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광두의 1년 후

[남덕우기념사업회 토론회] 소득 불평등 지표 비교 | 장용성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위원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5년04월15일 16시49분

메타정보

  • 0

본문

▲ 장용성  금융통화위원회 위원

 

► 소득불평등 연구가 어려운 이유

  - 정확한 데이터 부족

  - 기존 거시모형은 동질적 가계 모형

  - 컴퓨터의 획기적 발전으로 이질적 가계모형 계산 가능

 

► 과연 헬조선인가?

  - 동의못함, 소득에 있어서는 불평등이 개선되는 추세

  - 자산불평등이 중요하다는 점 동의. 다만 자산 파악이 매우 어려움. 따라서 소득이동성이 중요하다는 점 동의 

  - OECD국가의 소득불평등(지니계수)지수:  미국 0.5> 한국 0.4(세전소득기준)

    그러나 젊은이들은 우리나라가 더 불평등하다고 생각.

 

0
  • 기사입력 2025년04월15일 16시49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