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계산에서 바라본 세계

국가의 미래를 향한 첫 걸음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케네디 신화의 진실 <1> 암살당한 배경은?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3년05월17일 11시00분
  • 최종수정 2023년07월08일 11시42분

작성자

  • 이상돈
  • 중앙대학교 명예교수, 20대 국회의원,

메타정보

  • 2

본문

 

비극적으로 생(生)을 마감한 유명인은 사람들에게 아쉬움을 안겨 주게 되며, 그러한 이유로 그가 생시에 했던 일들이 미화되고 심지어는 신격화되기도 한다. 존 F. 케네디가 그러한 경우다. 1963년 11월 22일 금요일 오후 12시 30분, 댈라스에서 일어난 일은 ‘세기의 범죄’일뿐더러 일대 충격이었다. 젊은 미국 대통령이 백주에 피격되어 비극적으로 죽었을뿐더러 범죄에 대한 설명도 석연치 않았다. 장례식에서의 재클린과 어린 두 아이들, 그리고 형제들의 모습은 미국인의 뇌리에 강렬하게 각인되었다. 이렇게 해서 케네디는 ‘신화’가 됐다. 

 

케네디가 미화되고 신격화된 데는 케네디의 백악관에서 일했던 참모들이 펴낸 책의 영향도 컸다. 하버드 교수를 지내다가 케네디 백악관에서 특별보좌관이라는 직책으로 일했던 아서 슐레진저(Arthur Schlesinger Jr. 1917~2007)가 펴낸 <A Thousand Days: John F. Kennedy in the White House>가 대표적이다. 슐레진저가 특별보좌관을 지냈지만 그가 케네디를 특별하게 보좌한 적은 없다.  

 

케네디는 대통령 선거 때 자기를 지지한 슐레진저에게 한가한 대사 자리를 제안했는데, 슐레진저가 백악관에 있고 싶다고 부탁을 해서 할 수 없이 특별보좌관이란 직책을 부여했다.  슐레진저의 사무실은 대통령 집무실이 있는 웨스트 윙이 아닌 이스트 윙에 있었으니 케네디를 자주 만날 일도 없었다. 슐레진저는 케네디 백악관에서 일어나는 일을 기록해서 책을 내려고 했는데, 케네디가 암살당하자 그 때까지의 기록에 근거해서 1,000일의 기록으로 책을 냈다. ‘케네디 신화’를 만들어낸 1등 공신은 슐레진저라고 하겠다. 

 

케네디의 스피치 라이터였던 테드 소렌슨(Ted Sorensen 1928~2010)도 <Kennedy>(1965년), <The Kennedy Legacy> (1969)를 연이어 펴내서 케네디 추모와 미화에 힘을 보탰다. 문장력이 좋은 소렌슨은 케네디의 연설문을 도맡아 작성했다. 1956년에 나온 케네디의 책 <Profiles in Courage>도 소렌슨이 쓴 것이었다. 케네디의 공보비서를 지낸 피에르 샐린저(Pierre Salinger 1925~2004)도 <A Tribute to John F. Kennedy>(1964년)와  <With Kennedy>(1966)를 펴내서 케네디 신격화에 한 몫을 했다. 

 

소렌슨과 샐린저, 그리고 케네디와 가장 가까웠던 비서 케네스 오도넬(Kenneth O'Donnell 1924~1977)은 로버트 케네디 대선 운동에 참여했으나 로버트는 1968년 6월에 암살되고 만다. 로버트 케네디의 친구이기도 한 오도넬은 케네디 대통령이 텍사스를 방문해야 한다고 주장해서 관철시킨 장본인이었다. 오도넬은 자기 때문에 케네디가 죽었다고 생각하고 괴로워했고 결국 52세 나이로 빨리 사망했다. 케네디가 댈라스에서 암살될 때 오도넬은 케네디가 탄 차를 따라간 차에 타고 있었고 총탄이 두 방향에서 날라 왔다는 진술을 남겼다. 2차 대전 때 공군으로 실전에 참전해서 총소리에 익숙한 그는 두 명의 저격수가 있었다고 느꼈다.    

