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우 전체검색 결과
- 게시판
- 2개
- 게시물
- 4개
1/1 페이지 열람 중
News Insight 게시판 내 결과
-
[2021 국제정세 ] ① COVID-19 팬데믹과 신흥안보
새창
이 글은 세종연구원이 발간하는 [정세와 정책 2020-특집호-제35호]에 실린 것으로 연구소의 동의를 얻어 게재합니다.<편집자> 2019년 말 중국 우한에서 발생한 COVID-19는 순식간에 전 세계로 확산되어 인류의 삶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 COVID-19 창궐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인류에게 닥친 가장 큰 위기일 것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020년 3월 11일 COVID-19를 세계적 유행병(Pandemic)으로 선언했다.몇 년 전 유행했던 사스(SARS)에 비해 치명률은 낮지만, 전염력은 훨씬 강력…
이대우(ldw) 2020-12-31 16:00:00 -
2020 미국의 선택 ④ 한미관계
새창
이 글은 세종연구소가 발간하는 [세종논평 No.2020-27](11.12)에 실린 것으로 연구소의 동의를 얻어 게재합니다.<편집자> 미국 국민은 민주당 바이든(Joseph R. Biden) 후보를 제46대 대통령으로 선택했다. 트럼프 정부의 고립주의 및 보호무역주의 성향에 우려를 표시했던 국제사회는 2021년 1월 출범할 바이든 정부의 외교(안보)정책에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북한 위협이 사라지지 않는 한 한미동맹이 유지·강화 되어야하기 때문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지…
이대우(ldw) 2020-11-15 16:00:00 -
남중국해에서의 미·중 군사적 충돌 가능성
새창
이 글은 세종연구소가 발간하는 [정세와 정책 2020-9월호-제18호](9.2)에 실린 것으로 연구소의 동의를 얻어 소개합니다. <편집자> 트럼프 정부의 대중국 압박이 전방위적으로 확대되는 가운데 남중국해에서 미중 간 군사적 충돌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중국의 불공정 무역 관행 시정을 요구하며 시작된 미국의 대중국 압박(무역제재)은 정치(대만과의 관계 증진 및 홍콩보안법 비판) 및 인권(티베트와 신장위구르) 분야로 확대되었다.게다가 2019년 12월 시작된 코로나바이러스(COVID19) 창궐의 책임 소재를 놓고…
이대우(ldw) 2020-09-08 12:00:00
보고서 게시판 내 결과
-
인도‧중국 국경분쟁이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에 미치는 영향
새창
이 보고서는 세종연구소가 발간하는 [세종정책브리프 2020-10](8.18)에 실린 것으로 연구소의 동의를 얻어 소개합니다.<편집자> "인도‧태평양전략 지지 및 참여 통해 한미·한중 관계 재정립 필요"1. 인도-중국 국경 문제- 인도를 식민통치 하던 영국은 19세기 말부터 3,488km에 달하는 인도와 중국의 국경 획정을 위해 노력했으며, 인도 독립 이후 인도와 중국(국민당 및 공산당 정부)도 국경을 확정하기 위해 노력했으나, 아직까지도 국경이 확정되지 않고 있다.- 지난 100여 년 동안 국경…
이대우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admin) 2020-08-26 17: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