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전체검색 결과
- 게시판
- 17개
- 게시물
- 1,347개
7/135 페이지 열람 중
- 전체게시판
- 정책 아름드리11
- 칼럼리스트7
- 연구위원 소개10
- News Insight436
- 국민행복지수 | INDEX5
- 보고서231
- 정책체감조사5
- 여론보기2
- Fed Watch7
- global Watch23
- 월街 Watch4
- 청계산 칼럼126
- 시사 일러스트6
- NEWS282
- 국제뉴스 초점10
- 이슈체크27
- 김광두의 1년 후155
News Insight 게시판 내 결과
-
박재천의 디지털경제 이야기 <46> 2024 노벨화학상 설명(1); 단백질의 비밀을 밝힌 AI
새창
노벨상 화학위원회는 2024년 화학상을 수여하면서 그 배경과 스토리를 정리한 자료를 웹 사이트에 게재하였다. 이 발간물을 주로 참조하여 3회에 걸쳐 화학상을 해설한다.(원전; ’Popular science background: They have revealed proteins’ secrets through comput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pdf), 노벨화학상위원회)화학자들은 오랫동안 생명의 필수요소이자 도구인 단백질을 완전히 이해하고자 꿈꿔왔다. 이제 이 꿈이 현실에 가까워졌다. 데미스 하사비스…
박재천(pjc4517) 2024-11-28 19:15:00 -
박재천의 디지털경제 이야기 <45> 노벨 물리학상 설명(3); 딥러닝 - 오늘과 내일
새창
1980년대 이후 존 홉필드와 제프리 힌턴의 기초적 연구는 오늘날 우리가 경험하고 있는 인공지능 혁명의 기반을 닦았다. 여기에 더해, 우리가 지금 목격하고 있는 폭발적인 발전은 네트워크를 훈련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와 컴퓨팅 성능의 획기적 증가 덕분에 가능해지고 있다. 더불어, 오늘날의 인공 신경망은 더욱 거대해지고 여러 층으로 구성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여러 층으로 구성된 신경망은 심층 신경망(Deep Neural Network)이라 불리며, 이를 훈련하는 방법은 딥 러닝(Deep Learning)이라고 …
박재천(pjc4517) 2024-11-21 16:00:00 -
박재천의 디지털경제 이야기 <44> 2024 노벨 물리학상 설명(2); 볼츠만 네트워크
새창
사람의 경우 어린 아이들도 동물을 가리키며 자신있게 개, 고양이, 또는 다람쥐라고 말할 수 있다. 세부적인 설명이 없이도 이러한 것을 배울 수 있다. 각 동물을 몇 번 보고나면, 구별할 수 있다. 자신을 둘러싼 환경을 경험하면서 고양이를 인식하거나, 단어를 이해하거나, 방에 들어가서 뭔가 바뀌었다는 것을 인지하게 된다. 홉필드가 연관 기억과 홉필드네트워크에 관한 연구를 발표할 때, 제프리 힌턴은 미국 피츠버그에 있는 카네기 멜론 대학교에 있었다. 영국과 스코틀랜드에서 실험 심리학과 인공지능을 연구했던 그는, 기계가 인간처럼 패턴을 …
박재천(pjc4517) 2024-11-14 17:10:00 -
박재천의 디지털경제 이야기 <43> 2024 노벨 물리학상 설명(1); 홉필드 네트워크
새창
노벨 물리학 위원회는 2024 수상자를 선정한 학문적 배경을 ‘The Nobel Prize’ 웹 사이트 게재된 ‘Popular Information’에서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이 정보에 기초해 물리학상을 수여한 배경을 3회에 걸쳐 설명한다. (https://www.nobelprize.org/prizes/physics/2024/popular-information/)존 홉필드가 2024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하게 된 주요업적은 ‘홉필드네트워크’ 모델을 개발한 것이었다. 홉필드 네트워크는 물리학 이론을 인공지능에 적용하려는 존 홉필드의 …
박재천(pjc4517) 2024-11-07 17:08:00 -
트럼프 2기정부와 한국경제에 미칠 영향
새창
거의 충격에 가까운 트럼프 승리의 선거결과였다. 동전 양면 확률처럼 초박빙이라던 여론조사도 틀렸지만 해리스가 조금은 유리하리라던 막판 분위기도 개표 뚜껑을 여는 순간부터 여지없이 어긋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제 다급한 것은 트럼프 2기정부의 경제정책방향과 그것이 미칠 국내외 파급효과가 무엇인지를 탐색하는 일이다. [1] 트럼프 2기정부의 경제정책 방향과 한국경제트럼프 2기정부 정책을 네 글자로 줄이면 역시 MAGA, 즉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Make America Great Again 이다. 지난 2016년 선거 때도 그랬지만 이…
