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러시아의 교역 결제 통화 변화와 시사점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4년07월07일 12시00분
  • 최종수정 2024년07월06일 11시01분

작성자

  • 김정한
  •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메타정보

  • 1

본문

러시아의 우크라나 침공으로 세계가 양대 블록으로 나뉜 가운데 러시아의 대외 교역에서 미달러화 등의 결제 비중은 하락하고 루블화 및 위안화의 결제 비중은 상승함. 는 러시아의 전쟁으로 인한 루블화 결제 확대와 중국의 무역을 통한 위안화의 국제적사용 확대가 반영된 것임. 러한 변화가 지정학적 충돌에 따른 국제질서의 변화에 기인한 것인 만큼 우리나라도 에 대응하여 글로벌 입지를 굳건히 해야 함

 

■ 러시아의 2022년 2월 우크라나 침공과 함께 시작된 전쟁으로 세계는 미국, EU 등의 블록과 러시아, 중국 등의 블록으로 분열되었음.

 

  - 미국, EU 등은 국제금융결제망인 SWIFT에서 러시아 은행들의 접근을 차단하고 러시아 개인 및 기업의 해외자산을 동결하는 한편, 러시아산 원유 가격에 상한선을 두는 경제 제재를 가하였음. 

  - 전쟁 전부터 외교적 우호관계를 보기 시작한 러시아와 중국은 전쟁 발발 후 러시아의 대중 원유 수출 확대, 중국의 반도체와 전자제품 등 중용도(민간용 및 군사용) 제품의 대러 수출 확대 등을 통해 경제연대를 강화하며 서방 경제 블록에 대응하고 있음.

 

■ 양대 블록의 대립 심화되는 가운데 러시아의 대외 교역시 결제 통화에서 루블화와 기타 통화의 비중 크게 증가하는 모습 나타남.


  - 러시아 중앙은행에 따르면, 2024년 1/4분기 러시아의 상품 및 서비스 수출에서 루블화 결제가 차지하는 비중 40.4%로, 전쟁 시작 전인 2021년 14.3% 보다 크게 증가하였으며, 수입에서 루블화 결제가 차지하는 비중도 2021년 28.1%에서 2024년 1/4분기 35.9%로 증가하였음

  - 러시아의 달러화, 유로화, 엔화 등 비우호국 통화 결제 비중은 전쟁 전 수출 80%대, 수입 60%대에서 급락하여 2024년 1/4분기 수출과 수입에서 21.3%, 26.7%를 각각 보임.

  - 러시아가 서방의 금융제재에 대응하여 여타 우호국들과의 교역을 확대한 결과, 루블화 외에 기타 통화 결제 비중 무의미한 수준에서 2024년 1/4분기 수출 38.3%, 수입 37.4%까지급등하였음.

 

러시아의 기타 통화 결제 비중 확대는 전쟁 발발 직전부터 외교적으로 우호적인 입장을 보여 왔던 중국과의 교역 확대되면서 위안화 결제 비중 높아졌기 때문임.


  - 양국 간 교역규모는 2021년 1,468억 달러, 2022년 1,903억 달러, 2023년 2,401억 달러로 증가함.

  - SCMP*에 따르면, 러시아의 제1부총리는 작년 11월 양국 간 교역에서 루블화와 위안화의 거래가 95%를 차지한다고 언급하였고, 러시아 중앙은행장**은 러시아의 수출에서 위안화 결제 비중 2년전 0.4%에서 34.5%로, 수입에서는 2년전 4.3%에서 36.4%로 증가하였다고 언급함.

   * South China Morning Post, China’s yuan replaces US dollar, euro as Russia’s primary foreign currency for overseas economic activity, Feb 1, 2024

   ** 러시아 중앙은행장의 언급은 러시아 정부 소유 언론인 RIA와의 인터뷰를 SCMP가 2024년 1월30일 자로 인용한 것으로, 언급된 수치가 어느 시점의 자료인지 불분명함.

  - 러시아 중앙은행 자료에 따르면, 러시아의 아시아 지역에 대한 수출(수입)에서 기타 통화 비중 2023년 35.8%(51.1%), 2024년 1/4분기 44.4%(52.4%)로 전쟁 전 보다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아시아 지역 대표격인 위안화의 결제 비중 빠르게 증가한 것을 유추할 수 있음

8f4b6fc363db71e3380836f7b6b5f230_1720230
■ 러시아의 대외 교역에 나타난 루블화 및 위안화의 결제 비중 확대는 브릭스(BRICS)가 지향하는 탈달러화(de-dollarization)를 통한 국제질서 변화의 한 단면임.


