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광두의 1년 후
본문
▲ 장용성 금융통화위원회 위원
► 소득불평등 연구가 어려운 이유
- 정확한 데이터 부족
- 기존 거시모형은 동질적 가계 모형
- 컴퓨터의 획기적 발전으로 이질적 가계모형 계산 가능
► 과연 헬조선인가?
- 동의못함, 소득에 있어서는 불평등이 개선되는 추세
- 자산불평등이 중요하다는 점 동의. 다만 자산 파악이 매우 어려움. 따라서 소득이동성이 중요하다는 점 동의
- OECD국가의 소득불평등(지니계수)지수: 미국 0.5> 한국 0.4(세전소득기준)
그러나 젊은이들은 우리나라가 더 불평등하다고 생각.
- 기사입력 2025년04월15일 16시49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