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엔 약세와 한국 경제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14년09월28일 22시40분
  • 최종수정 2016년02월29일 14시10분

작성자

  • 김영익
  • 서강대학교 경제대학원 교수

메타정보

  • 26

본문

엔 약세와 한국 경제

최근 미 달러 대비 엔화환율이 109엔까지 상승하면서 2008년 8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미국과 일본의 경제 여건을 고려하면 엔화 가치는 더 하락하고, 이는 한국 경제와 금융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줄 전망이다.

 

일본경제, 아직도 디플레이션 탈피 못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미국에서 시작되었지만, 미국보다는 일본 경제가 더 큰 타격을 받았고 회복속도도 느리다. 금융위기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인 2008년 2분기 국내총생산(GDP)을 100이라 했을 때, 2009년 2분기 미국 GDP는 95.9로 4.1% 감소했다. 그러나 일본 GDP는 같은 기간 동안 무려 8.1%나 줄었다. 이뿐만 아니라 일본 경제의 회복속도도 지지부진한다. 2014년 2분기 현재 미국 GDP가 경제위기 직전(2008년 2분기)보다 6.9% 증가했으나, 일본 GDP는 0.3% 증가한 데 그쳤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일본 경제가 제 자리에서 한 걸음도 나가지 못한 것이다. 특히 일본 경제는 지난 2분기 연율로 마이너스(-) 7.1% 성장했다. ‘아베노믹스’라는 이름 하에 일본 정부가 과감한 경기부정책으로 대응하고 있지만, 1990년대부터 시작된 디플레이션에서 아직도 탈피하지 못한 셈이다.

 

본원통화 급격한 증가, 엔 약세 초래 

일본 정부는 20여 년 이상 지속된 디플레이션에서 탈피하기 위해서 적극적 통화정책으로 대응하고 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에 이를 때까지 통화를 무한정 공급하겠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원통화가 2013년 한 해 동안 무려 46.6%나 증가했다. (한국의 본원통화가 13.7% 증가한 데 그친 것과 비교된다.) 올해 들어서도 8월까지 일본의 본원통화는 지난해 말보다 25.3% 늘었다. 

 

일본의 통화공급 증가가 엔화 가치를 하락시키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아래 <그림 2>는 일본과 미국의 상대적인 본원통화공급 추이를 보여주고 있다. 2008년까지는 미국이 일본보다 더 빠르게 통화공급을 늘렸다. 2008년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미국은 연방기금금리를 5.25%에서 거의 0%까지 인하했고, 적 완화를 통해 대규모로 돈을 풀었다. 이에 따라 110~120엔이었던 엔 달러 환율이 2011년 하반기에는 76엔까지 하락했다.

 

그러나 그 이후로는 일본이 미국보다 더 적극적으로 적 완화를 단행하고 있다. 미국의 본원통화가 2013년에 38.7%, 2014년(8월까지)에 11.2% 증가했으나, 일본의 본원통화는 각각 46.6%, 25.3%나 늘었다. 일본의 통화가 급증하면서 2012년 이후로는 엔화 가치를 하락시키는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실제로 상관관계를 분석해보면 같은 달의 일/미 본원통화 비율과 엔/달러 환율 사이에는 상관계수가 0.83으로 매우 높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는 오는 10월에 적 완화를 종료하고, 그 다음에는 만기가 도래하는 채권의 재 매수를 중단하고 적 완화 때 사두었던 채권을 팔 것이다. 나아가서는 늦어도 내년 하반기에는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일본 중앙은행은 계속 돈을 풀 수밖에 없다. 올해 들어 7월까지 소비자물가가 2.7% 상승했지만 일본 경제가 지난 2분기 마이너스 7.1% 성장한 것처럼 침체에서 탈피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앞으로도 일본의 본원통화가 미국보다 더 빠른 속도로 증가하면서 엔화 가치를 더 하락시킬 가능성이 높다.

 

미일 실질금리 차이 확대도 엔 약세 요인

한편 미국과 일본의 실질금리 차이 확대도 엔 약세 요인이 되고 있다. 여기서 실질금리는 국채(10년) 수익률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뺀 것으로 사용했는데, 2012년 이후 미일 실질금리 차이가 계속 확대되고 있다. 2014년 7월 미일 실질금리 차이가 3.57%로 2000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당분간 미일 실질금리 차이가 축소될 가능성은 낮다. 일본은 경기를 부하기 위해서 통화공 급을 늘릴 것이고 미국은 적 완화 종료에 이어 금리 인상을 모색할 것이기 때문이다. 

