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자치통감이 보여 주는 지도자‧충신‧간신의 귀감들 <87> 상원해의 수비 보다 장인원의 공격 정책 (AD708 권209)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5년03월28일 16시30분
  • 최종수정 2024년09월15일 17시54분

작성자

  • 신세돈
  • 숙명여자대학교 경제학부 명예교수

메타정보

  • 1

본문

장인원이 표문을 올려 연말까지 진병을 머물러 돕게 하였으나   仁愿表留岁满镇兵以助其功

함양 병사 이백여 명이 도망갔다.                                 咸阳兵二百馀人逃归,

장인원이 모두 잡아들여 성 아래에서 참수하자                   仁愿悉擒之,斩于城下,

군중이 떨었고 60일 만에 성을 완성하였다.                       军中股栗,六旬而成。

 

불운사를 가운데 성으로 하고                                       以拂云祠为中城,

동서 양 길 사이 거리가 4백 여 리였는데                       距东西两城各四百馀里,

모두 나루의 요충지였다.                                              皆据津要,

땅을 삼백여리 개척한 다음                                   拓(BROADEN)地三百馀里。

우두의 조나산 북쪽에 봉화대 8백여 곳을 설치하여     于牛头朝那山北,置烽候千八百所,

좌옥령위장군 논궁인을 삭방군 전봉 유혁사로 임명하고 

                                             以左玉钤卫将军论弓仁为朔方军前锋游弈使,

수자리 낙진수를 순찰포스트로 삼았다.                              戍诺真水为逻卫。

 

이로부터 돌궐은 감히 산을 타넘고 사냥목축을 범하지 못했다.     自是突厥不敢度山畋牧,

삭방은 오랑캐 침입을 걱정하지 않게 되자                              朔方无复寇掠,

진을 지키는 병력 수 만 명을 감축하였다.                               减镇兵数万人   

 

장인원이 세 성을 건축하였는데                                        仁愿建三城,

옹문와 수비도구를 마련하지 않았다.                              不置壅门及备守之具。

누가 그 이유를 묻자 장인원이 답하기를                              或问之,仁愿曰:

 

“전투는 나아가서 취하는 것을 소중이 여기지                             兵贵进取,

 물러서서 지키는 것을 이롭게 생각하지 않는다.                          不利退守。

 적이 처들어 오면 당연히 나가 싸울 것이므로                      寇至此,当并力出战,

 머리를 돌려 성을 바라보는 자는 응당 참수할 것이다             回首望城者,犹应斩之,

 어찌 수비를 생각하며                                                 安用守备,

 수치스런 마음을 만들게 할 것이냐                     生其退恧(육SHAMEFUL)之心也!”

 

그 후 상원해가 삭방군총영이 되어서                           其后常元楷为朔方军总管,

최초로 옹문을 지었는데                                                 始筑壅门。

이로부터 사람들은 장인원을 중하게 여기고 상원해를 가볍게 여겼다. 人以是重仁愿而轻元楷

 

<ifsPOST>

1
  • 기사입력 2025년03월28일 16시30분
  • 최종수정 2024년09월15일 17시54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