신세돈(seshin) 2024-11-07 09:49:00 -
박재천의 디지털경제 이야기 <42> 2024 노벨상 화학상 받은 AI
새창
2024년 노벨 화학상은 생명의 신비를 지니고 있는 단백질에 관련한 업적을 이룬 연구자들에게 돌아갔다. 데이비드 베이커 교수와 구글의 데미스 허사비스와 존 점퍼 연구자가 수상했다. 물리학상이 물리학 이론을 AI 개발에 접목시킨 학자에게 수여된 것과 달리, 화학상은 AI를 생화학 분야에 응용한 연구자들에게 상이 돌아갔다.이번 노벨 화학상의 의미를 노벨 화학위원회 의장은 이렇게 전했다. "올해 인정받은 놀라운 발견 중 하나는 단백질을 설계하는 것에 관한 것입니다. 또 다른 하나는 50년 간의 꿈을 실현한 것, 즉 아미노산 서열…
박재천(pjc4517) 2024-11-01 11:30:00 -
일본 여당 중의원 선거 패배의 영향과 일본경제의 향방
새창
여당 과반수 확보 실패, 정권 기반은 당분간 불안정화10월 27일에 투표 및 개표한 일본 중의원 선거는 이사바 총리가 이끄는 자민당과 연립정권을 구성하는 공명당의 여당 합계 의석 수가 215석에 그쳐서 과반수인 233석을 확보하는 데에 실패했다. 여당은 기존의 279 의석에서 64의석이나 감소하는 대패를 기록한 것이다. 이에 따라 여당은 공천을 받지 못했던 보수계 무소속 의원 등의 추가 영입, 야당과의 연립 및 협력 등을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제2 야당인 입헌민주당(148석)이나, 일본유신회(38석), 이번에 약진한 국민민…
이지평(pyeong123) 2024-10-28 09:47:26 -
박재천의 디지털경제 이야기<41> 제프리 힌튼: 2024 노벨상 물리학상 공동 수상자
새창
제프리 힌튼은 인공지능에 대한 신념에 가득 차고, 또 헌신적인 공헌으로 2024년 노벨상 물리학을 수상했다. 세계 최고라 일컬어지는 권위를 부여하는 이 학문적 인정은, 2018년 그가 딥 러닝 연구로 "컴퓨팅의 노벨상"으로 여겨지는 튜링상을 받은 지 6년 만에 이루어졌다.노벨 위원회로부터 연락을 받았을 때, 힌튼은 겸손하게 말했다. "저는 자신이 어떤 분야에 있는지 잘 모르지만, 뇌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이해하고 싶어 하는 사람이라고 말하고 싶다. 그리고 뇌의 작동 방식을 이해하려는 연구를 통해, 놀랍게도 …
박재천(pjc4517) 2024-10-24 17:10:00 -
박재천의 디지털경제 이야기<40> 존 홉필드: 2024년 노벨 물리학상 공동수상자
새창
2024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존 홉필드(John Hopfield)는 인공 신경망에 대한 획기적인 연구로 기계 학습을 혁신하고 현대 인공지능 시스템 개발의 기반을 마련한 공헌을 인정받았다.이론 물리학자로 시작해 분자 생물학과 신경과학에 관심을 가진 홉필드는 노벨상 수상에 즈음하여 "마음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이해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그는 물리학과 생물학의 융합을 통한 전체적 이해를 추구하며,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이 함께 협력할 수 있는 공동연구팀을 만드는 데 무엇보다도 주력했다.1982년, 홉필드는 "…
박재천(pjc4517) 2024-10-17 17:10:00 -
박재천의 디지털경제 이야기<39> AI와 협력해 SEO 개선하기: 작가들을 위한 실용적 가이드
새창
디지털 세계에서 콘텐츠를 눈에 띄게 만드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검색 엔진 최적화(SEO, search engine optimization)는 온라인에서 더 많은 사람들에게 보일 수 있도록 돕는 핵심 요소이다. 하지만 SEO는 작가들에게 복잡하고 어려운 과제일 수 있다. 키워드 연구, 콘텐츠 구조화, 가독성 최적화 등 SEO는 기술적인 세부 사항이 많아 창작 과정에 필요한 시간과 에너지를 빼앗아 갈 수 있다. 이때 인공지능(AI)이 유용한 파트너가 될 수 있다. AI와 협력하면 SEO 작업을 간소화하고 글쓰기에 더 집중할 수 있다.…
박재천(pjc4517) 2024-10-10 18: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