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서울신문] 극단화의 유혹, 막말의 매력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13년09월11일 00시00분

메타정보

  • 20

본문

더운 여름을 보내며 우리 마음을 더욱 덥게 만들었던 것은 여당과 야당의 대치 정국이었다. 의견 차이를 좀처럼 좁히지 못하는 평행선을 넘어, 오히려 의견 차이가 더욱 커지는 모양새를 보는 국민들의 마음은 편치 않았다.

서울신문 8월 24일자 27면 ‘언제부턴가 우린 다시 돌을 들었다’는 논설위원의 글에 공감했다. 특히 신문들까지 사회 갈등의 첨병이 되어 ‘적진’을 매도하고 사회를 하나로 묶으려 하지 않는다는 지적은 신문이 가져야 할 기능 중 ‘사회통합 기능’의 중요성을 요즘 신문들이 망각하고 있음을 잘 일깨워 주었다. 26일자 2~3면에서 박근혜 정부 출범 6개월을 평가하며 “원칙 중시로 대북 주도권을 얻었고 권위주의로 정치를 잃었다”고 요약한 기사들에서도 비교적 균형을 잃지 않으려 노력한 흔적이 보였다.

나라가 양분되어 있다는 사실이 매우 염려스럽다. 여당과 야당이 이야기하는 국민은 과연 같은 국민을 뜻하는 것인지 의구심이 든다. 양쪽 모두 스스로 보고 싶어 하는 국민들만 보고 있기에, 서로 자기 쪽이 다수 국민의 뜻을 더 잘 알고 있다고 착각하게 된다. 여야 모두 반쪽 국민을 잘 단결시켜 근소한 차이로라도 선거에서 이길 수 있는 전략에만 집중할 것이 아니라, 지금 대부분의 국민이 무엇을 원하고 있는지 현실을 직시했으면 한다. 겸허하게 전체를 바라볼 때 비로소 진짜 다수 국민들의 뜻이 읽힌다.

집단 간 갈등에 관한 사회심리학 이론에 따르면, 사람들이 극단화의 유혹에 끌리기 쉬운 것은 일단 자기가 속한 집단의 정체감이 뚜렷해지면 그 집단 구성원들이 대부분 동의하는 의견을 더 ‘강력하게’ 말하는 사람이 더 ‘리더’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온건하게 이야기하는 사람은 자기 집단을 대표하기에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막말’을 동원해서라도 강력하게 상대방을 깎아내릴 때 자기 집단 구성원들이 속 시원해하며 더 따르게 되는 성향도 이와 관련이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의견 양극화 현상은 선거 때 집단정체감이 뚜렷해지는 상황에서 지지층을 결집시키느라 상대방을 더욱 강하게 깎아내리며 경계를 더 선명하게 만들어 온 데 기인한다. 예전에는 지역감정에 의지해 선거를 치렀고, 요즘은 세대차에 기대어 선거를 치른다. 지역과 세대에 따라 살아 온 환경이 다르니 생각의 차이가 있는 것은 당연하다. 그런데 이런 차이를 조금이라도 줄여 ‘하나의 대한민국’으로 발전시키려 하기보다, 차이를 더욱 강조하면서 자기 쪽만 우월하고 정당하며 상대 쪽은 열등하고 부당하다고 주장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프레임에 언론까지 가세해 의견 양극화를 더욱 부추긴다.
 
양분되어 있는 나라를 하나로 통합하는 데 기여하기보다 어느 한쪽의 투사인 것처럼 대리전을 하고 있는 언론의 양태가 그래서 염려스럽다. 양 극단에서 정치적 목적을 가지고 강한 목소리를 내며 편 가르기를 하는 사람들보다 각자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자기가 노력한 만큼 보상을 받으며 행복하게 살고 싶어 하는 대다수 국민들의 소박한 희망에 언론의 조명을 비춰주기 바란다. 국민이 각자 알아서 균형 잡힌 시각을 유지하기 위해 진보신문과 보수신문을 모두 읽어야만 겨우 진짜 현실을 희미하게나마 파악할 수 있는 상황에서, ‘이 신문 하나만 보면 객관적이고 공정한 판단을 할 수 있다’고 이야기할 수 있는 그런 신문이 하나쯤 있으면 좋겠다
20
  • 기사입력 2013년09월11일 00시00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