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배당금이 늘면 주가 상승과 소비 증가?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14년07월09일 17시35분
  • 최종수정 2016년02월29일 16시08분

작성자

  • 김영익
  • 서강대학교 경제대학원 교수

메타정보

  • 29

본문

배당금이 늘면 주가 상승과 소비 증가?
올해 들어 미국 주가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해 가능 등 세계 주가가 오름세를 지속하고 있는데, 우리 주식시장은 답답한 ‘게걸음 장세’를 어가고 있다. 여기에는 여러 가지 유가 있을 것다. 그 중 하나가 한국 주식시장에서 배당수익률 낮아 주가가 오르지 못한다는 견해가 있다. 배당금 증가하면 주가는 한 단계 도약하고, 는 소비를 증가시켜 경제성장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것 필자의 생각다. 주요 우량 기업의 대주주가 돼가고 있는 국민연금 적극적인 역할을 할 때다.
 □ 배당금 늘면 주가 한 단계 도약 가능
    우선 주가와 배당금의 관계를 보면 <그림 1>과 같다. 한국 주식시장(KOSPI)에서 주당 배당금과 주가지수는 동행했다. 1987년과 2004년에 배당금 한 단계씩 도약했고, 주가도 무렵에 한 계단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최근 상황을 보면 주당 배당금은 2008년 512원을 정점으로 줄어들었다. 특히 2013년 주당 배당금은 384원으로 2012년(429원)에 비해 10.4%나 감소했다. 에 따라 주가도 2009년 후 추세적 상승보다는 일정 범위 내에서 변동하고 있다.
    주가지수와 배당금 사에는 같은 기간의 상관계수가 0.81로 매우 높았다. 즉, 주가가 오른 해에 배당금도 많았던 것다. 그러나 시차관계를 구해보면 1년 전의 주가지수와 당해년도의 배당금 사의 상관계수가 0.89로 가장 높다. 지난 해 주가가 올랐으면 올해 기업들 더 많은 배당금을 주었던 것다. 는 상식과 일치한다. 기업들 일정한 배당수익률을 가정하고 배당에 대한 의사결정을 한다면 지난해 주가가 오른 비율로 배당금을 더 주어야 하기 때문다. 
    러한 관계를 더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인과관계 테스트를 해보았는데, 에 따르면 양방향으로 인과관계가 성립했다.(아래 표 참조) 즉, 주가가 올라서 배당금 늘었고, 또 배당금 증가해서 주가가 상승한 것다. 한편 2000~13년의 통계를 대상으로 회귀분석해보면 배당금 1% 늘었을 때, 주가지수는 1.09% 상승했다. 주당 배당금 500원대로 오르면 주가지수가 2800을 넘어 3000 시대도 기대해볼 수 있다는 의미다.
 
□ 배당에 인색한 한국 기업
   문제는 기업들 배당금을 더 줄 수 있는가에 달려 있을 것다. 지금까지는 한국기업들 주주에게 너무 인색했다. 2013년 한국 주식시장에서 배당수익률은 1.1%(KOSPI, MSCI 기준)였다. 유럽 3.3%, 대만 3.0%에 비해 턱없 낮을 뿐만 아니라 세계 평균인 2.5%의 절반에 르지도 못했다. 한국 주식시장에서 배당수익률 낮은 것은 지난 한 해의 문제가 아니다. 과거 11년 동안의 선진국과 신흥시장의 배당수익률 추를 보면, 한국 2004년을 제외하고는 추세적으로 낮았다. 2003~2013년에 세계 평균 2.7%였는데, 한국은 1.6%에 지나지 않았다.
    왜 한국의 배당수익률 처럼 낮은가? 배당수익률란 배당금을 주식의 당시 가격으로 나눈 것다. 따라서 배당수익률 낮다는 것은 배당금 작았거나 주가 수준 높다는 것, 둘 중의 하나다. 한국의 경우 주가수익비율(PER) 9배 안팎에서 변동한 것을 보면 결코 주가 수준 높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기업들 배당금을 덜 주었다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 
    한국 기업들 다른 나라 기업에 비해 배당금을 덜 주고 있는 유는 다음 다섯 가지 정도로 요약해볼 수 있다. 첫째, 한국 경제가 고성장을 하는 가운데 기업은 투자 재원을 확보하기 위해서 충분한 내부 유보가 필요했다. 둘째, 대주주가 배당금 형태로 지나치게 많은 돈을 가져간다는 사회적 분위기가 지배적었다. 셋째, 한국 경제에서 전자 및 정보통신(IT)관련 기업 차지하는 비중 높다. 들 기업은 빠른 기술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면 시장에서 퇴출당할 수도 있기 때문에 어쩔 수 없 내부 유보를 높게 유지해야 한다는 것다. 넷째, 조세제도의 비대칭성다.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양도차익에 대해서는 세금을 내지 않으나 배당금을 받을 때는 세금을 내야 한다. 넷째, 외국인들 한국 주식을 30% 정도 보유하고 있는데, 기업 배당금을 많 주면 외국인 배만 채워준다는 인식도 사회 저변에 깔려 있다. 
 
