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김도훈의 나무 사랑 꽃 이야기(93) 천연기념물 8: 강진 사당리와 서울 문묘의 은행나무'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2년01월28일 17시00분
- 최종수정 2022년02월02일 11시17분
관련링크
본문
나무의 크기나 마을의 역사를 볼 때 수령은 500년 전후일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서쪽 가지가 다소 손상을 입기도 했지만, 전체적으로 수피도 깨끗하고 생육 상태도 양호하며 수형도 비교적 아름다운 편입니다.




이곳은 네덜란드 하멜 일행이 1656년 3월에서 1663년 2월까지 약 7년 동안 억류생활을 하였던 곳인데, 이들이 억류생활을 하면서 본 은행나무 노거수를 「하멜표류기」에 기술하고 있는데, 바로 이 은행나무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옛날에 이곳에 부임한 병마절도사가 폭풍으로 부러진 은행나무 가지를 사용해 목침을 만들어 베고 자다가 병이 들어 명의에게 치료를 받았지만 백약이 무효하였다가, ‘은행나무에 제사를 지내고 목침을 나무에 붙여주면 나을 것’이라는 어느 노인의 말을 따라 그대로 하여 병이 나았다는 전설도 전해지고 있습니다. 이후로 마을에서는 이 일을 기리려고 해마다 음력 2월 15일 자정 은행나무에게 마을의 안정과 평안, 그리고 풍년을 기원하는 제사를 지내는 풍습이 생겼으며,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고 합니다.
서울 문묘의 은행나무는 성균관대학교 명륜당 안에 두 그루가 서 있는데, 수령은 400년으로 추정되고 있고, 나무의 크기는 높이가 26m, 가슴높이의 둘레가 12.09m이다. 가지의 길이는 동서로 26.8m, 남북으로 27.2m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수령에 비해서는 비교적 일찍 (1962년) 천연기념물로 제59호로 지정되었는데, 이 장소의 중요성도 한 몫 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우리나라에서 은행나무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것은 19점에 이르는데 그중 이 문묘의 은행나무는 우리나라에서는 드물게 유주를 잘 발달시키고 있는 나무라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유주는 일종의 기근이라고 믿어지는데 일본에서는 더 흔하고 그 발달도 현저하나 우리나라에 있어서는 그러하지 못하다고 하는데 이 나무에서는 사진에서 동그라미를 친 부분처럼 뚜렷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 은행나무는 성균관대학교에 가까운 문묘의 명륜당 경내에서 자라고 있는데, 명륜당은 선조 39년(1606)에 세워졌고 그 앞에 서 있는 대성전은 이보다 4년 앞서 세워졌다고 합니다. (문묘 자체는 태조 7년인 1398년 창건) 문묘 명륜당 안의 이 은행나무는 중종 14년(1519)에 대사성 윤탁이 심었다는 설도 있는데, 이 기준으로 수령을 400년으로 추정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만 다른 기록으로는 그 이전 즉, 문묘가 창건된 직후인 것으로도 추정되기도 합니다.
명륜당은 이제 주변의 주민들, 특히 노년층의 휴식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 은행나무도 그 일익을 담당하고 있었습니다. 필자가 방문한 한여름에 이 나무가 제공하는 시원한 그늘이 그런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뿐만 아니라 이 은행나무는 명륜당 전체의 고풍스러운 품격도 높여주는 역할도 충분히 하고 있는데, 명륜당 내의 느티나무, 회화나무 등과 어우러져서 더욱 그런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었습니다. 이곳 명륜당을 찾는 사람들은 이 나무가 만드는 은행 열매의 구린 냄새를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점도 필자를 안심시키는 요소였습니다. 가로수로 심긴 은행나무들처럼 많은 행인들의 잦은 발걸음을 접하지 않아도 되기에 더욱 그랬습니다.
은행나무는 역시 늦가을에 노란 잎을 매달고 있을 때가 가장 운치가 깊은데, 필자와 나무이야기를 주고받는 지인께서 작년 11월 중순 이 은행나무의 노란 단풍 사진을 찍어서 보내주셔서 그 사진도 담습니다.



<ifsPOST>
- 기사입력 2022년01월28일 17시00분
- 최종수정 2022년02월02일 11시17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