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뉴스

[이제는 국가유산] "변화 필요하나 업무량 10배 늘듯"…예산·인력 지원 과제로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4년05월13일 09시53분

작성자

메타정보

  • 0

본문

'국가유산' 전환 둘러싼 전문가 제언…"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 끌어내야"

"법만 바뀌고 인력은 그대로" 현서는 우려도…변화 안착까지 시간 걸릴 듯

 

 지난 60여년간 이어져 온 '문화재' 체계가 대대적인 변화를 앞둔 가운데, 새로운 체계가 어떻게 자리 잡을지 관심이 쏠린다.

학계와 문화재(앞으로 '국가유산') 현에서 일한 전문가들은 변화가 필요하다는 데 공감하면서도 국민이 그에 따른 효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세심하게 살펴봐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문화재위원회 위원인 강봉원 경주대 특임교수는 13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더 넓은 관점에서 (시대, 환경) 변화에 대응하려면 국가유산 체계 전환은 꼭 필요한 변화"라고 말했다.

문화재위원회는 문화재청의 자문기구로, 문화재 보존·관리·활용을 조사·심의한다.

오는 17일부터 국가유산 체계가 적용되면 문화재위원회는 유산 유형에 따라 '문화유산위원회'와 '자연유산위원회'로 업무가 나뉜다.

강 위원은 "기존의 '문화재' 용어는 '재화'라는 성격이 두드러졌다. 국제 기준인 '유산'(遺産·heritage)이 보편적으로 쓰이는 추세에 따라 변하는 게 맞다"고 말했다.

문화재청,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체육관광부 관을 지낸 최광식 고려대 명예교수 역시 "국제적 환경과 변화에 발맞춰 이제는 달라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용어와 분류 체계가 하루아침에 달라지는 만큼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는 의견도 많다.

일간지 기자로 오랫동안 문화유산 분야를 취재했던 이광표 서원대 교수는 "(국가유산으로의 전환) 취지와 방향은 당연하지만 한날 한시에 모든 것을 바꾸다 보니 곳곳에서 헷갈릴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 교수는 "국가유산을 보존·활용하는 주체인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끌어내야 한다. 현에서 달라진 부분을 느낄 수 있게끔 세세한 측면까지 들여다봐야 한다"고 제언했다.

국가유산 체제를 쉽게 홍보하기 위해 웹툰을 활용한 정보를 전달하는 만화. '국가유산사랑' 소식지 5월호에 실린 것.[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예컨대 '문화재'를 '국가유산'으로 바꿨을 때 어떤 부분이 도움 되는지, 주민들의 삶에는 어떤 변화를 끌어낼 수 있는지 등을 구체적으로 전할 수 있어야 한다는 설명이다.

진병길 한국문화유산활용단체연합회 겸 신라문화원은 "(문화재를) 무조건 지키고 보존해야 한다는 시각에서 벗어나 문화·무형·자연유산을 아우르는 국가유산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새로운 국가유산 체계는 '미래 가치' 창출에 방점을 둔 점이 특징이다.

이를 보여주듯 문화재청은 기존에 써 오던 슬로건인 '어제를 담아 내일에 전합니다' 문구를 '국민과 함께 누리는 미래가치, 국가유산'으로 바꾸고 국가유산 활용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

진 회은 신라의 역사 문화 유적과 마을이 공존하는 경주 서악마을 사례를 들며 "주민들이 삶을 살아야 문화유산도 지킬 수 있다. 유산의 가치를 널릴 알릴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일각에서는 이번 변화로 현의 업무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문경시 학예연구사 출신으로 전국학예연구회를 이끄는 엄원식 회은 "일선 현에서 문화재 관련 업무를 맡고 있는 공무원들로서는 희비가 엇갈리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엄 회은 "기존에는 국보, 보물 등 지정문화재 위주로 관리했으나 비지정문화재(비지정 유산)까지 들여다본다는 건 의미가 크다. 지방 내에 있는 문화재, 유산을 더욱 세심하게 볼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그는 지금과 같은 인력·예산 상황으로는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힘줘 말했다.

엄 회은 "앞으로는 지정·등록 유산에 비지정 유산까지 총괄적으로 들여다봐야 하는데 그에 따른 예산이나 인력은 전혀 늘어나지 않고 법만 바뀐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비지정 유산) 목록을 관리하는 식으로 바뀌면 업무량이 10배 늘어나는 셈"이라며 "문화재에 대한 인식, 예산 차이에 따라 지방자치단체별로 (업무량) 차이도 클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광표 교수는 "비지정 유산 업무를 맡을 인력을 어떻게 배치할지 구체적으로 계획을 제시해야 한다"며 "지금은 용어 명칭이나 이론보다 현이 중요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향후 국가유산청의 권한과 조직 확대가 필요하다는 제언도 나온다.

최광식 명예교수는 "국민 곁에서 국민이 체감하는 변화를 끌어내기 위해서는 문화재청 산하의 소속 지방 조직과 인력이 필수적"이라는 의견을 제시했다.

<연합뉴스>

 

0
  • 기사입력 2024년05월13일 09시53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