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광두의 1년 후

기획재정부 업무보고에 대한 평가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14년01월07일 23시52분

메타정보

  • 39

첨부파일

본문

I. 기획재정부 업무보고(2013년 10월 16일 국정감사 기획재정위원회)에서 향후 정책방향으로 다음의 세가지를 중점전략으로 하겠다고 보고하였음.
  (1) 저성장 흐름을 끊고 국들이 체감할 수 있는 생경제 회복을 위하여 일자리 창출, 투자 활성화 등 정책노력 강화
  (2) 대내외 위험요인을 철저히 관리하면서, 서비스산업 등 성장동력 확충 강화
  (3) 국부담을 최소화하면서도 경제활성화와 국정과제 이행을 뒷받침하도록 세제·예산 운용
 
II. 그러나 기획재정부 업무보고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4가지 측면에서 신중하게 재점검해야한다.
 
1. 2014년도 3.9% 성장률 전망은 너무 낙관적이며 3.5% 정도가 실현 가능성이 높음
2. 내수 부진으로 서 ·중소기업의 체감경기가 나아지지 않고 주택시장 정상화도 늦어지고 있으며, 고용 증가세에도 청년 ·여성의 일자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임을 고려해야 한다.
3. 공공부문의 비효율이 국가경쟁력의 발목을 잡고 있는 상황
  ◦ 한국전력공사는 부채 비율을 2015년 이후 최단 기간에 150% 이하로 줄이겠다는 목표 제시
  ◦ 한국토지주택공사는 재무구조 개선 64개 및 내부 경영혁신 36개 등 100대 실행과제를 적극 추진할 방침
  ◦ 1인당 복리후생비가 가장 많은 한국거래소는 경상경비 예산을 30~45% 삭감하기로 함.

4. 부실대기업에 대한 사전적 구조조정을 통하여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일본의 아베노믹스에 의한 원화 절상, 가계부채의 위기확산에 대비하여야 함.
  (1) 가계부채
  ① 현황 : 전반적으로 증가속도는 둔화되고 있으나, 경기부진에 따른 저소득층 등 취약부문의 부채상환 능력 악화 우려
  ◦ 가계신용(조원): (‘09말)776.0 (’10말)843.2 (‘11말)916.2 (’12말)963.8 (’13.2/4)980.0
  ② 대응방향 : 대출구조 개선 등 가계부채 연착륙 대책을 지속 추진하고, 채무재조정·서금융 지원 강화 등을 통해 취약계층의 상환부담 완화
 (2) 기업부채
  ① 현황 : 동양사태 이후 회사채․CP 등 기업자금시장 영향은 제한적이나, 한계기업 중심으로 자금조달 애로가 심화될 우려
  ② 대응방향 : 기업자금상황을 면밀히 점검하고, 「회사채 시장 정상화 대책」을 차질없이 추진하여 시장경색우려에 선제적 대응
  ◦ 경기순응업종의 유동성 지원을 위해 회사채 차환물량에 대해 해당기업이 20% 자체 상환, 나머지 80% 산은 총액인수를 통해 금투업계(10%), 채권은행(30%), 신보(60%)에 매각
 (3) 정부세입
  ① 현황 : 지난해 경기침체 영향 등으로 상반기 세수실적은 부진하였으나, 7월에 상승세로 전환된 이후 8월에도 추세 유지
  ◦ 8월까지 누계 세수실적은 136.8조원으로 전년동기(142.8조원) 보다 △6.0조원 감소하였으며 감소폭은 금년 상반기(△10.1조원)보다 축소
  ② 대응방향 : 세출사업이 계획대로 집행되도록 하반기 세수확보에 노력하고 불요불급한 사업 억제, 기금여유자금 등을 활용
 (4) 공공기관 부채
  ① 현황 : 최근 증가세가 완화되었으나 국경제부담으로 전이되지 않도록 지속적 재무건전성 점검 필요
  ◦ 공공기관 부채규모(조원): (’09) 337 → (‘10) 397 → (’11) 459 → (‘12) 493
  ◦ 공공기관 부채증가율(%): (‘09) 16.1→ (‘10) 17.9 →(’11) 15.6 →(’12) 7.5
  ② 대응방향 : 부채위험이 큰 공공기관별 전담팀을 구성하여 자구노력 등을 분기별로 모니터링하고, 이행실적을 경영평가에 반영
39
  • 기사입력 2014년01월07일 23시52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