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국채지수 편입과 자본유입-신용팽창 파급경로 점검 본문듣기
작성시간
관련링크
본문
우리나라는 내년 11월부터 1년에 걸쳐 세계국채지수에 편입될 예정이며, 편입 과정에서 상당 규모의 외국인 채권투자자금이 유입될 것으로 예상됨. 외국인 채권투자자금의 대규모 유입은 국내 금융기관의 대차대조표 강화 및 용이한 자금조달 여건 조성을 통해 국내신용 공급 여력이 확대되는 효과를 초래할 수 있음. 이에 따라, 향후 가계부채 관리 및 금융안정성 제고를 위해서는 신중한 통화정책과 더불어 자본유입-신용팽창 파급경로를 감안한 거시건전성 정책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음
■ 우리나라는 내년부터 세계국채지수(World Government Bond Index; WGBI)에 편입될 예정이며, 구체적인 편입 절차는 2025년 11월부터 1년에 걸쳐 점진적으로 진행될 예정임.
- 세계국채지수는 26개 주요국 국채를 편입자산으로 하는 FTSE Russell의 선진국채지수이며, 편입 요건은 정량적 기준(시장규모 및 신용등급)과 정성적 기준(시장접근성)으로 구성됨.
- 우리나라는 2022년 9월에 처음 관찰대상국으로 지정된 이후 과세제도, 외국인 투자자 등록제도, 국채통합계좌 및 외환시장 제도 개편을 통해 시장접근성을 제고시키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왔음.
- 그 결과, FTSE Russell은 2024년 10월에 우리나라의 세계국채지수 편입을 최종 확정하였음.
■ 세계국채지수 편입 과정에서 500~600억 달러 규모의 외국인 채권투자자금이 우리나라에 유입될 것으로 추정됨.
- 현 시점에서 예상되는 우리나라의 편입 비중은 2.22% 수준이며, 이는 세계국채지수에 편입된 전체 국가들 중에서 9번째로 큰 규모에 해당됨.
- 세계국채지수를 추종하는 전 세계 자금 규모는 2.5조 달러 내외로 시장에서는 추정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편입 과정에서는 500~600억 달러에 달하는 외국인 채권투자자금이 유입될 것으로 추정됨
■ 외국인 채권투자자금이 상당 규모로 유입될 경우, 국내 금융기관의 대차대조표 강화 및 용이한 자금조달 여건 조성을 통해 국내신용 공급 여력이 확대되는 효과가 초래될 수 있음.
- 외국인 채권 수요 확대에 따른 시장금리 하락은 국내 금융기관이 자금을 조달하기에 용이한 여건을 조성함으로써 국내신용 공급 여력을 확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
- 이와 더불어 외생적 수요 확대에 따른 자산가치 상승은 국내 금융기관의 대차대조표 강화를 통해 국내신용 공급 여력 확대를 초래할 수 있음.
- OECD 연구진이 주요국 자본유입 사례로부터 추정한 국내신용에 대한 충격반응함수에 의하면, 대규모 자본유입 이후 약 2년 동안 GDP 대비 국내신용 규모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됨.1)
■ 향후 가계부채 관리 및 금융안정성 제고를 위해서는 신중한 통화정책과 더불어 자본유입-신용팽창 파급경로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음.
- 외국인 투자자 수요가 외생적으로 확대되는 과정에서 자산가격 상승 및 자금조달 여건 변동이 신용공급 여력 강화로 이어질 가능성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됨.
- 2000년 이후 주요 신흥국 자본유입 사례를 분석한 최근 연구 결과에 의하면, 거시건전성 정책은 자본유입의 신용팽창 유발 효과를 완화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됨.2)
- 아울러 WGBI 편입 절차가 진행되는 기간에는 외국인 투자자금의 유입에 따라 환율 변동성이확대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스무딩 오퍼레이션 과정에서의 통화변동이 국내신용이나 물가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유의할 필요가 있음. <KIF>
--------------------------------------------------------------
1) Furceri, D., S. Guichard, and E. Rusticelli (2012), “The Effect of Episodes of Large Capital Inflows on Domestic Credit”, The North American Journal of Economics and Finance, 23(3), p.325-344
2) Carvalho, D., E. Lepers, and R. Mercado (2024), “Taming the ‘Capital Flows-Credit Nexus’: A Sectoral Approach”, Open Economies Review.
<ifsPOST>
※ 이 자료는 한국금융연구원(KIF)이 발간한 [금융브리프 33권 특별호(23호)] (2024.11.22.) ‘금융포커스’에 실린 것으로 연구원의 동의를 얻어 게재합니다. <편집자>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