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뉴스 초점> 시 주석, 마크롱 대통령 극진한 환대…EU 결속 흔들려는 의도 본문듣기
작성시간
관련링크
본문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이 중국을 방문한 프랑스 마크롱(Emmanuel Macron) 대통령에 이례적인 환대를 베풀어 국제 사회의 관심을 끌고 있다. 5일~7일 2박3일 간의 일정으로 중국을 공식 방문(‘state visit’)한 마크롱 대통령은 6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시 주석과 회담한 뒤 만찬을 함께 했다. 이어서 7일 중국 남부 광저우市로 옮겨 또 다시 만찬을 함께 했다. 시 주석이 외국 요인과 베이징에서부터 행동을 같이 하며 이틀 간 융숭하게 환대하는 것은 지극히 이례적이라고 알려진다.
시 주석은 한 때 자신의 부친인 시중쉰(習仲勳) 전 부총리가 살았던 광저우 시내 ‘쑹웬(松園)호텔’에서 대단히 ‘개인적인’ 차회(茶會)도 가졌다. 이어서 마크롱 대통령은 명문 중산(中山)대학에서 연설하고, 러시아는 “이웃 나라를 식민지화하고, 국제 룰을 무시하고, 무기를 배치하고, 침략을 감행한 나라” 라고 비난했다. 이날 만찬에서 시 주석은 우크라이나 정세에 대해 “조속한 정전(停戰)은 관계국은 물론 전세계에 이익” 이라고 강조하고, 프랑스와 함께 “건설적인 역할”을 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마크롱 대통령은 “중국의 국제적 영향력을 중시하며, 위기를 정치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함께 노력하고 싶다”는 견해를 피력했다고 알려진다.
“EU의 단합을 보여주려던 마크롱 대통령의 의도와 달리 견해 차이만 부각돼”
한편, 마크롱 대통령의 이번 중국 방문에 동행한 유럽연합(EU)의 폰데어라이엔(Ursula von der Leyen) EC 집행위원장은 6일 시 주석과 회담에서 마크롱 대통령과는 다른 입장을 선명히 드러내 온도차가 부각된 것으로 알려진다. 중국 외무부는 시 주석은 마크롱 대통령과 회담에서 “양국은 견해차와 속박을 넘어 ‘참된 다국간주의’를 실천할 능력과 책임이 있다” 고 언급했다고 전했다. 시 정권은 동맹국, 우호국들과 연대해 중국에 대항하고 있는 미국을 ‘거짓된 다국간주의’ 라고 비판하는 동시에 이에 대항해서 ‘참된 다국간주의’ 라는 표현을 자주 사용하고 있다.
마크롱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침공을 계속하고 있는 러시아에 무기를 제공하지 말도록 시 주석에게 일침을 가하는 장면도 보였으나, 프랑스는 전통적으로 미국 주도의 국제 질서와는 일선을 긋는 입장을 지켜오고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폰데어라이엔 EC 위원장은 중국의 인권 문제, 러시아와의 접근 등에 경계심이 강해서 이날 회담에서도 대만 문제를 둘러싸고 시 주석과 응수를 나눈 것으로 알려진다. 시 주석이 “대만 문제에 트집을 잡는 것은 허락할 수 없다” 고 언급하자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은 “일방적이고 힘에 의한 현상 변경”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표명함으로서 중국이 대만 통일을 힘으로 압박하는 현실에 대해 견제를 하기도 했다.
영국 파이낸셜 타임스(The Financial Times)는 마크롱 대통령이 일단의 기업인들을 대동하고 폰데어라이엔 위원장과 함께 중국을 방문해서 중국에 유럽 국가들의 공통된 자세를 보여주려고 했으나 중국 측이 만찬 연회, 군사 퍼레이드 등 행사에서 때때로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을 배제하고 마크롱 대통령에 대해 편향적으로 융숭하게 대접함으로써 일체감이 묻혀 버렸다고 보도했다. FT는 한 중국 전문가(연세대 John Delury 교수)의 말을 인용해서 “중국의 전략은 마크롱 대통령을 끌어안는 반면, 강경 입장인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은 변방으로 모는 것” 이라고 전했다.
“러-우 전쟁 종식을 위한 중국 역할을 이끌어내는 데도 별다른 성과가 없어”
블룸버그 통신은 마크롱 대통령이 이번 중국 방문에서 자신의 의욕과 달리 우크라이나 평화를 위한 시 주석의 지지를 얻어내지 못한 것을 지적하고 있다. 두 정상이 공동성명에서 ‘양국은 우크라이나 평화 회복을 위한 노력을 지지한다’고 언급하고 있으나, 내용적으로는 마크롱 대통령이 기대했던 것과는 상당한 거리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유럽의 “일치된” 입장을 과시할 의도로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에 동행을 청했으나, 결과적으로 일치되지 않은 입장만 노정한 결과가 됐다.
프랑스 정부 고위 관리는 중국이 협상에 의한 종전을 지지하는 것은 중국이 평화적 노력에 참여할 의사를 가졌다는 신호로 받아들이고 있으나, 당초에 시 주석을 설득해서 푸틴 대통령에 대한 영향력을 발휘함으로써 전쟁 종식에 도움을 줄 것을 기대했다고 전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베이징 회담에서 “나는 당신(시 주석)이 러시아가 이성(reason)으로 돌아오도록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으나, 시진핑 주석은 이번 방문 내내 ‘러시아’ 혹은 ‘푸틴’을 언급하기를 삼갔다. 한편, 기대를 모았던 시 주석과 젤랜스키(V. Zelensky)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통화에 대해서도 입장 차이가 좁혀지지 않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동행한 폰데어라이엔 위원장도 시 주석에게 적절한 시기에 통화할 것을 권했으나 구체적인 통화 약속은 없었다.
