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에서는 연구진의 논문 및 자료와 함께 연구원 주최 세미나의 주제발표 및 토론내용 등을 PDF 파일로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바이든 행정부의 외교정책 전망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1년02월20일 17시10분

메타정보

  • 0

본문

 

이 보고서는 세종연구소가 발간하는 [세종정책브리프 2021-2]에 실린 것으로 연구소의 동의를 얻어 게재합니다.<편집자>

 

1. 트럼프 시대의 외교정책 레거시

 

- 트럼프 임기 중 주요 성과로 꼽히는 것으로는, 국내 정책에서는 기업 감세, 규제 철폐, 경제 호황 지속, 대중국 강경노선, NAFTA 등 무역협정 개정, 우크라이나 지원, 이스라엘-아랍 관계 정상화 등을 꼽을 수 있다.

- 반면 이러한 성과에 비해 더욱 두드러지는 세 가지 중요한 실패는 민주주의의 퇴조, COVID-19 대응의 실패, 글로벌 리더십의 약화 초래 등을 들 수 있다.

 

2.  바이든 행정부 외교정책 기조


- 바이든 취임사에서 가장 강조된 단일 주제는 ‘단합(unity)’으로 취임 첫날부터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을 뒤집는 17개의 행정명령 및 메모랜덤에 서명했다.

- 미국 우선주의를 앞세운 트럼프에 비해 바이든 후보는 전반적인 외교정책의 기조로서 미국의 리더십 회복을 매우 강조하면서 세 가지 어젠다를 제시했다. 첫째, 국내에서 민주주의를 혁신, 둘째, 미국 중산층을 위한 외교정책 추진, 셋째, 국제사회 리더의 자리로 복귀 등이 그것이다.

 - 바이든 시대 대외정책의 두 축은 다자주의와 가치‧규범외교라고 요약 가능하다. 하지만 바이든 행정부가 출범해도 크게 달라지지 않을 두 가지는 트럼피즘의 지속 및 대중국 강경노선이다. 트럼프 시대의 후유증으로 인한 국내정치의 분열, 미국의 리더십 약화로 인한 동맹·우방국들의 규합 어려움 등으로 바이든의 외교 어젠다에는 많은 국내외 도전이 예상된다.

 

3. 주요 현안 및 이슈


① COVID-19 대응과 ‘트럼프 지우기’

 - 새 행정부가 시급히 해결해야 할 4대 과제로 △코로나19 대응, △경기침체, △기후변화, △인종 불평등 문제를 제시했다.

 

② 강대국 관계

 - 미중관계는 기본적으로 체제경쟁, 이념경쟁, 패권경쟁의 성격이 지속될 전망이다.

 - 미러관계의 갈등 요인으로 러시아의 미국 대선 개입, 푸틴의 정적 나발니에 대한 신경작용제 사용 여부, 미국 연방기관에 대한 해킹 의혹 등이 있다.

 

③ 지역전략과 동맹정책

 - 동맹관계의 리셋과 네트워킹, 특히 환대서양 공동체의 복원이 최우선 과제이다.

 - 아시아 정책으로는 인도-태평양전략 지속 예상된다.

 

④ 글로벌 거버넌스, 다자주의의 회복

 - 파리기후협약 재가입, WHO 재가입 및 COVAX 참여, 유엔인권위원회(UN Human Rights Council) 참여, 미-이란 JCPOA 재가입, 환태평양동반자협정(TPP) 재가입 검토, 미-러 New START 연장 추진, 영공개방조약(Treaty on Open Skies) 등에서 변화가 예상된다.


⑤ 경제·통상정책

 - 바이든의 통상정책 또한 가치와 규범을 강조할 것으로 예상된다.

 - 그 특징은 다자주의와 국제규범 준수, 무역협정에서 노동·환경 기준 강화, 미국 중심의 GVC 강화, 대중국 강경노선 지속 등 특징을 지닐 것으로 전망된다.

 

⑥ 핵 비확산 및 안보

 - 이란이 협력 준수를 전제할 경우 이란과의 JCPOA 재가입을 추진하겠다는 의사를 공개적으로 천명했다.

 - 북핵 문제를 ‘심각한 위협’으로 보며, 북한 억제에 대해 중대한 관심을 갖고 있으며, 동맹과 긴밀히 협의해 ‘새로운 전략’을 채택할 것이라는 입장이다.

 

4. 한·미관계에 대한 함의

 

①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한미동맹 현안으로 인한 갈등은 다소 완화될 전망이지만 새로운 도전으로서 한국이 준비해야 할 다음과 같은 사안 두 가지는 매우 중요하다.

 - 첫째, 바이든식 가치지향형 외교에 얼마나 부응할 것인가의 문제

 - 둘째, 동맹·우방의 네트워킹에 얼마나 참여할 것인가의 문제

 - 바이든 행정부는 동맹과 우방에 대해 비용분담에서 가치분담과 역할분담을 요구해올 가능성에도 대비해야 한다.

 

② 바이든 행정부의 대(對)한반도 정책 재검토 기간 중 바이든 정부의 한반도 정책을 정확히 파악하고 한국이 처한 현실을 주지시키려는 범정부적, 초당적 차원의 외교적 조치가 필요하다.

 -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시정하고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에 대한 한국의 입장과 합리적인 정책대안을 제시하는 외교적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

 - 미중 패권경쟁이 가열될 경우, 우리의 안보와 경제를 특정 국가에 과도하게 의존하면 ‘무기화된 상호의존(weaponized interdependence)’ 리스크가 커진다는 점을 유의하고 우리 외교와 시장의 포트폴리오 다변화에 주력해야 한다.

 

 

 

0
  • 기사입력 2021년02월20일 17시10분
  • 검색어 태그 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