 

미일 간의 통화정책 차이뿐만 아니라 경상수지 측면에서도 엔화 가치가 더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 최근 일본의 경상수지가 12개월 누적 기준으로 1조엔 정도 적자로 돌아섰다. 이와는 달리 미국 경상수지 적자는 대폭 축소되고 있다.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가 2005년 4분기에는 명목 GDP대비 6.3%였으나, 올해 2분기에는 2.3%로 줄었다. 세일 가스 생산으로 미국의 에너지 수입이 감소한 것이 경상수지 적자를 줄이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미국의 원유 수입액이 2006년에는 일간 1,400만 배럴이 넘었으나 최근에는 900만 배럴 정도로 떨어졌다.) 이와 더불어 유로지역 경제의 부진과 통화 공급 확대에 따른 달러 강세도 상대적으로 엔 가치를 하락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엔/달러 환율 120엔대 갈 수도

앞서 엔화 가치 하락 요인을 여러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일본과 미국의 통화정책 차이이다. 일본은 적 완화를 더 해야 하고 미국은 적 완화를 마무리하고 금리를 인상해야 하는 단계이다. 이에 따라 일본의 본원통화가 미국보다 더 빠르게 증가하고 엔/달러 환율은 더 오를 것이다. 1990년 이후 엔/달러 환율의 평균이 110엔 정도였는데, 조만간 이를 돌파할 전망이다. 일본의 적극적 통화정책으로 120엔에 이를 가능성도 높다. 엔 약세를 기대하는 엔 캐리 트레이드 확대는 그 시기를 앞당길 수 있다. 

 

추세적으로도 엔/달러 환율이 상승하고 있다. 하나의 통계기법(호드릭-프레스콧 필터)을 이용하여 엔/달러 환율의 장기 추세를 구하고 현재 환율이 이 추세에서 얼마나 벗어났는가를 보았다. 2012년부터 엔/달러 환율이 상승 추세로 전환되었으며, 2014년 9월 현재 추세치는 107엔 정도이다. 9월 24일 환율이 109.04엔으로 추세 선에서 1.8% 정도 벗어났다. 엔/달러 환율이 추세 선에서 상하 5% 이상 벗어난 경우가 많았는데, 이로 미뤄보면 단기적으로도 엔/달러 환율은 더 상승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물론 거품 영역에 접어든 미국 주가가 급락할 경우에는 미국의 금리 인상 시기가 늦어지면서 엔화 가치가 상승할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이는 어디까지 단기적 현상이고, 엔화 가치 하락은 앞으로도 몇 년간 더 지속될 추세로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한국은행, 적극적 통화정책으로 대응해야

2011년 10월 100엔당 1508원(월 평균)이었던 원/엔 환율이 2014년 8월에는 996원으로 급락했다.(9월에는 23일까지 965원으로 하락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이런 추세가 지속된다면 2015년에는 800원대에 접근할 가능성이 높다. 한국 경제가 소비 등 내수 부진으로 구조적으로 저성장 국면으로 가고 있는데, 엔화 가치 하락으로 수출마저 위축된다면 경제 성장률은 더 떨어질 것이다. 

 

한국의 자동차와 전기전자 등 대부분의 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일본과 경쟁하고 있다. 원화에 비해 엔화의 상대 가치 하락은 한국의 수출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1990년부터 최근까지 통계를 이용해서 분석해보면 원/엔 환율이 1% 하락했을 때(다른 조건은 일정하다고 가정), 한국의 수출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1.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원/엔 환율은 한국의 주식시장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다. 원/엔 환율이 1% 하락했을 때, 주가지수(KOSPI)는 장기적으로 0.6% 떨어졌다. 업종별로는 화학(-1.6%), 운수장비(-1.5%) 업종이 엔화 가치 하락에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 반면에 비금속광물, 통신, 종이목재, 전기가스 업종 등의 주가는 원/엔 환율이 하락할 때 오히려 상승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원화가 엔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세로 가는 것이 추세이지만, 그 속도는 조절할 필요가 있다. 한국은행이 그 일을 할 수 있다. 일본만큼 적극적으로 통화 공급을 늘리지 않더라도 어느 정도는 보조를 같이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갈수록 재정적자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재정으로 경기를 부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규제 완화 효과는 서서히 나타난다. 통화정책만이 단기적으로 현재의 글로벌 경제상황 하에서 대응할 수 있는 수단이다. 

 

16905673k6.jpg
 d5ya456235.jpg 

26
  • 기사입력 2014년09월28일 22시40분
  • 최종수정 2016년02월29일 14시10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