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고령층 가계부채 잔액 비중 변화와 시사점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4년04월27일 15시36분
  • 최종수정 2024년04월27일 13시39분

작성자

  • 박춘성
  •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메타정보

  • 1

본문

최근 10년간의 연령대별 가계부채 비중 변화를 살펴본 결과, 60세 이상 차주의 부채가 전체 가계부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5.7%에서 20.4%로 대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고령층의 부채는 자영업, 생계, 부동산자산 기반 경제 활동 등 위험 정도가 다른 다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었을 것이므로 상환 위험 여부를 쉽게 예단할 수는 없음. 다만, 우리나라의 빠른 고령화 속도를 고려할 때 고령층의 부채 비중이 계속해서 상승할 가능성이 클 뿐 아니라, 주택시장 및 거시경제 상황과도 밀접히 연관될 것이므로 관련 잠재적 위험을 평가하고 대응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 KCB의 차주 단위 표본을 이용하여 최근 10년간의 연령대별 가계부채 비중 변화를 살펴본 결과, 아래의 사실이 두드러짐

3745f0dada79fa06101669902516466c_1714192
■ 첫째, 동년출생집단(cohort)을 추적해 보면, 대체로 부채 비중이 중년까지는 증가하고, 그 이후에는 감소하는 생애주기 행태가 관측됨.

 

 - 동년출생집단(cohort)은 같은 해, 혹은 같은 기간에 태어난 그룹을 지칭함. 

 - 예를 들어, 2013년의 30~34세 그룹은 특정 5년 동안(1983~1987년)에 태어난 동년출생집단이며, 이 그룹은 5년 후인 2018년에 35~39세 그룹이 되고, 다시 5년 후인 2023년에는 40~44세 그룹이 됨.

 - 따라서, 2013년의 각 연령대를 최근 10년 동안 추적해 보면, 우리나라의 부채 평균잔액 및 비중 변화에 관한 생애주기 특성을 관측할 수 있음. 

 - 먼저, 2013년의 30~34세 그룹의 부채 비중은 2013년 7.9%, 2018년 12.9%, 2023년 15.3%로 증가했으며, 이는 경제활동 초기를 거쳐 중년이 되어감에 따라 부채를 활용하는 경제활동 비중이 커짐을 의미함.

 - 반면, 2013년의 45~49세 그룹의 부채 잔액은 2013년 16.6%에서 2023년 11.7%로 하락했는데, 이는 위와 반대로 중년을 거쳐 노년에 가까워짐에 따라 부채를 활용하는 경제활동 비중이 작아짐을 의미함.

 - 이러한 패턴은 우리 경제 규모가 커짐에 따라 전반적으로 평균잔액이 커지는 가운데, 30~40대에 주택구매 및 사업 등의 경제활동으로 대출이 확대되고 이후 상환해 가는 생애주기 특성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음.

 

■ 둘째, 인구구조의 급속한 고령화로 인하여 고령층의 부채가 전체 부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속해서 증가해 왔음.

 

 - 65세 이상 차주의 부채 비중은 2013년 8.9%에서 2023년 11.3%까지 꾸준히 증가해 왔으며, 차주의 평균잔액도 같은 기간 6천8백만 원에서 8천6백만 원으로 증가함.

 - 또한, 모든 해에 걸쳐 65세 이상 차주의 평균잔액이 60~64세, 혹은 50~59세 그룹의 평균잔액보다 약 10%가량 작을 뿐, 크게 차이 나지 않는데, 일례로, 2023년 65세 이상 그룹의 평균 잔액은 8천6백만 원이지만 60~64세 그룹의 평균잔액은 8천8백만 원으로 유사한 것으로 나타남.

 - 이러한 사실은 생애주기에 따라 노년에 가까워지면서 부채 비중이 감소하기는 하지만, 은퇴연령 이후 시기에도 가계부채가 충분히 상환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을 의미함.

 - 더욱이, 고령층 인구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이러한 차주가 누적되어 전체 부채에서 고령층의 부채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데, 60세 이상 차주의 총잔액 비중은 2013년 15.7%에서 2023년 20.4%로 대폭 증가함.

  * 60세 이상 인구비중은 주민등록기준 2013년 19.8%, 2018년 25.4%, 2023년 33.1%임.

 

■ 이상의 논의는 고령층의 가계부채에 대해 잠재적 위험을 평가하고 관리 방안을 고민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함

 

 - 고령층의 부채는 자영업, 생계, 자산 기반 경제 활동 등 위험 정도가 다른 다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었을 것이므로 상환 위험 여부를 섣불리 예단할 수는 없음.

 - 다만, 60세 이후에는 은퇴 시기와 맞물려 소득 불확실성이 매우 높다는 점과 해당 연령층의 부채 비중이 지속 증가해 온 상황에 주의할 필요가 있음. 

 - 또한, 우리나라의 빠른 고령화 속도를 고려할 때 고령층의 부채 비중이 계속해서 상승할 가능성이 클 뿐 아니라, 고령층의 인구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주택시장 및 거시경제 상황과도 밀접히 연관될 것이므로 관련 잠재적 위험을 평가하고 대응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KIF>

 

<ifsPOST>

 ※ 이 자료는 한국금융연구원(KIF)이 발간한 [금융브리프 33권 08호](2024.4.26.) ‘포커스’에 실린 것으로 연구원의 동의를 얻어 게재합니다. <편집자>​​

 

 

1
  • 기사입력 2024년04월27일 15시36분
  • 최종수정 2024년04월27일 13시39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