한편, 미국의 정치 전문 매거진 POLITICO는 마크롱 대통령은 시 주석과의 회담에서 중국이 모든 당사자들이 협상 테이블에 앉을 수 있도록 역할을 할 것을 촉구했으나, 시 주석은 우크라이나 평화 회복을 위한 모든 노력을 지지한다고 약속했을 뿐이라고 전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은 시 주석의 대화 용의를 환영하면서도 중국 내 인권 문제를 지적하고, 러시아에 대한 무기 수출은 (EU와) 관계를 심대하게 해칠 것이라며 보다 강한 어조로 경고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대해 러시아 정부 페스코프(Dmitry Peskov) 대변인은 중국은 의문의 여지없이 충분한 중재 능력과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나 현재 우크라이나 상황은 대단히 복잡해서 지금은 정치적인 해결 전망은 보이지 않고 공세를 계속하는 것 이외에 다른 방도가 없다고 주장함으로써 중재 노력 기대에 찬물을 끼얹었다고 전했다.
“중국은 美 · 유럽 관계 강화 저지에 집중, 마크롱의 의도는 빗나가고 말았다”
한편, 로이터 통신은 시 주석은 마크롱 대통령에 대해 이례적으로 융숭하게 대접함으로써 EU 내의 핵심 우호국으로 만들어 자국을 포위하며 압박을 가하는 미국에 공세적으로 대항하려는 속셈이라고 전했다. University. of Denver 자오(Zhao Suisheng) 교수는 “중국의 모든 외교 노력의 배경에는 미 ·중 관계가 있고, 특히, 프랑스 등 나라들과 외교 노력은 미국에 대항하는 것” 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로이터, FT 등 주요 미디어들은 바킨(Noah Barkin) 로디움(Rhodium)그룹 연구원의 “마크롱 대통령은 중국의 가장 중요한 파트너이고 중국의 목표는 유럽이 미국과 친밀해지는 것을 막는 것” 이라는 언급을 전했다. 그는 “마크롱 대통령은 두 사람이 견해차는 있으나, 중국에 EU의 단합을 과시하려는 의도로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을 이번 방중에 초대했으나 이런 의도는 빗나갔다” 고 말했다고 전해진다.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은 지난 주 중국 방문 출발에 앞서 가진 한 연설에서 시 주석이 푸틴과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서 연계하고 있는 것은 중 · 유럽 관계에 결정적 요인이 될 것이라며 강력하게 경고한 바가 있다. 이에 대해 앞서 소개한 영국 파이낸셜 타임스는, 마크롱 대통령은 이와 달리, 중국과의 관계에서 ‘빠져나올 수 없는 소용돌이(inescapable spiral)’ 관계를 피하려고 하는 입장이라고 전했다.
“국내에서 연금개혁으로 곤경에 빠진 마크롱이 일정한 경제적 성과는 얻은 셈”
해외 미디어들은 미국은 중국이 이렇게 프랑스를 향해 외교 노력을 쏟고 있는 것을 ‘회의적’ 시각으로 보고 있다고 전하고 있다. 즉, 중국은 미국과 관계가 악화된 상황에서 유럽과 관계 강화를 시도하고 있으나 현 시점에서는 실현 가능성이 없다고(‘unlikely’) 보고 있다는 것이다. 시 주석이 우크라이나 젤랜스키 대통령과 대화할 것을 제안한 것에 분명한 태도를 밝히지 않은 것을 보더라도 마크롱 대통령의 이번 방중으로 이와 관련한 성과를 얻은 것으로는 보이지 않는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마크롱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전쟁 이슈 외에 이번 중국 방문의 또 하나의 중요한 목적인 교역 관계 증진에는 상당한 성과를 얻었다. 그는 Airbus, EDE, Veolia 등 대기업 최고경영자들을 대동했고, 구체적으로 미국 보잉사와 경쟁하는 Airbus사는 150여대의 항공기 주문을 받았고, 중국 내 조립 시설을 두 배 증설할 것도 약속했다. 마크롱 대통령이 연금개혁 문제로 국내에서 대규모 국민 저항에 부딪혀 있는 상황에서 중국을 방문함으로써 일정한 경제 성과를 얻었을 뿐이다.
결국, 중국은 마크롱 대통령이 처한 상황을 감안해서 그를 극진하게 환대함으로써 대만 문제, 우크라이나 전쟁, 첨단기술 수출 금지 등으로 미국과 대립하는 상황에서 미국의 봉쇄를 벗어나려고 시도한 것이다. 중국 정부는 금년 외교 예산을 대폭 증액하는 한편, 최근 몇 주일 동안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스페인, 일본 등 외국 고위 인사들을 대거 초청했다. 지난 3월에는 사우디와 이란 간에 극적인 화해를 이끌어냄으로써 중동 지역 평화 중재자 위상을 강화하고 다국간주의 국제 질서 구축 야심을 드러내기도 했다. 이를 감안하면, 중국은 앞으로도 유럽과 ‘라이벌’, ‘경쟁자’ 보다는 ‘파트너’ 관계를 강화하려는 시도를 계속할 것으로 보인다.
<ifsPOST>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