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인간의 위대한 속임수, 식품 첨가물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14년07월11일 21시28분
  • 최종수정 2016년02월29일 16시08분

작성자

  • 류영창
  • 대한건설진흥회 사무총장, 건설진흥공단 대표이사

메타정보

  • 31

본문

식품 첨가물

□ 자기 가족은 못 먹게 하는 식품 양산(量産)되고 있다.

식품 첨가물계에서 름을 날리던 일본의 아베 쓰카사(安部 司)씨는 딸에게 자기가 만든 미트볼을 먹지 못하게 만류하다가 문득 깨닫고 ‘첨가물 반대 전도사’ 로 변신해, 각종 강연을 통해 첨가물의 유해성에 대한 경각심을 높고 있다. 그는 「인간 만든 위대한 속임수 -식품첨가물-」라는 책을 통해 식품 첨가물 얼마나 우리 생활에 만연되어 있고, 부지불식간에 우리 생활에 보편적으로 침투해 있는지를 상세히 설명한다.

첨가물은 화학적으로 합성된 것므로, 인체 내에서 분해가 잘 안되고, 때로는 독성물질로 작용하며, 입맛을 왜곡시키는 등 부작용 있어, 제품에 표기를 의무화했으며, 사용량을 제한한다. 그러나, 복합적으로 섭취하였을 때의 상호 부작용에 대한 실험은 실시되고 있지 않아 소비자들은 주의해야 한다.

요즈음, 염분 섭취를 줄자는 운동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바, 는 Na 온 섭취를 줄자는 것인데, 시판 식품에는 「xxx 나트륨」 형태의 첨가물 많다. 러한 유로 가공식품나 외식 섭취를 줄지 않으면, 싱겁게 식사를 하여도 나트륨 섭취를 줄일 수 없다.

   

□ 편의점 식품을 즐겨먹는 사람은 60종정도의 첨가물(화학물질)을 먹게 된다.

   

하루 섭취하는 첨가물의 종류를 설명하기 위해, 식사를 거의 편의점나 슈퍼에서 사서 해결하는 미혼의 샐러리맨 L 씨의 하루를 살펴보자.

■ 아침 식사 - 햄샌드위치

햄을 넣어 만든 샌드위치다. 뒤쪽의 라벨을 보면 첨가물 13가지가 기재되어 있다.

- 유화제, 산화방지제, 화학조미료, pH 조정제, 인산나트륨, 카제인 나트륨, 증점제, 발색제(아질산나트륨), 착색료(카로틴, 코치닐색소), 향료

* 것을 분석해 보면, 유화제, 조미료 등은 일괄표시 대상므로, 한 품목에 보통 2~3 가지 물질 들어가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L 씨는 아침에만 줄잡아 20가지가 넘는 첨가물을 먹었다.

■ 점심 식사 - 도시락(식품점 판매)과 인스턴트 커피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돼지고기 도시락’을 사다 먹었다. 첨가물을 사용했으리란 생각은 그다지 들지 않는 도시락다. 그러나, 뒷부분의 라벨을 보면 첨가물 름으로 빼곡히 채워져 있다.

- 화학조미료, pH조정제, 카로티노드, 향료, 산미료, 솔비트, 산화방지제 등

* 가운데, pH조정제와 향료는 일괄표시 품목다. 따라서 첨가물 20종 넘는다.

점심 식사 후에는 인스턴트 커피를 마신다. 여기에 들어있는 크림파우더에 몇 가지의 첨가물 눈에 들어온다.

- 유화제, 점증제, pH조정제, 캐러멜색소, 향료

* 가운데 유화제와 향료는 역시 일괄표시 품목므로, 줄잡아도 6~8종의 첨가물 들어 있음을 알 수 있다.

■ 저녁 식사 - 컵라면, 삼각 김밥, 참치 샐러드

늦게 까지 일하다 퇴근하니, 주변 식당도 문을 닫은 시간니 만만한 곳 편의점다.