 

케네디의 여자관계 등 사생활을 다룬 책은 1990년대 말부터 나오기 시작했다. 대통령 역사가로 유명한 로버트 댈릭(Robert Dallek 1934~)이 쓴 <An Unfinished Life: John F. Kennedy, 1917–1963>(2003), <Camelot's Court: Inside the Kennedy White House>( 2013)은 케네디의 어두운 부분도 객관적으로 서술했다. 이렇게 해서 케네디에 대한 신화는 대부분 벗겨졌다.  

 

케네디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 가장 논란이 많은 부분은 베트남 전쟁에 대해서이다. 쿠바 미사일 위기 후 케네디가 소련에 대해 핵 실험 제한을 제의해서 대기와 수중에서의 핵 실험을 금지를 위한 협정을 체결한 것을 들어서 케네디가 죽지 않았더라면 미국은 베트남에서 발을 뺏을 것이라고 보기도 한다. 심지어 케네디가 베트남에서 철군을 하려고 해서 군부와 CIA가 케네디를 암살했다는 주장을 펴는 사람도 있다. 

 

베트남에 대한 케네디의 태도는 이중적이고 모호했다. 쿠바에 대한 그의 태도도 마찬가지였다. 케네디가 암살되기 2~3개월 전에 자기가 1964년에 재선이 되면 베트남에서 미군을 철수시키겠다고 백악관 참모들에게 말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케네디가 합참의장으로 임명한 맥스웰 테일러(Maxwell Taylor 1901~1987) 장군은 베트남에서 전쟁을 확대시키는 정책을 추구했다. 케네디 대통령은 남베트남에 미군 병력을 고문단이란 명분으로 증가시켰고 라오스에서도 비정규전을 확대시켰다. 케네디는 남베트남의 디엠 대통령을 밀어내는 쿠데타를 승인했다. 

 

하지만 케네디가 죽지 않았더라면 존슨 대통령처럼 대규모 정규군을 파병하는 방식으로 전쟁을 하지는 않고 비정규전 방식으로 전쟁을 끌고 갔을 것이라고 보는 견해가 많다. 케네디는 테일러 장군이 다른 장군들과 달리 지적(知的)이라고 생각해서 그를 합참의장으로 기용했다. 하지만 테일러 장군이야말로 미국을 베트남 전쟁의 수렁으로 끌고 들어간 장본인이라고 혹독하게 평가하는 학자도 있다. 케네디는 매리 메이어와 함께 침대에서 마리화나를 피우면서 베트남에서 철군하겠다고 말을 했다고 한다. 매리 메이어는 그런 대화를 지인들에게 흘렸고 그것이 도청으로 CIA에 흘러 들어갔을 것이라고 본다. 

 

케네디가 암살당한 배경은 베트남 전쟁과는 관련이 없다. 케네디는 쿠바 문제와 마피아를 잘못 다루어서 죽었다고 보는 것이 이제는 상식이다. 존슨 대통령은 로버트 맥나마라, 맥조지 번디, 월트 로스토 등 케네디의 안보팀을 그대로 유임시켰다. 맥나마라는 국방장관으로, 번디와 로스토우는 안보보좌관으로 베트남 전쟁을 확대시켰다. 흔히 ‘존슨의 전쟁’이라고 불리는 베트남 전쟁은 ‘케네디의 사람들이 일으킨 전쟁’이기도 하다.   <계속>

a8c5c83e8a45a329ca07e2675fb902a3_1684287
사진 (1) 맥스웰 테일러 합참의장, 로버트 맥나마라 국방장관, 그리고 케네디. 1963년. 

 

a8c5c83e8a45a329ca07e2675fb902a3_1684287
사진 (2) 케네디와 테드 소렌슨

 

a8c5c83e8a45a329ca07e2675fb902a3_1684287
사진 (3) 케네디와 케네스 오도넬

 

<ifsPOST>

 

2
  • 기사입력 2023년05월17일 11시00분
  • 최종수정 2023년07월08일 11시42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