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새경제팀, 한국경제의 사막화를 주목하라.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14년07월08일 01시54분
  • 최종수정 2016년02월29일 16시18분

작성자

메타정보

  • 36

본문

한국경제의 사막화를 우려 한다

 

  비가 오래 오지 않으면 대지와 강이 말라 가고, 대지의 건조화가 장기화하면 사막화가 행된다. 최근 경제전망기관들은 금년 성장률을 하향 수정하여 발표하고 있다. 그러나 정작 주목해야 할 일은 4% 성장률 달성 여부가 아니라 국민들의 경제생활과 기업 활동 환경이 구조적으로 악화되어 가는, 자연으로 말하자면 ‘사막화’가능성이 높아져 가고 있다는 점이다.

  ​

  자연의 비가 대지를 적시고 강으로 흘러드는 구조와 같이, 기업의 수익은 경제순환 구조에 흘러드는 새로운 유입으로 이에 기초하여 투자도 하고 일자리도 만들어다. 국민소득계정에서 2013년 설비투자 규모는 2011년 대비 3.3% 감소했다. 한편 상장기업의 2013년 투자규모는 2011년 대비 11% 감소했다.

  ​

  그러면 왜 기업들은 이렇게 투자를 줄이고 있는가? 가장 중요한 이유는 기존 사업의 수익성 악화라고 본다. 상장기업들의 매출액영업이익률은 2000년대 들어 가장 낮은 수준에 있으며, 상장기업 중 적자기업의 비중은 27%에 달하고 있다. 한편 매출액기준 500대의 당기순이익 규모는 2013년 전년대비 12% 감소했으며, 이중 5대그룹을 제외할 경우는 무려 49% 감소했다고 한다.

 

  한마디로 우리 기업들은 ‘수익성 위기’에 직면해 있다. 기업들이 이미 경쟁력과 시장을 확보하고 있는 기존 사업에서도 이익이 계속 줄어들고 있는 데 사업규모를 확대하거나 전망이 불투명한 신규 사업에 투자하기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더욱이나 일부 대기업군은 이미 ‘경제 사막화’의 희생자로 전락하고 있다.

  ​

  가계의 형편은 어떠한가? 금년 1분기 상용근로자 1인당 실질임금 증가율은 작년 동기 대비 1.8% 증가에 그쳐 2011년 4분기 이래 가장 낮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수출 증가는 우리 경제가 어려움에 빠졌을 때마다 든든한 젖줄이 되어 줬다. 그러나 원화로 평가된 수출증가율은 2008년 35%에서 2011년 18.8%, 2013년에는 –0.8%로 격감했다. 따라서 이제는 원화 절상으로 인하여 수출조차도 목말라 가는 한국경제의 젖줄이 되지 못한다.

  ​

  지난 3년간 취업자 수는 138만 명이 증가하였다. 연령 별로 보면 20대와 30대 취업자 수는 14만3천명이 감소한 반면에 50대와 60대의 취업자 수는 무려 142만5천명이 증가하였다. 증가한 취업자 수의 26.5%를 차지하는 보건사회복지 분야는 67.7%가 월 소득 2백만 원 이하이며, 취업자 증가수의 15.4%를 차지하는 숙박음식업의 경우 월 200만 원 이하 근로자의 비중은 무려 85%를 차지하고 있다. 즉 취업자는 증가하여도 소비 증가 효과는 미약한 구조로 변화하고 있다.

  ​

  금융측면은 어떤가? 한국은행 발표에 따르면, 지난 5월중 은행권 신규취급 저축성 수신금리는 연 2.59%로 관련통계가 나오기 시작한 1996년 이래 최저수준이라고 한다. 금년 4월 증권시장의 일평균거래대금규모와 시가총액회전율은 2011년 수준의 거의 절반으로 떨어졌다. 그야말로 주식시장의 물이 절반으로 줄어든 것과 같다.

 ​

  이런 사정을 감안해 종합적으로 판단해보면 가장 주목해야할 사실은 수요 부족에 메말라 가는 한국경제의 문제가 경기순환적 일시적인 문제가 아니라 고령화와 잠재성장률 둔화 등 구조적인 원인에 근거하고 있다는 점이다.

  ​

  대지의 사막화 행을 막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새로운 수원지를 찾아내고 도랑을 깊이 파서 새로운 물이 흘러 들어오게 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구조적인 총수요 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다 근본적이고 장기적인 구조개혁 비전이 필요하고, 그 비전을 국민들에게 설득하여 구조개혁에 수반되는 고통을 분담하게 해야 한다.

  ​

  2003년 당시 독일 쉬레더 (Schröder) 수상이 내걸었던 ‘Agenda 2010’이 쓰러져 가는 독일 경제를 구했듯이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이 ‘사막화’돼가는 한국 경제를 구할 수 있을까? 경제를 살린다는 대의를 내세워 집권했던 MB정부는 2008년 세계금융위기에 대응하는 등 수선을 떨었지만 과연 무엇을 남겼는가? 또 2017년 현 정부가 임기를 마칠 때는 과연 무엇을 남길 것인가? 2016년 한국 경제는 경제활동인구 최고점이라는 역사적 전환점을 지나게 된다. 고령화와 저성장 경제의 도래에 대하여 우리 경제는 이렇다 할 만한 대책 없이 이미 그럭저럭 10여년 세월을 보냈다.

  ​

  현 정부는 경제활동인구 최고점이라는 역사적 전환점을 지나는 정부라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것은 현 정부가 고령화와 저성장 사회의 도래가 본격화하기 직전에 대응력을 준비할 수 있는 마지막 정부라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과연 경제혁신 3개년 계획으로 이 역사적 과제에 부응할 수 있을 것인가? 부디 현 정부의 남은 3년 반의 시간이 또 다른 허송세월이 되지 않기를 간절히 바란다. 

 

36
  • 기사입력 2014년07월08일 01시54분
  • 최종수정 2016년02월29일 16시18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