□  경제 주변 환경은 높은 배당금 요구
    그러나 한국의 경제환경 변화를 고려하면 낮은 배당금에 합당했던 유는 제 타당성을 잃어가고 있다. 한국 경제의 잠재성장률 3% 안팎으로 떨어졌고, 기업의 투자 기회도 그만큼 줄어들고 있다. 2013년 말 현재 한국 기업들 504조원에 르는 현금성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데, 돈들 은행에서 잠자고 있기에는 그 기회비용 너무 크다. 기업 투자해서 고용을 창출하던지 아니면 가계로 소득 재분배되어야 한다. 1997년과 2008년 경제위기를 겪는 과정에서 국민총소득(GNI) 중 기업 몫은 증가했으나 개인 몫은 상대적으로 줄었다. 예를 들면 1990~97년에 국민총소득 중 72%(연평균)를 개인 가져갔으나, 2008년부터는 연평균 63%로 줄었다. 반면에 기업 몫은 같은 기간 15%에서 23%로 늘었다. 기간 동안 기업 상대적으로 부자가 되고 가계는 가난해진 것다.
    주식투자에서 배당투자에 수요도 늘고 있다. 한국 경제의 잠재성장률 3% 안팎으로 떨어지고 디플레션 압력 존재하는 만큼 저금리 시대는 장기적으로 더 지속될 가능성 높다. 그래서 배당투자에 대한 욕구는 갈수록 증가할 것다.
    기업 배당금을 늘리면 외국인만 배부르게 해준다는 생각도 바뀔 필요가 있다. 한국은 2013년에 799억 달러에 르는 경상수지 흑자를 냈다. 올해 후에도 그 규모는 줄어들겠지만 대폭의 경상수지 흑자 상태가 지속될 가능성 높다. 경상수지 흑자자 난 만큼 금융계정을 통해 그 돈들 해외로 다시 나간다. 일부는 해외 주식에 투자될 것다. 한국도 배당금 높은 나라에 투자해서 돈을 벌어들일 수 있다.
 
□ 배당금 증가는 소비 증가 초래
    배당금 늘어 주가가 오르면 소비가 늘고 경제성장률 올라갈 수 있다. 단순화해서 직접적인 소비 증가 효과를 추산해보자. 2013년에 배당금 13조 5200억 원었다. 중 4조원 정도가 외국인에게 나머지 9조 5000억 원 대주주를 포함한 국내 투자자에게 지급되었을 것다. 배당세를 제외하면 가계의 가처분 소득 약 8조원 는 셈다. 한국의 평균 소비성향 73%를 고려하면 6조원 정도는 소비되고, 그렇게 되면 소비가 0.8%, 경제성장률 0.4% 정도 올라갈 수 있는 것다. 한편 주가가 오르면 주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부가 늘어 소비지출도 증가할 것다. 주가가 오를 때 경제 전체적으로 소비심리도 개선된다. 
    처럼 배당금 증가는 소비를 중심으로 내수 회복에 상당 부문 기여할 수 있다. 문제는 기업 스스로 배당금을 크게 늘릴 것 같지는 않다. 국민연금 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다. 국민연금은 2013년에 미 상장주식을 7.1%(시가총액 기준)나 가지고 있다. 비중은 계속 늘어 2018년에는 9%에서 13%까지 증가할 수 있다. 국민연금 우리나라 주식시장에 상장된 대부분의 우량 기업 대주주가 되는 것다. 한국 주식시장뿐만 아니라 경제 전반에 걸쳐 국민연금의 역할 갈수록 더 커지고 있다.
 
<그림 1> 주당 배당금과 주가지수 추: 배당금 감소, 주가 조정

f88a182aafc2d0b81e52ccde696763d1_1456482 

 

       자료: KRX

 

<그림 2> 2013년 주요국의 배당수익률 비교: 한국 최하위

f88a182aafc2d0b81e52ccde696763d1_1456482
자료: 블룸버그

 

<표> 주가지수와 배당금의 관계: 양방향으로 인과관계

f88a182aafc2d0b81e52ccde696763d1_1456482
주: 시차는 2를 사용하였음

 

29
  • 기사입력 2014년07월09일 17시35분
  • 최종수정 2016년02월29일 16시08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