컵라면의 첨가물은

- 화학조미료, 유화제, 산미료, 치자색소, 산화방지제, 비타민 B₁, 비타민 B₂, 견수(梘水), pH조정제 등

삼각 김밥의 첨가물은

- 화학조미료, 글리신, 카라멜색소, 증점제, 솔비트, 감초, 스테비아 등

참치 샐러드의 첨가물은

- 유화제, 증점제, 카로티노드, pH조정제, 화학조미 등

컵라면에는 20가지 상의 첨가물, 삼각 김밥에는 10가지 상의 첨가물 들어 있다. 또한, 참치 샐러드의 참치에 화학조미료와 pH조정제 등 5~6종의 물질 세트로 사용되었고, 샐러드의 야채는 신선해 보지만, 살균제통에서 몇 번씩 소독을 거친 포장 야채로 만든 것다.

결국 L 씨는 중복되는 물질을 빼더라도 하루 약 60종의 첨가물을 먹은 것다.

   

□ 가정식 음식에도 부지불식간에 많은 첨가물 사용 된다.

   

번에는 일반 주부 K 씨의 식생활을 살펴보자.

■ 아침 식사 - 밥, 된장국, 생선구, 명란젓, 어묵, 단무지

된장국에 사용된 된장은 된장 맛 조미료로 치장된 시중의 모조 된장다. 당연히 여기에는 화학조미료가 들어있다. K 씨가 된장을 애용하는 유는 국을 끓일 때 별도로 양념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다.

된장국의 첨가물은

- 화학조미료, 착색료(치자), 알코올

명란젓의 첨가물은

- 화학조미료, 솔비트, 단백가수분해물, 아미노산액, pH조정제, 폴리인산나트륨, 감초, 스테비아, 효소 등

어묵의 첨가물은

- 화학조미료, 인산나트륨, 단백가수분해물, 탄산칼슘, 소르빈산칼륨, pH조정제, 글리신, 적색3호, 코치닐 색소 등

단무지의 첨가물은

- 화학조미료, 에리소르빈산나트륨, 폴리인산나트륨, 산미료, 소르빈산칼륨, 황색4호, 황색5호 등

■ 점심 식사 - 김말 초밥

쇼핑하러 나간 K 씨는 백화점 지하 식품코너에서 점심을 해결할 요량으로 김말 초밥을 샀다. 김말 초밥란 계란부침, 생선알, 오, 단무지, 박고지, 어묵 등을 넣어 굵게 만 김밥으로 들어간 것 많은 만큼 가격도 비싸고, 초밥 가운데서도 고급으로 꼽힌다. 고급 초밥라도 화학조미료, 산미료 등의 일괄 표시 첨가물 포함되어 있으므로 30 가지가 넘는 첨가물 들어 있다.

- 화학조미료, 소르빈산칼륨, 스테비아, 감초, 산미료, 유화제, 글리신, pH 조정제, 산화방지제, 소포제, 응고제, 고추냉추출물, 증점제, 적색3호, 적색106호, 코치닐색소, 홍국색소, 치자색소 등

■ 저녁 식사 - 카레라스, 샐러드

카레라스는 돼지고기, 당근, 양파 등을 넣고, 시중에서 팔고 있는 카레를 풀어 맛을 내고, 샐러드는 양상추, 토마토, 브로콜리 등의 야채에 드레싱을 한 것다. 드레싱은 식품점에서 구입했다.

카레에 들어 있는 첨가물은

- 화학조미료, 유화제, 산미료, 산화방지제, 카라멜 색소, 파프리카색소

향료 드레싱에 들어있는 첨가물은

- 화학조미료, 산미료, 유화제, 증점제, 스테비아, pH조정제, 향료

주부 K 씨는 하루 적어도 60~70 종의 첨가물을 섭취했다. 편의점 음식을 주로 먹는 L 씨와 거의 같거나 아니면 더 많은 첨가물을 섭취하는 수준다. 따라서, 아무리 부엌에서 음식을 만들어 먹는다 해도 가공식품을 용하는 한 첨가물은 피할 수 없다.     

31
  • 기사입력 2014년07월11일 21시28분
  • 최종수정 2016년02월29일 16시08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