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광두의 1년 후

문재인 정부 4년 경제 평가 <3> 일자리 정책 총체적 실패 | 신세돈 숙명여자대학교 명예교수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1년05월13일 16시50분

작성자

메타정보

  • 0

본문

- 문재인 정부 4년 시리즈 세 번째 꼭지는 일자리. 사실 모든 정부가 그동안 역점을 두어왔던 정책이고, 일자리 증대를 위해 상당히 많은 재정이 투입이 됐다. 특히 문재인 정부는 출범하는 당일 대통령 행정명령 1호로 일자리 판을 만들었다.

 

-지난 4년의 성과는 어떤가? 노무현 정부 4년 동안, 2002년부터 2006년까지 일자리는 956천개가 늘었다. 이명박 정부 4년 동안에는 일자리가 966천개가 늘었고, 혜 정부 4년 동안은 1454천개가 늘었다. 그런데 문재인 정부 들어와서 2016년을 기준으로 2020년의 일자리는 495천개 밖에 안 늘었다. 그러니까 노무현 이명박 정부에 비해서는 절반, 혜 정부에 비해서는 1/3 밖에 안 되는 그런 초라한 성적을 나타냈다.

 

- 문재인 정부가 지난 4년 동안 60대 이상의 로자를 위해서 엄청난 그런 어떤 재정을 투입하고, 거기서 사실상 거의 한 30만 내지 40만개의 추가적인 일자리가 만들어졌음에도 불구하고, 4년 동안 일자리가 50만개도 안 늘었다는 것은 굉장히 문재인 정부의 일자리 정책이 처참하게 실패했다고 이야기를 할 수 있다.

 

- 그런데 정책당국자들은 항상 그래도 상용 일자리는 많이 늘었다는 것이었다.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등으로 정규직이 대부분이라 할 수 있는 상용(常用) 일자리는 많이 늘어 고용의 질이 높아졌다고 변명했다.

 

-과연 그런가? 상용 일자리는 노무현 정부 4년 동안에는 1369천개가 늘었고, 이명박 정부 때는 2071천명이 늘었다. 혜 정부 때도 181만개가 늘었음에 비해서 문재인 정부는 1459천개 증가에 그쳤다. 기껏해야 노무현 정부 때보다 더 늘었는데 문재인 정부가 자랑을 하려면 노무현 정부 때보다는 많았다이렇게 자랑하면 모를까. 재미있는 현상은 진보정부가 들어서면 양질의 상용 로자 일자리가 줄어든다는 것이다.

 

- 일자리만 있다고 좋아할 일인가? 일자리가 있더라도 얼마나 일하느냐? 일주일에 몇 시간을 일하느냐? 이것도 중요한 개념이다. 지난 20년 동안 로시간은 계속 줄어왔다. 노무현 정부 4년 동안에는 로시간이 주당 1.9시간 줄었다. 이명박 정부 때는 4년 동안 3.2시간 줄었고, 혜 정부 4년 동안에는 1.6시간 줄었다. 그런데 문재인 정부에서는 4년 동안에 주당 4시간이 줄었다.

 

- 이게 얼마나 큰 문제인가 따져보자. 주당 4시간이 줄었는데 우리 로자를 2800만명이라고 잡고, 1년으로 따지면 52주를 곱하면. 4시간522800시간당 인건비 1만원을 계산하면 58조원이 넘는 인건비가 줄어든 것이다. 그만큼 로자들의 소득이 줄어든 것이다. 소득을 이야기 할 때 이 문재인 정부의 소득정책이 겉으로는 성공적이나 내용에 들어가 보면 상당히 문제가 많다고 했는데 바로 이런 점을 말하는 것이다.

 

-결론은 이렇다. 일자리 전체의 총체적인 증가수도 다른 정부에 비해서 절반 또는 1/3 밖에 되지 않고, 그 다음에 상용 로자의 증가속도도 매우 둔화되었고, 로시간도 계속해서 단축되었고, 1주일에 40시간 이상 일하는 사람의 숫자는 점점 위축이 되고, 반면에 17시간 이하라든지 또는 18시간~36시간 이렇게 파트 타임 로자(part-timer)들이 급격하게 늘어나는 이런 일자리 구조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문재인 정부의 일자리 정책도 총체적으로 성공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할 수 있다.

다음 시간에는 30, 40, 50대 일자리가 문재인 정부의 4년 동안 어땠는가? 하는 주제를 다루겠다.

 

0
  • 기사입력 2021년05월13일 16시50분
  • 검색어 태그 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