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광두의 1년 후

[산업경쟁력포럼] 원격 진료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 장지호 코스포 원격의료산업협의회 회장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3년11월22일 16시18분
  • 최종수정 2023년11월22일 16시18분

메타정보

  • 3

본문

보고서 보러가기 : https://ifs.or.kr/bbs/board.php?bo_table=research&wr_id=10791


◈ 주제발표

지호 코스포 원격의료산업협의회 회

 

“원격진료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1. 비대면진료의 기대효과는 크다. 국민들은 단순반복 처방 등을 위해 의료기관 방문에 소요되는 사회 경제적 비용의 절약이 가능하고 의료접근성 개선으로 의료권익 신을 기할 수 있다. 또 정부입에서도 의료전달체계의 현대화와 새로운 산업의 성 바탕으로 의료선진국으로 도약이 가능할 것이다. 특히 의료계로서는 1차의료기관 중심의 의료전달체계 확립 및 지역사회 동네병의원의 역할 확대는 물론 의료재정의 건전성 강화를 기대할 수 있다.

 

2. 비대면 진료를 위한 국내규제 해소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방법 : 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전화 또는 화상 진료

 - 시행기관 : 비대면진료 희망하는 1차 의료기관 

 - 대상질환 :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한 질환을 제외한 모든 질환. 제한 질환은 의료계의 의견을 수렴하여 보건복지부가 정하고, 네가티브방식으로 제한된 질환 외 모든 질환은 비대면 진료 허용

 - 수혜대상 : 모든 환자 (초진‧재진 모두 허용)

 - 의사 권한과 책임 : 의사에게는 비대면 진료를 요청하는 환자에게 적절한 진료방식을 판단 결정할 수 있는 권한 부여. 단 의료사고 발생시 의사는 대면진료와 동일한 책임을 지되 의사 귀책이 아닌 경우 사유에 따라 플랫폼, 환자에 책임을 부여. 또 사전에 비대면 진료는 대면진료에 비해 다소 위험성이 있다는 동의를 받게 하여 비대면 진료에서의 의사면책 부담 완화.

 - 의약품수령 : 약국 방문 또는 배달로 의약품 수령 가능. G7 모든 국가와 OECD 38개국 중 36개국이 일반 의약품을 포함한 의약품 배송허용.

 

3. 비대면 진료의 미래는 곧 현실이 될 것이다.

 - 원격의료 시은 앞으로 더욱 성할 전망이다. 미국의 경우 2027년까지 매년 17.5%이상 성할 것으로 예상되고, 시규모도 896억달러(약 110조 8844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 디지털헬스케어에서 원격진료가 갖는 의미는 크다. 우선 환자의 상태를 추적관찰 할 수 있고, 특히 환자의 건강상태를 추적해 건강습관을 개선해 병을 예방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3
  • 기사입력 2023년11월22일 16시18분
  • 최종수정 2023년11월22일 16시18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