설명이다.

복지부에 따르면 주요 5대 병원의 중환자실은 축소 없이 운영되고 있고, 응급실도 중증환자 위주로 기능을 유지하고 있다.

<연합뉴스>

 

 

 

1
  • 기사입력 2024년03월07일 13시07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