  - 러시아와 중국 회원국으로 활동하는 브릭스는 작년 정상회의에서 5개 회원국*의 신규 가입과 회원국 및 파트너국가 간 무역 및 금융 거래에서 자국 통화의 사용 확대 등을 포함한 선언문을 채택하였음.

   * 브릭스는 기존 회원국인 브라질, 중국, 인도, 러시아, 남아공에 더해 신규 회원국으로 에티오피아, 집트,란, 사우디아라비아, UAE를 추가하여 올해 1월부터 10개국 협의체가 됨.

  - 브릭스는 국제 무역에서 자국 통화의 사용 확대를 통해 미달러화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며, 나아가 2차대전 후 형성된 미국 중심의 국제경제 질서에 변화를 가져오고자 함.

  - 러시아는 전쟁에 따른 서방의 경제 제재를 미달러화 등 기존 기축통화의 사용을 줄면서 루블화의 사용을 확대하는 기회로 활용*하는 중임.

   * 러시아는 2024년6월19일 러 · 북 정상회의에 앞서 푸틴 대통령의 노동신문 기고를 통해 ‘서방의 통제를 받지 않는 무역 및 상호 결제 체계를 발전시킨다’는 정책방향을 언급함으로써 북한과의 무역시 루블화 사용 확대를 시사하였음.

  - 중국은 지난 10여년 동안 일대일로 추진, FTA 체결 확대 등으로 넓어진 개발도상국 중심의 대외지평을 수출 통로로 활용하고 있으며 과정에서 위안화 사용도 확대* 중임.

   * Gopinath(2024)에 따르면, 중국 비은행 주체의 해외 거래에서 위안화의 사용 비중 15년전 제로에서 2023년 50%대에 도달하였고, 반대로 미달러화 비중은 2010년 80%대에서 2023년 50%대 하로 내려왔음(G. Gopinath, Geopolitics and its impact on global trade and the dollar, IMF, May 7, 2024).

  - 세계 외환보유액의 미달러 비중(58% 수준; 위안화 2% 수준, IMF COFER), 세계외환시장 미달러화 거래 비중(88%; 위안화 7%, BIS) 등을 볼 때 미달러화의 글로벌 지배력은 여전하지만, 중국은 무역 상대국 확대를 통한 위안화의 국제적 사용 확대에, 러시아는 전쟁 협력국 확보를 통한 국제적 루블화 사용 확대에 치중하면서 탈달러화 목표에 매진하고 있음.

 

■ 최근의 여러 지정학적 충돌로 냉전 후 30여년 동안 유지되어 온 국제질서가 깨지기 시작하고 몇몇 대형 국가들 자신들에게 유리한 국제질서의 구축에 힘을 쏟는 시기므로 우리나라도 세계 경제에서의 입지를 굳건히 할 방안을 마련해야 함. 

 

  - 지난 6월 초에 개최되었던 ‘2024 한 · 아프리카 정상회의’는 그동안 미진했던 양측 간의 교류 및 협력관계를 강화시켜 국제사회의 다양한 슈에 대해 상호 해 및 지원의 환경을 조성하고 상호 간에 되는 공급망 구축의 기회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큼.

  - 여러 대형 국가들 세계 곳곳에서 국제질서의 우위 선점을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는 상황지만, 미지의 지역일수록 우리 위주의 접근 보다는 상호 존중의 동반자 관계에 기초하여 신뢰를 쌓아가며 접근하는 것 필요함. <KIF​> 

 

<ifsPOST>

  글은 한국금융연구원(KIF) 발간한 [금융브리프 33권 14호] (2024.7.5.) ‘금융포커스’에 실린 것으로 연구원의 동의를 얻어 게재합니다. <편집자>​



1
  • 기사입력 2024년07월07일 12시00분
  • 최종수정 2024년07월06일 11시01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